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야기/세례명 이야기

빈첸시오(Vincent) 축일 5.(21-24) _ 3월 8일, 9월 3일, 1월 22일, 4월 5일

 

빈첸시오(Vincent) 

21. 3월 8일 복자 빈첸시오 카드루벡(Vincent Kadlubeck)

3월8일-빈첸시오-카드루벡
성 빈첸시오 카드루벡 (3월 8일)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크라쿠프(Krakow)

활동연도 : 1150?-1223년

같은이름 : 뱅상, 빈센트, 빈첸시우스, 빈첸티오, 빈첸티우스, 벤켄티오, 빈케니우스, 원선시오 

 

폴란드의 크라쿠프 출신인 빈첸시오 카드루벡(Vincentius Kadlubeck)은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 수학한 뒤에 학위를 받고, 산도미르(Sandomir) 대성당을 비롯한 여러 교회의 주요 직책을 맡아 봉사하였습니다.

그는 1208년 크라쿠프의 주교로 선출되었는데 그 당시에는 그니에즈노(Gniezno)의 대주교인 하인리히 키에틀리츠가 교황 인노켄티우스 3세(Innocentius III)의 개혁 의지를 적극 추진하던 중이었으며 그래서 적극적인 지지와 협조로써 대주교를 도와 개혁을 진행하였습니다. 불안한 나라 안의 정치적 상황으로 인하여 종교적 분위기도 여의치 않았지만, 빈첸시오 카드루벡은 교회의 임무에 충실해야 정치 안정에 도움이 된다는 정책을 펼쳤으며 1218년 주교좌를 사임하고 예드르제호브(Jedrzejow)의 수도원으로 은퇴하여 개혁 시토회의 회원이 됩니다. 빈첸시오 카드루벡은 그곳에서 뛰어난 성덕을 쌓으며 살다가 그 수도원에서 사망하였고 그에 대한 공경은 1764년 교황 클레멘스 8세(Clemens VIII)에 의해 승인되었습니다.

 

22. 9월 3일 복자 빈첸시오 카발로 (Vincent Carvalho)

신분 : 선교사, 순교자 

활동연도 : +1632년

같은이름 : 뱅상, 빈센트, 빈첸시우스, 빈첸티오, 빈첸티우스, 벤켄티오, 빈케니우스, 원선시오 

 

포르투갈 리스본(Lisbon)의 알파마에서 태어난 빈첸시오 카발로(Vincentius Carvalho)는 리스본에서 아우구스티누스 회에 입회하여 1621년에 멕시코 선교사로 활약하였으며 그 후 1623년 일본 선교사로 왔다가 나가사키에서 체포되어 화형을 당하여 순교하였습니다.

1867년 일본 순교자들의 한 사람으로 시복되었습니다.

 

 

23. 1월 22일 성인 빈첸시오 팔로티 (Vincent Pallotti)

1월22일-빈첸시로-팔로티
성 빈첸시오 팔로티 (1월 22일)

신분 : 신부, 설립자

활동연도 : 1795-1850년

같은이름 : 뱅상, 빈센트, 빈첸시우스, 빈첸티오, 빈첸티우스, 벤켄티오, 빈케니우스, 원선시오 

 

1795년 4월 21일 로마(Roma)에서 식료품 장사를 하던 부유한 부모에게서 태어난 성 빈첸시오 팔로티(Vincentius Pallotti)를 그의 스승이었던 돈 페리(Don Ferri)는 그를 “작은 성인이지만 머리는 조금 둔했다”라고 평가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성장하면서 학업 성취 능력이 향상되었고 1818년 5월 16일에 사제품을 받게 되는데 같은 해 7월 25일 신학박사 학위를 받고 10년 동안 로마의 사피엔차(Sapienza) 대학에서 신학을 가르친 뒤 영성 지도와 강론에만 전념합니다. 

 

보혈회를 설립한 성 가스파르 델 부팔로(Gaspar del Bufalo, 1월 2일)와의 우정에서 고무된 성 빈첸시오는 자신의 직위를 포기하고 여러 본당에서 사목활동에 전념합니다. 1835년 성 빈첸시오는 변화와 정의에 헌신하고자 하는 성직자, 수도자와 평신도들을 모아 가난한 소년들을 위한 야간학교와 직업학교를 세우고 선진 농업기술의 전수를 위한 학원을 세웁니다.

학교에서는 젊은이들에게 제화, 제단 기술과 농업 같은 시장성이 있는 기술을 가르쳤고 그들의 작업에 자부심을 주입시켰고 그는 수도생활의 기도와 침묵에서만 성스러움을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삶에 있어서 필요한 부분을 찾아 채워주는 데에서도 찾을 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 일했습니다.

이러한 그의 정책은 북부 이탈리아에서 활동했던 성 요한 보스코(Joannes Bosco, 1월 31일)와 비슷합니다.

