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야기/세례명 이야기

빈첸시오(Vincent) 축일 3.(13-16) _ 9월 1일, 9월 11일, 10월 27일, 9월 27일

 

빈첸시오(Vincent)

같은이름 : 뱅상, 빈센트, 빈첸티오, 빈첸시우스, 빈첸티우스, 빈켄티오, 빈켄티우스, 원선시오 

 

13. 9월 1일 성인 빈첸시오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연대미상

 

에스파냐 출신의 순교자인 성 빈첸시오(Vincentius)와 성 레투스(Laetus)는 프랑스 남서부 가스코뉴(Gascogne) 지방 닥스(Dax)의 수호성인인 성 빈첸시오와 그의 부제였던 성 레투스와 동일인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전통적으로 에스파냐의 톨레도(Toledo)에서 공경을 받았습니다.

 

14. 9월 11일 성인 빈첸시오

신분 : 수도원장, 순교자 

활동지역 : 레온(Leon)

활동연도 : +554년

 

성 빈첸시오(Vincentius)는 에스파냐 레온에 있는 성 클라우디우스(Claudius) 수도원의 원장으로 아리우스파 서고트족(Visigoths)에 의해 순교하였습니다. 성 빈첸시오 성인의 순교 연도에 대해 다소 혼돈이 있는데, 일부 목록에는 그가 630년에 순교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15. 10월 27일 성인 빈첸시오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303년경

 

성 빈첸시오(Vincentius)는 에스파냐의 아빌라(Avila)에 살던 젊은 신자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크게 신뢰할 수는 없는 기록입니다. 그 당시는 다키아누스 총독이 로마 제국이 붕괴되어 가는 중에 모든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박해를 명령했을 때였는데 그는 과거의 우상숭배가 아닌 진정한 종교, 바로 예루살렘에서 십자가에 달린 예수 그리스도를 믿기 위해 모든 배교 요청을 거부하였고 결국 그는 사형선고를 받고 감금되었으나 그리스도를 따르는 그의 삶에 감동한 경비병들이 개종하고 그의 자매인 성녀 사비나(Sabina)와 성녀 크리스테타(Christeta)의 도움으로 탈출하게 됩니다.

그들은 힘들게 알바(Alba)에 도착했지만 모두 체포되어 채찍과 몽둥이로 맞고 아빌라에 감금되었다가 돌 사이에서 뭉개는 잔혹한 형벌을 받고 순교하였습니다.

그들은 모두 아빌라에서 순교자로서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16. 9월 27일 성인 빈첸시오 드 폴 (Vincent de Paul)

성-빈첸시오-드-폴
성 빈첸시오 드 폴 (9월 27일)

(많이 사용하시는 축일)

 

신분 : 신부, 설립자 

활동연도 : 1581-1660년

 

성 빈첸시오 드 폴(Vincentius de Paul, 또는 빈첸시오 아 바오로 Vincentius a Paulus)은 프랑스 남서부 서부 랑드(Landes) 지방의 푸이(Pouy, 오늘날의 Saint-Vincent-de-Paul)라는 마을에서 1581년 가난한 농장주인 장 드 폴(Jean de Paul)과 베르트랑드 드 모라스(Bertrande de Moras)의 여섯 남매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그는 15세 때에 고향 인근 닥스(Dax)에서 프란치스코 수도회가 운영하는 학교에서 수학하였고 당시의 유명한 변호사였던 코메(Comet)의 아들을 가르치는 가정교사로 일하며 경제적 어려움 없이 학업에 전념하였습니다. 그리고 1597년 이후에는 툴루즈(Toulouse)의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1600년 스무 살의 나이로 사제품을 받습니다.

이후로도 그는 몇 년 동안 신학 공부를 계속하였습니다.

 

1605년 그는 마르세유(Marseilles)에 갔다가 배를 타고 나르본(Narbonne) 돌아오던 중에 이슬람의 해적에게 붙잡혀서 튀니지에서 노예로 팔려 가는 불운을 겪게 되는데 노예 생활 중 그는 한 배교자의 집에 팔려 갔다가 주인을 가톨릭 신앙으로 이끌어 노예 신분에서 해방되어 1607년 아비뇽(Avignon)으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그는 몽토리오(Montorio) 주교와 함께 로마로 가서 신학 공부를 계속하면서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년)의 결과로 시작된 교회의 개혁을 목격할 수 있었으며 1609년 프랑스 국왕 앙리 4세(Henry IV)가 있는 파리 궁전의 전담 신부로 파견되었고, 귀족들과 과학자들의 모임에 참석하면서도 과거 노예 생활 중에 겪은 고통을 잊지 않고 가난한 이들을 위해 자신의 수입을 나누었습니다.

 

 

1610년 프랑스에 오라토리오회를 설립하러 온 피에르 드 베륄(Pierre de Berulle, 1575-1629년) 신부를 만난 그는 그의 영적 지도를 받으면서 자신의 사명을 깨닫게 되고 이듬해 파리 근처 클리시(Clichy)의 본당 신부로 부임하여 신자들의 삶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었습니다.

