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고리오 (Gregory) 라는 세례명은 총 28분이나 계시는데 각각 어떤 분이신지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레고리오 (Gregory)
같은이름 그레고리, 그레고리우스
1. 1월 1일 성인 그레고리오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나지안주스(Nazianzus)
활동연도 : +374년
성 그레고리우스는 그의 생애 중 처음 50여 년간을 이교도로서 보냈고, 성년의 대부분은 정부의 관리로 지냈습니다.
그는 성녀 논나(Nonna, 8월 5일)와 결혼하였고, 그녀는 325년에 그를 그리스도교로 개종시켰습니다.
성 그레고리우스(1월 2일)와 성 카이사리우스(2월 25일), 그리고 성녀 고르고니아(12월 9일)의 아버지인 그는 328년에 나지안주스의 주교가 됩니다.
주교가 된 후 그는 이단적인 그리스도교의 분파에 빠져들었으나 361년 그의 아들 성 그레고리우스에 의해 정통 신앙으로 되돌아 왔습니다.
2. 1월 2일 성인 그레고리오
신분 : 주교, 교회학자, 교부
활동지역 : 나지안주스(Nazianzus)
활동연도 : 329/330-389/390
나지안주스의 주교로 45년간 사목했던 성 그레고리우스(1월 1일)와 성녀 논나(8월 5일)의 아들로 태어난 성 그레고리우스는 카파도키아의 나지안주스 또는 인근의 아리아주스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아버지를 그리스도교로 개종시키고 기도와 사랑의 실천으로 모법이 된 어머니로부터 신앙의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유년 시절 가정에서 성경 읽기를 배우고 그 후 카파도키아의 카이사레아와 팔레스티나의 카이사레아 수사학교에 다녔고 알렉산드리아를 거쳐 아테네에서 수학하였습니다.
356년까지 아테네에 머무르는 동안 성 대 바실리우스와 교제했고, 장차 황제가 될 율리아누스 배교자와 함께 공부하였으며 30세 무렵 고향으로 돌아온 그는 세례를 받고 소박하고 금욕적인 생활을 위해 성 대 바실리우스와 함께 폰투스 지방의 이리스 강변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합니다.
그러나 부친의 권유로 362년 부활절에 사제품을 받았고 372년 사시마의 주교로 임명되었습니다.
사시마 교구는 아리우스파의 영향력이 큰 지역으로 분쟁이 끊이지 않아 성 그레고리우스는 주교로 축성은 되었으나 부임하지는 못하였고, 374년 봄 아버지가 선종한 후 그 뒤를 잇도록 나지안주스의 주교로 임명되었지만 1년 후 이사우리아 지방의 셀레우키아에 있는 수도원으로 떠납니다.
378년 아리우스파인 발렌스 황제가 죽고 정통교회에 대한 박해가 수그러들자 일단의 주교들이 그를 콘스탄티노플로 초청하여 아리우스파 지역에서 정통교회의 활성화를 도모하게 하였는데 그래서 그는 작은 공동체인 아나스타시아 교회에서 설교를 시작해 수많은 개종자를 얻었으며 이때 아리우스파인 막시무스와 격렬한 논쟁을 일으켰고 380년 새로 입교한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그의 가르침을 정통교리로 인정하고 아리우스파 지도자를 축출하는 칙서를 발표하게 하여 정통파의 신앙의 승리를 이끌었습니다.
381년 3월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에서 그는 그 도시의 주교로 인정받고, 안티오키아의 멜레티우스가 사망한 후 총대주교가 되지만 이것이 큰 파문을 일으켜 안티오키아와 이집트의 교회가 주교좌 이전에 반대하며 격렬히 반대하자 교회의 평화를 위해 주교직에서 물러납니다.
공의회가 끝나기 전 나지안주스로 돌아온 그는 383년 에울랄리우스가 후계자로 임명될 때까지 나지안주스의 주교직을 맡았으며 그 후 저술 활동과 수도 생활에 전념하고자 아리안주스로 내려와 생애와 마지막을 그곳에서 보냈습니다.
그는 아리우스 이단에 대항해 정통교회를 수호하는데 큰 공적을 남겼으며, 또 니케아 신앙 고백을 해설하고 삼위일체 교리를 확고히 하는 등의 큰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동방교회의 4대 교회학자 중 한 명으로 선포되었습니다.
3. 1월 4일 성인 그레고리오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랑그르(Langres)
활동연도 : +539년
귀족 출신인 성 그레고리우스는 거의 40여 년 간 오툉 지역의 백작으로 있으면서 정의를 실천에 옮긴 분으로 명성을 얻었습니다. 그러나 그의 아내일 아르멘타리아가 운명하자 세속을 멀리하고 오로지 하느님을 섬기는 일에만 전념합니다.