 

1835년 그는 팔라티노회(천주교 사도회)를 설립했는데, 성 빈첸시오의 일생 동안 12명의 회원만 있었지만 그 후로 크게 성장하였고 그는 가톨릭 사도직 수녀회도 설립하였는데, 이 수녀회는 후에 팔로틴 선교 수녀회로 발전하였습니다.

그들은 이탈리아, 브라질,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등지로 퍼져 창립자와 같은 이민자들을 돌보았고, 동방 정교회 그리스도교인들과의 종교 간 대화를 촉진시키는 데에도 전문적으로 활동하였습니다.

 

성 빈첸시오의 사도적 활동은 자신의 엄격함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며 1837년 콜레라가 창궐했을 때에도 그는 위험을 무릅쓰고 환자들을 돌보았고 사람들의 영적 목마름을 채워주기 위해 극도의 노력을 했으며 자신에게 다가오는 사제는 누구나 쏴버리겠다고 위협하는 환자에게 다가가기 위해 노파로 변장하기도 했습니다.

1844년 성 빈첸시오는 자신이 가장 신뢰하는 신부를 런던(London)에 사는 이탈리아인들을 사목하도록 파견하는데 그 후로 그의 수도회는 세계 각지로 뻗어나갔습니다. 로마의 시민들은 성 빈첸시오 신부를 19세기에 나타난 성 필리푸스 네리우스(Philippus Nerius, 5월 26일)로 이해했는데 성 빈첸시오는 자신의 옷을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고는 반라의 모습으로 돌아오곤 했기 때문입니다.

 

성 빈첸시오 팔로티는 죄인들의 회개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다가 1850년 1월 22일 55세의 나이로 로마에서 선종하였고 1950년 1월 20일 교황 비오 12세(Pius XII)에 의해 시복되었습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진행 중이던 1963년 1월 20일 교황 요한 23세(Joannes XXIII)에 의해 시성되었으며 교황 비오 11세는 그를 '가톨릭 액션(Catholic Action)의 선구자'라고 불렀습니다.

 

 

24. 4월 5일 성인 빈첸시로 페레르 (Vincent Ferrer)

신분 : 신부, 설교가 

활동연도 : 1350-1419년

같은이름 : 뱅상, 빈센트, 빈첸시우스, 빈첸티오, 빈첸티우스, 빈켄티오, 빈켄티우스, 원선시오, 페레리오, 페레리우스 

 

성 빈첸시오 페레르(Vincentius Ferrer)는 1350년 1월 23일 에스파냐에 정착한 영국인인 아버지 윌리엄 페레르(William Ferrer)와 발렌시아 출신의 어머니 콘스탄스 미구엘(Constance Miguel)의 넷째 아들로 에스파냐 발렌시아(Valencia)에서   태어났습니다.

탄생과 관련한 전설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는 꿈에서 도미니코회 수도자에게 자기 아들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사람이 되리라는 말을 들었고, 그의 어머니는 산고를 경험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의 부모는 그에게 발렌시아에서 순교하여 에스파냐의 첫 순교자로서 그 지방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는 사라고사(Zaragoza)의 성 빈첸시오 순교자(1월 22일)의 이름을 따서 아기의 이름을 지었으며 어려서부터 신앙 안에서 성장하며 교회에 자신을 봉헌할 결심을 한 성 빈첸시오 페레르는 1367년에 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고향에 있는 도미니코회에 입회하였습니다. 

 

그는 이듬해 첫 서원을 하고 타라고나(Tarragona)에서 2년간 수학한 후 레리다(Lerida)에서 논리학을 가르쳤고 1373년부터는 바르셀로나(Barcelona)에 있는 도미니코회의 성서 연구소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1379년에 툴루즈(Toulouse)에서 공부를 마친 후 바르셀로나에서 루나의 베드로(Petrus de Luna) 추기경에게 사제품을 받았습니다. 그 후 바로 고향 발렌시아 수도원의 부원장으로 선임되었으며 1384년부터는 임기를 마치고 발렌시아 주교좌성당 학교에서 신학을 가르쳤고, 1389년에는 신학 교수가 됩니다.

 

1378년 교황 그레고리우스 11세(Gregorius XI)가 선종한 후 대립교황이 출현하면서 서구 교회를 크게 분열시킨 ‘서구대이교’(西歐大離敎) 사건은 성 빈첸시오 페레르에게 큰 시련이었는데 그는 로마의 교황 우르바누스 6세(Urbanus VI)의 선출이 무효라 확신했고, 아비뇽(Avignon)에 머무는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Clemens VII)를 적극적으로 지지합니다. 1390-1394년에 그는 루나의 베드로 추기경을 보좌하면서 교황 클레멘스 7세에게 충성하도록 사람들을 설득했고, 에스파냐 전역을 순회하며 설교와 성사 집전에 헌신하였습니다. 그는 자신이 복음을 전할 사명을 받았다고 확신했으며 그래서 그리스도교 신자뿐만 아니라 유대교와 이슬람교 신자들, 이단인 카타리파(Cathari)와 발도파(Valdesii) 사람들에게도 복음을 전했습니다.

