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고리오 (Gregory) 라는 세례명은 총 28분이나 계시는데 각각 어떤 분이신지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레고리오 (Gregory)
11. 9월 30일 성인 그레고리오
신분 : 주교, 증거자
활동지역 : 아르메니아 (Armenia)
활동연도 : 240-326년
같은이름 : 그레고리, 그레고리우스
계몽주의자로 불리는 성 그레고리우스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아르메니아의 코스로프 1세를 제거했던 아나크의 아들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사건으로 부친과 함께 카이사레아로 피신하여 살면서 여기서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습니다.
코스로프의 아들 티리다테스가 즉위하면서 개종하고 그리스도교가 아르메니아의 국교임을 천명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그는 아쉬티샷의 주교로 축성되면서부터 아르메니아 교회를 제도화시켰고 이방인 성직자를 양성하여 복음화에 전혁을 경주하였습니다.
그는 아르메니아의 사도이며 수호성인으로서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12. 11월 17일 성인 그레고리오 (타우마트루구스)
신분 : 주교, 선교사, 기적자
활동지역 : 네오카이사레아(Neocaesarea)
활동연도 : 213 - 270
같은이름 : 그레고리, 그레고리우스, 타우마투르고, 타우마투르구스
소아시아 폰투스의 네오카이사레아의 이방인 가문에서 태어난 성 그레고리우스 타우마투르구스는 훌륭한 집안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볍률을 공부하였습니다. 233년 동생인 성 아테노도루스(10월 18일)와 함께 법학을 계속 공부하기 위해 레바논의 베이루트로 가는데 그 후 누이의 초청으로 팔레스티나의 카이사레아에 갔을때 오리게네스를 만나 그의 문하로 들어가 그에 의해 세례를 받고 개종합니다.
5년 동안 오리게네스의 문하생으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한 뒤 선교사로 폰투스로 돌아온 그는 아직 젊었음에도 불구하고 네오카이사레아의 주교로 임명돼서 30여 년 간 지역 주민들의 개종 사업에 전력을 다하였으며 교회의 축제일에 세속적인 흥미를 가미시키는 방법으로 그리스도교 전통을 대중화시킨 인물로 유명합니다.
많은 신학논문들을 남겼으며 그의 높은 인기 때문에 '타우마투르고' (기적자(놀라운 일을 하는 사람))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13. 11월 17일 성인 그레고리오
신분 : 주교, 역사가
활동지역 : 투르(Tours)
활동연도 : 538-594년
같은이름 : 그레고리, 그레고리우스
성 그레고리우스 플로렌티우스는 프랑스 중남부 오베르뉴 지역에 속한 클레르몽의 명문가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는 오베르뉴의 원로원 의원이었습니다. 그의 이름은 원래 게오르기우스 플로렌티우스였는데 외가 쪽 친척인 랑그르의 성 그레고리우스(1월 4일) 주교를 따라 그레고리우스라는 이름을 택합니다.
아버지가 사망한 후 어머니는 세 자녀를 데리고 프랑스 동부 부르고뉴 지방으로 이사하는데 그곳에서 성 그레고리우스는 숙부이자 클레르몽의 주교인 성 갈루스(7월 1일)의 지도를 받으며 성장하였으며 후에 클레르몽의 주교가 된 성 아비투스(8월 21일) 대부제에게 성경을 배웠습니다.
563년 중병에 걸리지만 투르의 성 마르티누스(11월 11일)의 묘를 순례하고 나서 완쾌됩니다. 그 후 잠시 리옹에서 살기도 하고 부제직을 수행하다가 573년 투르의 주교이자 외숙부인 성 에우프로니우스(8월 4일)가 선종한 후 그의 후계자로 선출되어 주교품을 받았습니다.
당시의 투르는 프랑스 중부의 주요 도시이자 투르의 성 마르티누스의 무덤을 찾는 순례자와 기적을 바라는 환자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었는데 정치적 상황이 복잡하여 그가 재임하는 20년간 투르의 지배자는 몇 차례나 바뀌었고 이로 인해 유능하고 영향력 있는 성 그레고리우스 주교는 정치적 문제에 휘말려 어려움을 걷기도 하지만 언제나 관대하게 위정자들을 대하고 착한 목자로서 주교직에 충실하고자 노력합니다.
그는 투르의 대성당을 비롯하여 수많은 교회들을 재건하고, 이단자들의 개종에 힘썼으며 순례자들을 돌보는데 소홀함이 없었고 정의와 사랑, 그리고 신심에 있어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유명했습니다.
특히 그는 성인들의 묘를 순례하고 축일을 성대하게 지내며 8권의 '성인전'을 저술하여 많은 성인과 순교자, 교부들의 이야기와 기적을 상세히 전해주었는데 그의 대표작으로는 591년에 완성한 '프랑크족의 역사'가 있습니다. 총 10권으로 이루어진 이 책은 역사서로 6세기의 역사, 정치, 사회, 전례, 성인 신심 등을 이해하는데 거의 유일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4. 11월 20일 성인 그레고리오
신분 : 증거자
활동지역 : 데카폴리스(Decapolis)
활동연도 : +9세기
같은이름 : 그레고리, 그레고리우스
소아시아 지방 데카폴리스에서 태어난 성 그레고리우스는 열성적으로 성상파괴주의자들을 반대하였고 그 때문에 그들로 인해 극심한 고통을 당하였습니다.
15. 11월 23일 성인 그레고리오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지르젠티(Girgenti)
활동연도 : +638년경
같은이름 : 그레고리, 그레고리우스
성 그레고리우스는 시칠리아의 지르젠티(오늘날의 아그리젠토)에서 태어나 그곳의 주교인 성 포타미온의 보호를 받고 성장한 뒤 팔레스티나를 순례하면서 4년 동안 머무릅니다. 그는 예루살렘에서 부제품을 받고 안티오키아와 콘스탄티노플로 파견되었는데, 니체 포루스 칼리스투스에 의하면 그는 당대에서 가장 거룩하고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 후 로마로 간 그는 지르젠티 교구장이 됩니다.
16. 11월 27일 성인 그레고리오
신분 : 신비가
활동지역 : 시나이산(Mount Sinai)
활동연도 : 1290-1346년
같은이름 : 그레고리, 그레고리우스
성 그레고리우스는 셀주크투르크족의 침략으로 포로가 되어 고향을 떠났으나 이웃 사람들이 대속금을 지불하여 풀려난 뒤 시나이산의 은수자 공동체에 합류합니다.
그러나 그곳 생활에 불만을 느끼고 크레타 섬으로 가 다른 수도승으로부터 묵상기도를 배운 후 아토스산으로 가서 수행한 결과 '참다운 묵상과 관상'을 아는 사람으로 높은 존경을 받게 됩니다.
그러나 또 다른 해적들이 침략하자 그는 어쩔 수 없이 아토스산을 떠나게 되는데 그 후 1325년 경 흑해 연안 소조폴 교외의 파로리아산에 수도원을 짓고 여생을 보냅니다.
그의 영성의 특징은 묵상기도에서 육체적인 도움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호흡법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 1 (1-4) _ 1월 1일, 1월 2일, 1월 4일, 2월 27일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2 (5-10) _ 3월 9일, 4월 24일, 4월 26일, 5월 9일, 6월 18일, 8월 25일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4 (17-23) _ 12월 19일, 12월 24일, 1월 10일, 9월 3일, 2월 11일, 12월 10일, 5월 25일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5 (24-28) _ 7월20일, 3월 16일, 6월 18일, 5월 4일, 11월 14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