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치오(Lucius)
같은이름 : 루기오, 루치우스, 루키오, 루키우스
12. 10월 19일 성인 루치오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165년경
성 유스티노 순교자의 초기 기록에 따르면, 성 프톨레메우스(Ptolemaeus)는 당시에 행실이 좋지 않던 한 부인을 로마에서 그리스도교로 개종시키고 순결한 삶을 살도록 가르쳤고 그 부인은 그리스도인이 되어 남편을 개종시키려고 노력하였고 결국 남편을 예비신자 모임으로 인도하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그러나 곧 방탕하고 나태해진 남편이 모임에 나가지 않고 이에 하는 수 없이 남편과 헤어지게 되고 이에 남편이 앙심을 품어 아내를 고발하였지만 무혐의로 풀려나게 됩니다. 화가 난 남편은 자신에게 교리를 가르친 성 프톨레메우스가 자신의 부인과 부적절한 행동을 하였다고 고발하였고 성 프토레메우스는 불결한 지하 감옥에 갇혀 고초를 겪게 되고 안토니누스 피우스(Antoninus Pius) 황제 치하의 우르비키우스(Urbicius) 총독 앞으로 끌려가게 되고 그곳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을 공개적으로 고백하고 사형선고를 받아 처형되었습니다. 그가 재판을 받을 때 성 루치오가 그 자리에 있었는데 “이 사람은 죄를 범한 일이 없는데 왜 사형선고를 내리는 것이오?” 라고 총독의 결정에 항의하며 그리스도인임을 고백하고 사형선고를 받아 순교합니다. 이때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다른 동료 한 명도 함께 순교하였습니다.
13. 10월 25일 성인 루치오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269년
성 루치오와 성 마르코(Marcus), 성 베드로(Petrus), 성 테오도시우스(Theodosius)를 포함한 50명의 군인들은 클라우디우스 황제 치하의 로마(Roma)에서 순교하였습니다.
14. 10월 29일 성인 루치오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연대미상
성 루치오와 성 퀸투스(Quinctus), 성 펠리키아누스(Felicianus), 성 히야킨투스(Hyacinthus)는 이탈리아 남부 루카니아(Lucania)에서 순교하였습니다.
15. 12월 1일 성인 루치오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연대미상
성 루치오와 성 로가투스(Rogatus), 성 루키우스(또는 루치오), 성 카시아누스(Cassianus)와 성녀 칸디다(Candida)는 이탈리아 로마(Roma)에서 순교하였으며 이외에 다른 알려진 내용은 없습니다.
16. 12월 3일 성인 루치오
신분 : 왕
활동지역 : 영국(UK)
활동연도 : +2세기경
성 루치오는 교황 성 엘레우테리우스(Eleutherius, 재위 174-189년, 5월 26일)의 이름으로 기록된 한 문서에서 교황은 영국의 왕인 성 루치오로부터 서찰을 받았는데, 그는 국민에게 그리스도인이 되라는 명을 내리라는 칙서를 내렸다고 묘사되어 있습니다. 이 편지는 교회사가인 성 베다(Beda)에 의해 진실임이 입증되어 다시 인용되었고 잉글랜드(England)와 웨일스(Wales) 지방에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17. 3월 4일 성인 루치오 1세 (Lucius I)
신분 : 교황, 순교자
활동연도 : +254년
데키우스 황제가 일으킨 박해는 갈루스 황제 시대까지 계속되는데, 지명이 알려지지 않은 곳으로 교황 성 루치오 1세가 유배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발레리아누스 황제가 새로 황제에 오르면서 즉위 초기 그리스도인들에게 호의적인 정책을 쳤기에 교황 일행은 추방된 많은 그리스도인들과 함께 열렬한 환영을 받으며 로마(Roma)로 돌아왔고 카르타고(Carthago)의 주교인 성 키프리아누스(Cyprianus, 9월 16일)는 교황의 귀환을 축하하는 편지를 보내기도 하였습니다.
대립교황 노바티아누스(Novatianus)와 그의 추종자들을 단죄한 전임 교황의 정책을 유지하였던 교황성 루치오 1세는 배교자 처리 문제에 대해 보다 온건한 견해를 유지하였으나 에우세비오(Eusebius)에 의하면 그의 재위 기간은 8개월을 넘지 않았다고 전해집니다. “로마 순교록”은 그가 그리스도교 신앙으로 인해 처음으로 유배를 갔지만 하느님의 섭리로 로마로 돌아오게 되고 발레리아누스 황제 때에 참수형으로 순교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성 루치오 교황이 선종했다고 알려진 254년 3월 5일 이후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박해가 시작되었기에 그의 순교 여부는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성 칼리스투스(Callistus) 카타콤바의 교황 묘역에 그의 시신이 안장되었다가 이후 성녀 체칠리아(Caecilia) 성당으로 이장되었으며 그의 축일을 로마 순교록은 3월 4일로 기록하고 있지만 3월 5일에 축일을 기념하기도 합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첸시아(Vincentia) 축일 - 12월 26일, 6월 28일 (0) | 2023.07.14 |
---|---|
발렌티나(Valentina), 테아(Thea) 축일 - 7월 25일 (0) | 2023.07.12 |
루치오(Lucius) 축일 1. (1-11) - 2월 8일, 2월 11일, 2월 15일, 2월 18일, 2월 24일, 4월 22일, 5월 6일, 5월 23일, 8월 20일, 9월 10일, 10월 3일 (0) | 2023.07.02 |
루치오 외 7명의 순교자 - 10월 3일 (0) | 2023.06.30 |
성 네메시아노(Nemesian)와 8명의 주교 축일 - 9월 10일 (0) | 2023.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