또한 뛰어난 설교와 상대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뛰어났던 그는 유대인과 무슬림 사이에서도 좋은 평판을 들었습니다.

 

1394년에 클레멘스 7세가 선종하고 루나의 베드로 추기경이 베네딕투스 13세(Benedictus XIII)라는 이름으로 대립교황이 되면서 그는 새 교황의 고해신부로 임명되어 아비뇽으로 가게 됩니다.

로마와 아비뇽의 교황이 모두 교황직을 사임하고 후계자를 선출함으로써 교회의 분열과 분리를 끝내기를 희망했던 그는 베네딕투스 13세가 이를 거절하자 그에 대해 지지를 철회하고 1399년 11월 아비뇽을 떠납니다. 그 후 20여 년 동안 에스파냐뿐만 아니라 남부 프랑스와 롬바르디아(Lombardia), 스위스와 북부 프랑스, 네덜란드 등을 순회하며 활발한 설교 활동을 전개하던 그는 설교 중에 참회의 필요성과 요한 묵시록 14장 6-13절에 나오는 심판의 천사가 다가왔음을 힘주어 강조했는데 많은 전기 작가들은 카탈로니아(Catalonia) 말만 할 줄 알았던 그가 여러 지방에서 설교하면서 큰 성공을 거두자 ‘말씀을 은혜’를 받았다고 믿었습니다.

또한 그가 가는 곳마다 기적이 일어나면서 ‘기적을 행하는 사람’이란 별명도 얻게 되었는데 그의 설교에 감동한 개종자의 무리가 마치 군대의 행진처럼 무리를 지어 나왔다고 전해집니다.

1404년에 그는 자신의 설교에 감동해 가는 곳마다 따라다니는 이들을 하나의 조직으로 구성하였으며 도미니코회의 복장을 하고 순례자의 지팡이를 지닌 그들은 ‘빈첸시오의 동료’(The Company of Master Vincent)라고 불렸습니다.

 

성 빈첸시오 페레르는 활발한 순회 설교 중에도 교회의 분열을 걱정하며 교회 일치를 위해 베네딕투스 13세의 사임을 설득했는데 서구대이교의 극복을 위해 1414년에 콘스탄츠(Konstanz) 공의회가 개최되자 그는 다시금 교황의 사임을 설득했으나 결국 실패합니다. 1416년 베네딕투스 13세에 대한 지지를 철회함으로써 교회 분열을 극복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며 1417년 콘스탄츠 공의회는 마르티누스 5세(Martinus V)를 새 교황으로 선출함으로써 서구 교회의 분열은 정식으로 종결됩니다. 성 빈첸시오 페레르는 선종하기 3년 전부터 프랑스의 노르망디(Normandie)와 브르타뉴(Bretagne) 지방에서 주로 순회 설교를 하며 지내다가 1419년 4월 5일 브르타뉴의 반(Vannes)에서 프랑스와 영국 사이의 ‘백년전쟁’(百年戰爭)을 끝내도록 설득하는 설교를 하던 중 선종하여 반 대성당에 묻힙니다. 

 

성 빈첸시오 페레르가 선종한 후 신자들 사이에서 그에 대한 공경이 일어나 교황 칼리스투스 3세(Callistus III)는 성인가 시성 절차를 거쳐  1455년 그를 성인으로 선언했고, 1458년 후임 교황인 비오 2세(Pius II)가 그의 시성 칙서에 서명하였으며 회개와 참회를 중심 주제로 설교하여 제2의 세례자 요한이라 불리는 성 빈첸시오 페레르는 중세 시대에 가장 뛰어난 설교가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요한 묵시록의 심판을 예고하는 천사에 대한 설교로 인해 ‘심판의 천사’라는 별명도 얻었으며 그래서 에스파냐의 많은 미술가는 그를 묵시록에 나오는 하늘을 나는 천사의 날개를 달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합니다.

성 빈첸시오 페레리우스(Vincentius Ferrerius, 또는 빈첸시오 페레리오)로도 불립니다.

 

 

빈첸시오(Vincent) 축일 1.(1-5) _ 1월 22일, 1월 27일, 4월 19일, 4월 20일

 

빈첸시오(Vincent) 축일 2.(6-12) _ 5월 9일, 5월 24일, 6월 9일, 7월 24일, 8월 6일, 8월 25일

 

빈첸시오(Vincent) 축일 3.(13-16) _ 9월 1일, 9월 11일, 10월 27일, 9월 27일,

 

빈첸시오(Vincent) 축일 4.(17-20) _ 12월 20일, 9월 20일, 1월 1일, 9월 28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