그리하여 랑그르의 성직자와 시민들이 그를 주교로 선출하였는데, 놀라운 믿음과 열성으로 사목자의 의무를 다하였으며 음식과 술을 극도로 절제하였고 밤새도록 기도하는 등 모든 면에서 성덕이 출중하였으며 부르고뉴의 사도인 성 베니뇨를 비롯한 수많은 성인들과 친교를 나누었습니다.
4. 2월 27일 성인 그레고리오
신분 : 수도승, 시인, 교회학자
활동지역 : 나렉(Narek)
활동연도 : 950? - 1003년 경
성 그레고리우스는 950년경 오늘날의 터키 동쪽 끝에 있는 반호수 근처의 나렉이라는 한 작은 아르메니아 마을에서 학구적인 성직자 집안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매우 어린 나이에 어머니를 여읜 그는 그 지역에 수도원과 학교를 설립한 친척이자 스승인 나렉의 아나니아에게 교육을 받았으며 사제였던 아버지 코스로프의 영향을 받아 자연스럽게 사제의 길을 걷게 되었는데 그의 부친은 후에 대주교가 됩니다.
그는 어린 나이에 아나니아가 세운 나렉의 수도원에 들어간 철저한 수도 생활과 신학교육을 받고 25세에 사제품을 받습니다.
나렉의 수도원에서 수도사제로 평생을 보내며 수도원 학교에서 가르쳤던 전례학은 물론 음악, 천문학, 지리학, 수학에도 뛰어난 능력을 보였으며 수많은 강연과 다양한 저술, 많은 서한과 담화, 시와 노래 등 후대에 길이 남을 작품들을 남겼습니다.
특히 '아가서 주해'와 '야가'는 걸작으로 꼽히는데 그가 직접 쓴 95개의 기도문으로 구성된 '애가'는 '하느님으로부터 분리된 인간과 그분과의 재결합을 위한 인간의 탐구'를 주제로 하고 있으며 이 책은 이미 1673년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출판되어 30개 언어로 번역된 바 있으며 현재도 아르메니아 교회 전례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는 아메니아 가톨릭 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이미 성인으로 공경을 받아왔으며 그의 이름은 2001년 발행되어 1004년에 개정된 최신 "로마 순교록"의 2월 27일 목록에 올라와 있습니다.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는 회칙 '구세주의 어머니' 제31항에서 그를 뛰어난 아르메이나인등 중의 한 사람으로 언급하며 '하느님의 어머니에 대한 찬미 중에서 강렬한 시적 영감으로 강생 신비의 여러 다른 면들을 고찰하고 있으며 이 다른 면들 하나하나가 그에게 있어서는 사람이 되신 말씀의 어머니, 동정녀 마리아의 특별한 품위와 놀라운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찬양하는 기회가 된다'라고 하였으며 아루메니아인 세례 1700주년을 기념한 사도적 서한뿐만 아니라 몇 차례의 연설에서도 그를 언급하였습니다.
그의 이름은 또한 가톨릭 교회 교리서 2678항에서 성모송이나 성모 찬미가 등의 기도 전통과 관련하여 언급되고 있습니다.
아르메니아의 첫 번째 위대한 시인으로 칭송받는 그는 동방교회, 특별히 아르메니아 교회 전례와 사상, 문학 등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수도사제로서 그가 남긴 기도문 대부분은 지금도 아르메니아 정교회 전례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5년 2월 21일 재임 중 처음으로 수도사제이자, 시인, 신비주의적 철학자, 신학자, 성인으로서 존경받는 나렉의 성 그레고리우스를 교회학자(교회박사)로 선포하였으며 이로써 가톨릭 교회의 교회학자는 총 36명이 되었습니다.
아르메니아 교회는 그의 축일을 10월 중에 이동 축일로 기념하고 있으며 교황청 경신성사성은 2021년 1월 25일 교령을 발표하여 2월 27일을 나렉의 성 그레고리우스 기념일로 제정하며 전례력에 추가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2 (5-10) _ 3월 9일, 4월 24일, 4월 26일, 5월 9일, 6월 18일, 8월 25일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2 (5-10) _ 3월 9일, 4월 24일, 4월 26일, 5월 9일, 6월 18일, 8월 25일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3 (11-16) _ 9월 30일, 11월 17일, 11월 20일, 11월 23일, 11월 27일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4 (17-23) _ 12월 19일, 12월 24일, 1월 10일, 9월 3일, 2월 11일, 12월 10일, 5월 25일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 3.(11-16) _ 9월 30일, 11월 17일, 11월 20일, 11월 23일, 11월 27일 (0) | 2022.08.17 |
---|---|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 2.(5-10) _ 3월 9일, 4월 24일, 4월 26일, 5월 9일, 6월 18일, 8월 25일 (0) | 2022.08.17 |
천주의 성모마리아 대축일 _ 1월 1일 (마리아 관련 세례명, 축일 정리) (0) | 2022.08.16 |
가톨릭 신앙의 의미를 넣어 아기 이름 짓기 (0) | 2022.08.14 |
12월이 축일인 천주교 세례명 알아보기 _ 남자편 (0) | 2022.08.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