1613년 베륄 신부의 제안으로 파리에서 프랑스 왕실 함대의 사령관인 공디(Gondi) 백작의 전속 사제 겸 가정교사로 임명된 그는 선한 공디 백작과 열심한 신자지만 세심증을 지닌 백작 부인에게 영적 도움을 주며 집안의 하인과 소작인들을 돌보게되며 이로 인해 시골 사람들의 어려움을 알게 됩니다. 어느 날 백작 부인의 청으로 죽어가는 가난한 농부의 병자성사를 집전하면서 가난한 이들에 대한 자신의 사명을 더 깊이 깨닫게 되고 스스로 가난한 이들을 위해 자신을 봉헌하겠다고 서원하게 되고 1617년 공디 백작의 집을 떠나 리옹(Lyon) 근처의 가난한 지역인 샤티옹(Chatillon)의 주임신부로 사목을 시작합니다. 그는 처음으로 이 마을에 ‘애덕회’를 설립하여 본당 신자들과 함께 가난한 가정을 돕는 일에 힘썼습니다.

 

1618년 파리에서 제네바의 주교인 성 프란치스코 드 살(Franciscus de Sales, 1월 24일)을 만나 그의 제자가 되는데 1619년에 성 빈첸시오 드 폴은 공디 백작 부부의 간절한 부탁으로 다시 그 집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는 공디 가문에 속한 마을에서 자유롭게 선교 활동하는 것을 조건으로 들어가 1625년까지 전속 신부로 생활하였고 그러면서 백작이 관할하는 갤리선의 죄수들이 받던 비인간적 대우를 개선하고 그들을 위한 병원을 설립하고 영적인 도움을 줍니다.

1625년 백작 부인이 선종한 후 그는 시골의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노력하며, 그들의 복음화를 위한 ‘선교 사제회’를 설립하며 이는 당시 사용하지 않던 나환자 병원인 라자로의 집으로 이사한 후부터 ‘라자로회’(Lazarists)로 불리게 됩니다.

그들은 주로 시골의 농부들을 대상으로 교리를 가르치고 성사를 집전하며 선교활동을 전개했고, 가난한 이들을 돕기 위해 본당 단위의 애덕회를 구성하였으며 농번기에는 파리에서 신학을 공부하며 수도 생활에 전념하였습니다.

 

1625년 말 그는 남편과 사별한 후 가난한 이들을 위해 봉사하며 살던 성녀 루도비카 드 마리약(Louise de Marillac, 3월 15일)을 만나 지도신부가 되고, 1629년부터 시골의 애덕회를 방문하고 격려하는 일을 그녀에게 맡깁니다.

그는 1632년부터 파리에서 성직자들을 위한 모임을 결성했고, 30년 전쟁으로 고통받는 이들을 위한 구호사업에도 헌신하였으며 1933년 성녀 루도비카 드 마리약의 친구가 된 상류층 부인들의 협조를 받아 ‘애덕 부인회’를 설립합니다.

그들은 매일 병원을 찾아 환자들을 돌보고 버림받은 아이들을 위한 고아원을 운영하였으며 그는 계속해서 이러한 봉사를 이어갈 수녀회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애덕의 수녀회’(Soeurs de la Charite)를 설립하여 성녀 루도비카 드 마리약을 초대 원장으로 임명합니다. 이 수녀회가 오늘날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 사랑의 딸회’입니다.

성 빈첸시오 드 폴은 북아프리카의 그리스도인 노예들을 대속하는 데 힘썼고, 라자로회의 사제 양성을 위한 피정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이를 새로운 신학교 설립으로 발전시켰습니다. 또한 해외에 선교사를 파견하는 것은 물론 프롱드의 난(La Fronde) 때에는 중재 역할을 수행하며 고통받는 희생자를 위한 구호소를 세웠고 영적인 저술도 많이 남겼습니다.

 

가난한 이들 안에서 자신의 성소를 발견하고 인간의 고통과 비참을 경감시키기 위해 자신의 일생을 바쳤던 성 빈첸시오 드 폴은 귀족적이면서도 충성스러운 성격을 지녔으며 가난을 유발하는 구조적 환경을 개선하고 제거하는데 적극성을 보인 탁월한 인본주의 그리스도인입니다.

그는 1660년 9월 27일 파리에서 선종하여 라자로회 파리 본부에 묻혔는데, 당시 이미 그가 설립한 라자로회와 수도회는 프랑스와 영국, 아일랜드 등지에서 활발한 선교활동을 전개하고 있었습니다.

1729년 8월 13일 교황 베네딕투스 13세(Benedictus XIII)에 의해 시복되었으며, 1737년 6월 16일 교황 클레멘스 12세(Clemens XII)에 의해 성인품에 오른 성 빈첸시오 드 폴은 1885년 교황 레오 13세(Leo XIII)에 의하여 모든 자선 사업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습니다.

 

빈첸시오(Vincent) 축일 1.(1-5) _ 1월 22일, 1월 27일, 4월 19일, 4월 20일

 

빈첸시오(Vincent) 축일 2.(6-12) _ 5월 9일, 5월 24일, 6월 9일, 7월 24일, 8월 6일, 8월 25일

 

빈첸시오(Vincent) 축일 4.(17-20) _ 12월 20일, 9월 20일, 1월 1일, 9월 28일

 

빈첸시오(Vincent) 축일 5.(21-24) _ 3월 8일, 9월 3일, 1월 22일, 4월 5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