한번 세례를 받으면 그 세례명은 바꾸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세례 받을때 많은 고민을 하고 세례명을 정하게 될거라고 생각되는데요.
그 중 부부가 함께 쓰는 세례명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부부가 물론 함께 세례명을 사용할 필요는 없지만
함께 세례를 받거나, 아니면 부부가 모두 천주교 신자일 경우
의미있는 세례명으로 정하기도 합니다.
부부가 함께 쓰면 좋은 세례명
1. 실제 부부였던 성인성녀
대표적으로 실제로도 부부였던 성인성녀의 이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있습니다.
요셉,마리아가 가장 대표적이고
실제로 부부인 성인성녀는 많이 있지만 요정도가 가장 일반적인 것 같습니다.
2. 하나의 세례명으로 함께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세례명을 남성형/여성형으로 하는 경우 부부가 축일이 같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함께 세례를 받거나,
혹은 남편이 라파엘이라는 세례명의 천주교 신자인데 부인이 세례를 받을 경우 라파엘의 남성형인 라파엘라로 한다던가,
여성이 루치아라는 세례명을 가지고 있을 경우, 남자가 세례를 받을 때 루치아의 남성형인 루치오로 하는 경우입니다.
그러나 꼭 바꿔서 사용할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엘리지오의 세례명의 여성형은 엘리지아지만 엘리지오 성인이 남성 성인이셔서 남성이라고 인식되지만 이름 자체가 반드시 남자 이름은 아니므로 여성이 그냥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여성이라고 해서 엘리지오로 사용하면 안되는 것은 아니라는 말입니다.
대천사의 경우는 천사라 성별이 따로 없어 여성형,남성형이 아닌 여자의 경우, 남자의 경우로 사용합니다. (누구의 여성형, 남성형이 아닌 각각 그 자체로 독립된 세례명입니다.)
1) 대천사, 천사
가브리엘 / 가브리엘라 (대천사)
라파엘 / 라파엘라 (대천사)
미카엘 / 미카엘라 (대천사)
안젤로 / 안젤라 (수호천사)
천사 세례명으로 결정할 경우 남성분이 가브리엘, 여성분이 가브리엘라 이렇게 각각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각각의 독립된 세례명
도미니코 / 도미니카 (각각의 독립된 세례명이 있으며, 각각의 여성형, 남성형으로도 사용 가능)
루치오 / 루치아 (각각의 독립된 세례명이 있으며, 각각의 여성형, 남성형으로도 사용 가능)
(루치오1, 루치오2 / 루치아1, 루치아2, 루치아3)
발렌티노 / 발렌티나 (각각의 독립된 세례명이 있으며, 각각의 여성형, 남성형으로도 사용 가능)
빈첸시오 / 빈첸시아 (각각의 독립된 세례명이 있으며, 각각의 여성형, 남성형으로도 사용 가능)
(빈첸시오1, 빈첸시오2, 빈첸시오3, 빈첸시오4, 빈첸시오5 / 빈첸시아)
세라피노 / 세라피나 (각각의 독립된 세례명이 있으며, 각각의 여성형, 남성형으로도 사용 가능)
유스티노 / 유스티나 (각각의 독립된 세례명이 있으며 각각의 여성형, 남성형으로도 사용 가능)
안젤로 / 안젤라 (각각의 독립된 세례명이 있으며 각각의 여성형, 남성형으로도 사용 가능)
율리아노 / 율리아나 (각각의 독립된 세례명이 있으며 각각의 여성형, 남성형으로도 사용 가능)
(율리아노1, 율리아노2, 율리아노3, 율리아노4, 율리아노5 / 율리아나1, 율리아나2, 율리아나3)
제칠리오 / 체칠리아 (각각의 독립된 세례명이 있으며 각각의 여성형, 남성형으로도 사용 가능)
클라로(칼라로) / 클라라 (각각의 독립된 세례명이 있으며 각각의 여성형, 남성형으로도 사용 가능)
타시아노 / 타시아나 (각각의 독립된 세례명이 있으며 각각의 여성형, 남성형으로도 사용 가능)
프란치스코 / 프란치스카 (각각의 세례명이 있으며 각각의 여성형, 남성형으로도 사용 가능)
(프란치스코1, 프란치스코2, 프란치스코3 / 프란치스카)
프란치스카(Frances) 축일 - 3월 9일
+ 도미니코, 도미니카로 결정할 경우 남성이 8월 8일이 축일인 도미니코, 여성이 5월 14일이 축일인 도미니카로 각각 원하는 날짜를 결정해서 해도 상관 없고
같은 축일로 하고 싶은 경우 남성이 8월 8일이 축일인 도미니코일때, 여성이 도미니코의 여성형인 도미니카로 하면서 같은 축일인 8월 8일로 지정,
여성이 5월 14일이 축일인 도미니카일때, 남성이 도미니카의 남성형인 도미니코로 하면서 같은 축일인 5월 14일로 지정,
또는 그냥 같은 이름으오(예를 들면 남성이 도미니카일 때 여성도 그냥 같이 이름과 날짜 모두 똑같이 도미니카로 결정)
3) 남성형, 여성형
다니엘 / 다니엘라 (다니엘 세례명, 다니엘라는 다니엘의 여성형)
빅토리노 / 빅토리아 (빅토리노 세례명, 빅리아는 빅토리노의 여성형)
스테파노 / 스테파니아(스테파노 세례명, 스테파니아는 스테파노의 여성형)
(스테파노1, 스테파노2, 스테파노3, 스테파노4, 스테파노 5)
아드리아노 / 아드리아나 (아드리아노 세례명, 아드리아나는 아드리아노의 여성형)
엘리지오 / 엘리지아 (엘리지오 세례명, 엘리지아는 엘리지오의 여성형)
(엘리지오)
요셉/요세피나 (요셉 세례명, 요세피나는 요셉의 여성형, 또는 요세피나 르루, 요세피나 바키타 등의 세례명으로도 사용 가능)
(요셉1, 요셉2, 요셉3, 요셉4, 요셉5, 요셉6, 요셉7, 요셉8, 요셉 9, 요셉10 / 요세피나 르루, 요세피나 바키타)
파울리노(바울리노) / 파울리나(바울리아) (파울리노 세례명, 파울리나는 파울리오의 여성형)
만약 남성이 다니엘일 때 여성이 다니엘의 여성형인 다니엘라로 하거나 그냥 똑같이 다니엘로 해도 상관 없습니다.
주로 많이 사용하는 세례명 위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그 외의 세례명도 여성형, 남성형으로 사용하시거나,
그대로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세례를 축하드립니다.
예쁜 세례명 지으시길 바랄게요_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이 축일인 천주교 세례명 알아보기 _ 여자편 (0) | 2022.08.10 |
---|---|
1월이 축일인 천주교 세례명 알아보기 _ 여자편 (0) | 2022.08.08 |
연예인 세례명 알아보기 _ 여자 편 (0) | 2022.08.05 |
연예인 세례명 알아보기 _ 남자 편 (0) | 2022.08.05 |
세례명 짓기, 천주교 세례명 어떻게 지어야 할까 (0) | 2022.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