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리아노(Julian)
율리아노는 남성분들이 많이 사용하시는 세례명으로 여러 명의 성인, 복자가 있어 원하는 날짜로 선택이 가능하며 율리아나라는 세례명으로 부부가 함께 사용하거나 율리아나의 여성형인 율리아나로 사용하여 같은 축일로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1. 1월 7일 성인 율리아노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칼리아리(Cagliari)
활동연도 : +연대미상
같은이름 율리아누스, 줄리안, 줄리언
성 율리아노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1615년 성 율리아노의 유해가 발견되었으며 성당에 모셔졌고 이탈리아 사르데냐(Sardegna)의 칼리아리에서 존경받고 있는 성인입니다.
2. 1월 8일 성인 율리아노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290년
같은이름 율리아누스, 줄리안, 줄리언
로마(Roma)에서 프랑스 지방으로 온 선교사제였던 성 루키아누스(Lucianus)는 주로 보베에서 복음을 선포하였는데 그의 동료였던 성 율리아노와 성 막시미아누스(Maximianus)와 함께 순교의 월계관을 받았습니다.
3. 1월 9일 성인 율리아노
4. 1월 27일 성인 율리아노 1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소라(Sora)
활동연도 : +150년
같은이름 율리아누스, 줄리안, 줄리언
성 율리아노는 달마티아(Dalmatia) 사람으로 이탈리아 캄파니아(Campania)의 소라에서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 때 순교하였습니다.
5. 1월 27일 성인 율리아노 2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아프리카(Africa)
활동연도 : +5-6세기
같은이름 : 율리아누스, 줄리안, 줄리언
로마 순교록의 1월 27일 자에는 아프리카 순교자들이 두 그룹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하나는 성 다티우스(Datius), 성 레아트루스(Reatrus)와 동료 순교자들이며 또 다른 그룹은 아리우스파 반달족의 침략으로 427년부터 531년 사이에 고통을 받던 성 율리아노와 또 다른 성 다티우스(Datius), 성 빈첸시오(Vincentius)와 27명의 동료들입니다.
6. 1월 27일 성인 율리아노 3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르망(Le Mans)
활동연도 : +3세기?
같은이름 : 율리아누스, 줄리안, 줄리앙, 줄리언
성 율리아노는 아마도 로마의 귀족 출신으로 로마에서 사제와 주교품을 받고 켈트족의 하나인 아울레르키 케노마니(Aulerci Cenomani) 부족에게 3세기 중반쯤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 갈리아 지방으로 파견된 듯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 외에 그의 생애에 대해 알려진 내용은 거의 없습니다. 전설에 따르면 오늘날의 프랑스의 르망 지역은 케노마니 부족이 주로 모여 살던 곳은 당시 물 부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성 율리아노가 땅에 지팡이(또는 십자가)를 대고 기도하자 그곳에서 물이 솟아났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르망 지역에서 그는 자유롭게 설교할 수 있었으며 그리스도교로 많은 이들을 개종시킬 수 있었습니다. 개종자들의 기증을 받아 이것으로 그는 가난하고 병든 사람과 고아들을 돌보았으며 르망 최초의 성당도 세웠으며 르망 지역에서 거의 반세기 정도를 사목하였습니다. 성 율리아노는 르망 교구의 초대 주교이자 ‘르망의 사도’로 큰 존경을 받고 있으며 은퇴한 후에는 르망 북쪽에 있는 생마르소(Saint-Marceau)에서 고적한 삶을 살아가다가 평화롭게 선종하였습니다. 6세기경 이미 르망에는 그의 이름으로 봉헌된 성당이 있었으며 11~12세기에는 성 율리아노의 유해를 모시기 위해 오늘날 르망의 주교좌인 생줄리앙(Saint-Julien) 대성당을 건립하였습니다.
다른 전승에 따르면, 예수님의 72 제자 중의 한 명으로 성 율리아노는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나병환자 시몬(Simon)과 동일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고 있으며(마태 26,6; 마르 14,3) 또 다른 전승에 따르면 로마에서 사도 성 베드로(Petrus)의 제자가 된 로마인인 성 율리아노는 복음을 전하기 위해 성 베드로에 의해 르망 지역으로 파견되었다고 전해지기도 합니다. 옛 “로마 순교록”은 이 전승에 기초하여 1월 27일 목록에서 성 율리아노를 르망의 첫 번째 주교로 묘사하고 있으며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오늘날 프랑스의 르망 지역에서 성 율리아노를 그곳의 초대주교로 기념하고 있다고만 같은 날 목록에서 언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르만 출신인 1154년에 잉글랜드의 왕이 된 헨리 2세(Henry II)의 개인적인 신심으로 인해 르망의 성 율리아노에 대한 공경이 영국까지 전해지기도 하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