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스티노(Justin)
같은 이름 유스띠노, 유스띠누스, 유스티누스, 저스틴
1. 1월 1일 성인 유스티노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키에티(Chieti)
활동연도 : _+540년
성 유스티누스(Justinus, 또는 유스티노)는 아주 옛날부터 이탈리아 키에티의 성인으로 공경받아 왔는데 어떤 저자들은 그를 키에티의 주교로서 묘사하고 있습니다.
2. 6월 1일 성인 유스티노
신분 : 교부, 순교자, 호교론자
활동연도 : 100/110? - 165년
성 유스니노는 100~110년 사이에 팔레스티나(Palestina)의 사마리아 지방에 세워진 로마제국의 도시인 플라비아 네아폴리스(Flavia Neapolis, 오늘날 팔레스타인 중부의 나블루스 Nablus)의 한 이교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렸을 때의 성장 과정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는 진리를 찾는 구도자의 자세로 꾸준히 탐구하는 학구적인 사람이었고 스토아 철학,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피타고라스 철학 그리고 플라톤 철학에 연이어 몰두하였지만 만족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카이사레아(Caesarea)의 바닷가를 산책하다가 한 노인을 만나 인간의 모든 사상, 플라톤 사상에도 한계와 부족함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리스도교에 입교하게 되는데 그가 그리스도교에 심취하게 된 또 다른 이유는 순교자들의 영웅적인 태도에 감동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결국 성 유스티누스는 130년경 에페수스(Ephesus)에서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교 신자가 되며 그 후 그는 구도자로서가 아니라 진리의 설파자, 신앙의 설교가로 길을 바꾸어 한평생을 하느님께 봉헌합니다.
그는 평신도였으나 스승이며 복음의 사도가 된 것입니다.
성 유스티노는 132~135년 사이에 에페수스에서 트리폰이라는 유다인과 종교에 관한 토론을 벌였는데, 그 내용을 토대로 155년에 “트리폰과의 대화”(Dialogue with Trypho the Jew)를 저술하게 됩니다.
그는 순회 교사로서 여러 지방을 돌아다니며 가르치다가 안토니우스 피우스 황제(Antonius Pius, 138~161년 재위)가 있는 로마에 도착해서 그곳에 머물며 자기 집에서 교리를 가르치는 학교(schola)를 세우고 그리스도인들을 박해하는 황제와 집정관에게 항의하는 2편의 “호교론”(Prima Apologia, Secunda Apologia)을 썼습니다.
그는 그리스도교의 첫 번째 호교론자이며 또 그리스도교에 대한 장문의 글을 남긴 최초의 평신도였는데 크레센스(Crescens)라는 견유학파에 속한 사람과 논쟁을 벌이다가 그의 사주로 인해 로마의 집정관인 유니우스 루스티쿠스(Junius Rusticus)에게 고발되어 다른 6명의 동료와 함께 체포됩니다.
그들은 이방 신전에 희생물을 바치라는 요구를 거절하고 수많은 고문을 당한 후 참수형을 받고 순교하였으며 그는 2세기 호교론자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신학자요 철학자이자 교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옛 "로마 순교록"에서는 그의 축일을 4월 14일에 기념했으나 1969년 전례력 개정 이후 6월 1일로 옮겨 기념하고 있습니다.
3. 7월 18일 성인 유스티노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우프로시나(Euphrosyne) 축일 _ 1월 1일, 5월 7일, 5월 23일 (0) | 2022.09.21 |
---|---|
유스티노(Justin) 축일 2. (4-8) _ 8월 1일, 9월 17일, 12월 12일, 7월31일, 5월 21일 (0) | 2022.09.20 |
빈첸시오(Vincent) 축일 5.(21-24) _ 3월 8일, 9월 3일, 1월 22일, 4월 5일 (0) | 2022.09.19 |
빈첸시오(Vincent) 축일 4.(17-20) _ 12월 20일, 9월 20일, 1월 1일, 9월 28일 (0) | 2022.09.18 |
빈첸시오(Vincent) 축일 3.(13-16) _ 9월 1일, 9월 11일, 10월 27일, 9월 27일 (0) | 2022.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