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스토(Justus)
같은이름 : 유스또, 유스뚜스, 유스투스
1. 2월 25일 성인 유스토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3세기
옛 “로마 순교록”은 데키우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 성 유스토와 성 도나투스(Donatus), 성녀 헤레나(Herena)와 동료 신자들이 아프리카에서 순교했다고 2월 25일 목록에서 기록하였습니다. 그들의 행적에 대해 그 외에 전해지는 바는 없습니다.
2. 2월 28일 성인 유스토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250년
성 유스토는 성 마카리우스(Macarius)와 성 루피누스(Rufinus), 성 테오필루스(Theophilus)와 함께 순교하였는데 소문에 의하면 그릇을 만드는 도공이었던 그들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Alexandria)나 이탈리아의 로마(Roma)에서 순교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3. 5월 28일 성인 유스토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우르겔(Urgell)
활동연도 : +550년경
에스파냐의 우르겔 주교좌는 성 유스토에 의하여 설정되었습니다. 그는 톨레도 공의회(Council of Toledo)에 참석하였고 구약성서 ‘아가’에 대한 신비적 해설서를 간략한 내용으로 남겼습니다.
4. 7월 2일 성인 유스토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284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시작한 박해 중에 성 유스토와 성 비탈리스(Vitalis), 성 아리스톤(Ariston), 성 우르바누스(Urbanus), 성 크레스켄티아누스(Crescentianus), 성 펠리키시무스(Felicissimus), 성 펠릭스(Felix), 성 푸티키아누스(Futychianus), 그리고 성녀 마르키아(Marcia)와 성녀 심포로사(Symphorosa)는 이탈리아 남부 캄파니아(Campania)에서 순교하였습니다.
5. 7월 14일 성인 유스토
신분 : 군인, 순교자
활동지역 : 로마(Roma)
활동연도 : +연대미상
성 유스토는 로마군의 베테랑 군인이었으며 로마에서 순교하였습니다. 그의 순교 장소는 어쩌면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일 수도 있습니다.
6. 7월 21일 성인 유스토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트루아(Troyes)
활동연도 : +273년
프랑스의 트루아에서 태너난 성녀 율리아(Julia)는 테트리쿠스와의 전쟁에서 아우렐리아누스 황제의 군인들이 승리한 후 처녀일 때 체포되어 전쟁의 전리품으로서 황제군의 장교였던 성 클라우디우스(Claudius) 소유의 노예가 되었지만 그녀는 그를 개종시킨 후 함께 순교의 월계관을 썼습니다. 이때 그들과 함께 트루아에서 참수되어 순교한 이들에는 성 유스토와 성 유쿤디누스(Jucundinus), 그리고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네 명의 순교자가 있습니다. 모(Meaux) 지방 근처 주아르(Jouarre)의 성 베네딕토 수도원에 그들의 유해가 모셔져 있으며 많은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7. 8월 6일 성인 유스토
신분 : 소년, 순교자
활동연도 : +304년
형제 사이였던 성 유스토와 성 파스토르(Pastor)는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막시미아누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 학생이었습니다. 지금의 에스파냐 마드리드(Madrid) 인근 알칼라 데 에나레스(Alcala de Henares)에 박해자들이 도착해 그리스도인들을 색출하고 다닐 때 성 유스토와 그의 동생이었던 성 파스토르는 그곳의 초급학교에서 기초 과목을 배우는 어린이였는데 그리스도를 위해 죽는 것이 두렵지도 않았던 이 어린아이들은 글을 쓰던 서판을 스스로 내려놓고 그 지방 총독인 다키아누스(Dacianus)에게 달려가서 신앙을 고백하였습니다. 뭘 모르는 어린이들이라 생각한 박해자들은 그들에게 겁을 주어 보내려고 무서운 형구들을 보여 주었지만 확고한 의지로 하느님을 찬미한 그들은 그리스도를 끝까지 증거하며 서로를 위로하고 격려하였고 결국 총독의 명령으로 체포되었고 매를 맞고 성 밖으로 끌려 나가 참수형으로 순교하였습니다.
총독이 떠나자 어린 순교자인 성 유스토와 성 파스토르의 시신을 땅에 묻은 신자들은 그 위에 작은 경당을 세워 그들을 비밀리에 기념하였고 이슬람 침략자들로부터 지키기 위해 8세기에 그들의 유해는 우에스카(Huesca)로 옮겨졌고 1568년에는 그들이 순교한 알칼라 데 에나레스로 다시 모셔와 그들의 이름으로 봉헌한 대성당의 중앙제단 아래 안장하였습니다. 그들은 고향인 알칼라 데 에나레스의 수호성인으로 공경을 받고 있으며 옛 “로마 순교록”과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어린 나이에 스스로 순교의 길로 들어선 성 유스토와 성 파스토르에 대해 8월 6일 목록에서 전해주고 있습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스토(Justus) 축일 3.(10-12) - 11월 2일, 11월 10일 (0) | 2024.01.16 |
---|---|
유스토(Justus) 축일 2.(8-9) - 9월 2일, 10월 18일 (0) | 2024.01.14 |
클레멘스(Clement) 축일 - 1월 23일, 4월 8일, 7월 17일, 11월 21일, 11월 23일 (0) | 2024.01.10 |
보나벤투라(Bonaventure) 2.(3-5) - 6월 10일, 7월 15일, 10월 26일 (0) | 2024.01.08 |
보나벤투라(Bonaventure) 1.(1-2) - 2월 6일, 3월 31일 (0) | 2024.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