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야기/세례명 이야기

율리아나(Juliana) 축일 2.(5-10) - 5월 13일, 8월 8일, 8월 12일, 8월 17일, 8월 18일, 11월 1일

 

율리아나 (Juliana)

같은이름 : 율리안나, 줄리아나, 쥴리아나

 

5. 5월 13일 복녀 율리아나

5월13일이-축일인-복녀-율리아나
복녀 율리아나(5울 13일)

신분 : 신비가, 동정녀

활동지역 : 노리치(Norwich)

활동연도 : 1342-1416년경

 

율리아나의 초기 생애에 대해서는 영국 노리치의 성 율리아누스(Julianus) 성당 벽 외곽에서 베네딕토회 규칙을 따르는 은수자가 될 때까지 거의 알려진 것이 없습니다. 그녀는 1373년 5월 8일 심한 고통 중에 하느님으로부터 16차례에 걸쳐 환시를 경험하였는데 이때마다 탈혼 중에 그리스도의 수난과 삼위일체에 대한 계시를 받았습니다. 그 후 20년 동안 그녀는 계속하여 두 신비를 묵상하였는데 그 결과로 환시 중에 경험한 '하느님의 사랑, 강생, 구속, 죄, 보속 그리고 하느님의 위로' 등에 관한 내용을 모아 "계시"라는 책을 썼으며 이것은 영문학에서도 매우 중요시하는 저서가 되었습니다. 그녀는 특히 하느님의 모성에 대한 언급을 통해 하느님의 부성을 보완한다고 모았으며 그녀의 이러한 영성은 교황 요한 바오로 1세(Joannes Paulus I)를 통해 하느님은 아버지일 뿐 아니라 어머니로 고백할 수 있다는 메시지 선포를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복녀로 불리며 공경을 받고 있는 그녀는 공식적으로 시복되지는 않았습니다.

 

6. 8월 8일 성녀 율리아나

 

7. 8월 12일 성녀 율리아나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304년

 

성녀 율리아나와 성녀 님미아(Nimmia), 성녀 디냐(Digna), 성 라르기오(Largio), 성녀 에우노미아(Eunomia), 성녀 에우프레피아(Euprepia), 성 퀴리아쿠스(Quiriacus), 성 크레스켄티아누스(Crescentianus), 성녀 힐라리아(Hilaria)와 동료 신자들이 함께 순교하였는데 성녀 힐라리아는 아우크스부르크(Augsburg)의 성녀 아프라(Afra)의 어머니였는데 세 명의 하녀들과 함께 성녀 아프라의 무덤을 방문했던 그녀는 체포되어 산 채로 불태워졌습니다. 이탈리아 로마(Roma)의 오스티아노(Ostiano) 가도에서 25명의 순교자에 속하는 다른 사람들은 화형을 당해 순교하였습니다.

 

8. 8월 17일 성녀 율리아나

 

9. 8월 18일 성녀 율리아나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연대미상

 

성녀 율리아나와 성 레오(Leo)는 이름을 병기하는 것이 무의미한 또 다른 한 쌍의 성인성녀로 성 레오는 리키아(Lycia, 고대 소아시아 남서쪽 끝에 있던 지방)의 미라(Myra)에서 순교하였으며 성녀 율리아나는 소아시아의 스트로비룸(Strobylum)에서 순교하였습니다. 성녀 율리아나는 프톨레마이스(Ptolemais)의 성녀 율리아나(8월 17일)와 동일 인물일 수 있습니다.

 

10. 11월 1일 성녀 율리아나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306년

 

옛 “로마 순교록”과 교회 전승에 따르면, 성녀 율리아나와 성녀 키레니아(Cyrenia)는 갈레리우스 황제의 통치(305~311년) 중에 가난한 이를 돌보고 병자를 치료하는 등의 자선 사업에 헌신하다가 체포되었고 고문을 당한 후 소아시아의 타르수스(Tarsus)에서 화형을 당해 순교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그들의 이름을 역사적 자료의 부족함 등으로 인해 더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