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고리오 (Gregory) 라는 세례명은 총 28분이나 계시는데 각각 어떤 분이신지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레고리오 (Gregory)
같은이름 그레고리, 그레고리우스
5. 3월 9일 성인 그레고리오
신분 : 주교, 교부, 신학자
활동지역 : 나사(Nyssa)
활동연도 : 335?-395년?
성 그레고리우스는 성 바실리우스(5월 30일)와 성녀 엠밀리아(5월 30일)의 아들로 카파도키아의 카이사레아에서 태어나 그의 형인 성 대 바실리우스(1월 2일)와 누나인 성녀 마크리나(7월 19일)의 영향을 받고 성장하였습니다.
성 그레고리우스는 훌륭한 교육을 받았기에 수사학자가 되어 테오세베이아와 결혼하였고 수사학 교수가 되었으나 나지안주스의 성 그레고리우스(1월 2일)의 영향으로 수도생활을 시작한 후 사제품을 받았습니다.
그 후 아르메니아의 니사 교구의 주교가 되었으나, 아리우스파의 끊임없는 공격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폰투스의 집정관으로부터 교회 재산을 남용했다는 무고를 받고 투옥되었으나 도망쳤고, 그라티아누스 황제가 그를 다시 복직시켰습니다.
379년 멜레티우스 이단을 단죄한 안티오키아 공의회에 참석하였으며 이 공의회의 결정에 따라 팔레스티나와 아라비아의 이단들을 척결하도록 파견되었습니다.
또한 381년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에도 참석하여 아리우스 이단을 공격하고 니케아 선언문을 재확인하는데 크게 기여하여 정통교회의 수호자로 칭송을 받았으며 오리게네스와 플라톤의 영향을 많이 받은 신학자로서 많은 논문을 남겼습니다.
제2차 공의회(680-681년)는 그를 '교부들 중의 교부'로 선포하였습니다.
6. 4월 24일 성인 그레고리오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엘비라(Elvira)
활동연도 : +392년경
에스파냐 남부 엘비라(오늘날의 그라나다) 교구의 주교였던 성 그레고리우스는 아리우스주의에 대항한 신앙의 승리자들 중 한 명으로 시종일관 이단과의 타협을 거부하였으며, 359년에 열린 리미니 공의회에 참석한 몇 명의 주교들 중 한 명입니다.
7. 4월 26일 복자 그레고리오
신분 : 선교사, 증거자
활동연도 : +1300년
그레고리우스와 도미니코는 도미니코회의 초창기에 살았던 수도자들로 영혼을 구하려는 열망에 불타 원장의 허락을 받고 에스파냐 아라곤의 바르바스트로 부근의 무어인들이 사는 산악지대 마을인 소몬타노에서 복음을 전하였습니다.
그들은 피레네 산맥을 따라 가면서 고지대에 사는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였으며 복음 말씀 그대로 돈도 없고 맨발이었습니다.
작은 마을에서 작은 마을로, 이 산에서 저 산으로 다니며 마을 어귀에 닿으면 조그만 종을 울려 사람들에게 자신의 도착을 알렸으며 말씀을 전하고 대접해 주는 대로 먹고 잠을 잤습니다.
그러던 중 갑자기 폭풍우를 만나 바위 밑에 피신해 있던 중 바위더미가 무너지면서 그 밑에 깔려 죽었는데 그들의 시신은 기적적으로 마을 사람들에게 발견되어 바르바스트로 교구의 베니안스에 안장되었습니다.
복음적인 선교사로 큰 공경을 받고 있는 그들에 대한 공경은 1854년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승인되었습니다.
8. 5월 9일 성인 그레고리오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오스티아)Ostia)
활동연도 : +1044년
베네딕토회 수도승이었던 성 그레고리우스는 이탈리아 오스티아의 주교가 되었고 후에 에스파냐 지방에 있던 옛 왕국인 나바라와 카스티야의 교황대사로 활동하였습니다.
에스파냐와 나바라와 라리오하 지방에서 널리 공경받고 있는 그는 1044년 로그로뇨에서 선종하였습니다.
9. 6월 18일 성인 그레고리오
신분 : 주교, 증거자
활동연도 : +5세기 말
성 그레고리우스 주교와 성 데메테리우스 부제, 그리고 수도원장이었던 성 칼로게루스는 아리우스파의 반달족에 의해 그들의 고향으로부터 북아프리카로 쫒겨났다가 시칠리아 섬 메시나 부근 프라갈라타 주변 지역에 정착하여 복음을 선포하였습니다.
성 칼로게루스는 원래 그리스의 은수자이자 선교자로 '은둔자'로 불렸는데 교황으로부터 수도원의 관습을 받아들여 시칠리아 섬 지르젠티(오늘날의 아그리젠토) 근처에서 30년 이상을 은수자로 살았으며 레파리 섬의 선교자로 봉사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10. 8월 25일 성인 그레고리오
신분 : 수도원장, 선교사
활동지역 : 위트레흐트(Utrecht)
활동연도 : 707?-775년경
성 그레고리우스는 트리어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인근의 팔젤수도원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722년 독일의 사도인 성 보니파우티스(6월 5일)가 프리슬란트에서 헤센과 튀링겐 지방으로 갈 때 그 수도원에 머문 적이 있는데 성 보니파티우스는 식사 자리에서 성 그레고리우스에게 성경을 읽도록 하고 그에 대한 설명과 사도적 생활에 대한 장점 등을 설명해 주었는데 이때 성 그레고리우스는 보니파티우스의 주목을 받아 그의 제자가 되었고 후에 그의 협력자가 되어 선교 활동에 동행하였습니다.
750년 경 성 그레고리우스는 위트레흐트의 성 마르티누스 수도원 원장을 책임을 맡았으며 이 수도원은 일종의 선교 신학교로 프랑크, 프리슬란트, 작센, 바이에른, 슈바벤 등 여러 지역과 국가에서 모인 이들이 학문을 연구하는 전당이자 선교사들을 교육하는 곳이었으며 많은 학자들이 이곳을 찾아왔습니다.
754년에 스승인 성 보티파티우스가 순교하자 20년 가까이 프리슬란트 선교단을 이끌었습니다.
그가 주교였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이는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 1 (1-4) _ 1월 1일, 1월 2일, 1월 4일, 2월 27일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3 (11-16) _ 9월 30일, 11월 17일, 11월 20일, 11월 23일, 11월 27일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4 (17-23) _ 12월 19일, 12월 24일, 1월 10일, 9월 3일, 2월 11일, 12월 10일, 5월 25일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5 (24-28) _ 7월20일, 3월 16일, 6월 18일, 5월 4일, 11월 14일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 4. (17-23) _ 12월 19일, 12월 24일, 1월 10일, 9월 3일, 2월 11일, 12월 10일, 5월 25일 (0) | 2022.08.18 |
---|---|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 3.(11-16) _ 9월 30일, 11월 17일, 11월 20일, 11월 23일, 11월 27일 (0) | 2022.08.17 |
그레고리오(Gregory) 축일 1.(1-4) _ 1월 1일, 1월 2일, 1월 4일, 2월 27일 (0) | 2022.08.16 |
천주의 성모마리아 대축일 _ 1월 1일 (마리아 관련 세례명, 축일 정리) (0) | 2022.08.16 |
가톨릭 신앙의 의미를 넣어 아기 이름 짓기 (0) | 2022.08.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