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고보(James)
8. 4월 22일 성인 야고보
신분 : 신부, 순교자
활동지역 : 페르시아(Persia)
활동연도 : +4세기
같은이름 : 야고버, 야고부스, 야코보, 야코부스, 자크, 제임스
성 야고보 신부는 페르시아에서 사푸르 2세 왕의 박해 때 순교하였습니다.
9. 4월 27일 복자 야고보
신분 : 수사
활동지역 : 비테토(Bitetto)
활동연도 : +1490년
같은이름 : 야고버, 야고부스, 야코보, 야코부스, 자크, 제임스
야고보는 크로아티아(Croatia) 아드리아해 북부에 면한 항구도시인 자다르(Zadar)에서 태어나 이탈리아 남부 바리(Bari) 인근 비테토 수도원에서 작은 형제회 평수사가 되었습니다. 겸손과 자기 극기, 관상을 통하여 높은 성덕을 쌓은 그는 하느님으로부터 예언의 은혜를 받았고 기도 중에는 공중으로 떠오르는 현상도 여러 번 체험하게 됩니다. 바리에서 약 29km 정도 떨어진 콘베르사노(Conversano) 수도원에 있을 때 그는 요리사로 부엌일을 하였는데, 지옥의 불꽃을 아궁이에서 타오르는 불꽃을 통하여 수차례나 목격하였다고 하며 그는 이 때문에 이따금씩 탈혼 상태에 빠지기도 하였습니다. 다시 비테토 수도원으로 돌아온 그는 그곳에서 선종하였으며 달마티아(Dalmatia) 또는 자다르의 야고보로도 불립니다. 교황 클레멘스 11세(Clemens XI)에 의해 1700년에 그에 대한 공경이 승인되었습니다.
10. 4월 30일 성인 야고보
신분 : 부제, 순교자
활동연도 : +259년
같은이름 : 야고버, 야고부스, 야코보, 야코부스, 자크, 제임스
성 야고보와 성 마리아누스(Marianus)는 누미디아(Numidia, 오늘날의 북아프리카 지역)의 람바이시스(Lambaesis)에서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에 순교하였습니다. 성 야고보는 부제였고 성 마리아누스는 독서자였는데 키르타(Cirta)에서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는데 이들은 자신들의 박해 내용을 글로 남겼습니다. 이탈리아 중부 움브리아(Umbria)의 구비오(Gubbio) 대성당은 이 두 성인에게 봉헌되었습니다.
11. 5월 3일 성인 야고보
신분 : 사도,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 예루살렘(Jerusalem)
활동연도 : +62년?
같은이름 : 야고버, 야고부스, 야코보, 야코부스, 자크, 제임스, 차 야고보, 차야고보, 소 야고보, 소야고보
성 야고보는 알패오(Alphaeus)의 아들로 복음서에 그리스도의 12 사도 중 한 명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마태 10,2-4; 마르 3,16-19; 루카 6,14-16). 또한 성 예로니모(Hieronymus, 9월 30일)나 히포(Hippo)의 성 아우구스티노(Augustinus, 8월 28일)는 전통적으로 신약성경에 나오는 ‘주님의 형제’(마태 13,55; 마르 6,3; 갈라 1,19) 야고보와 같은 인물로 제시해 왔습니다. 또한 교회는 천사의 도움으로 성 베드로(Petrus, 6월 29일)가 감옥에서 풀려나와 마르코라고 하는 요한의 어머니 마리아의 집으로 갔을 때 “이 일을 야고보와 다른 형제들에게 알려 주십시오.”라고 한 후 다른 곳으로 떠났다(사도 12,6-17)는 사실에 근거하여 성 야고보가 이미 예루살렘 교회의 책임자, 즉 초대 주교였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승천하신 후 예루살렘의 어느 2층 방에 모여 있던 열 한 제자 중 한 명이었던 알패오의 아들 성 야고보는(사도 1,13). 모세의 관습과 할례를 이방인 출신 그리스도인들에게 강요하던 사람들로 인해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렸던 예루살렘 사도 회의에서 성 베드로를 도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습니다. 다른 민족들도 주 예수님의 은총으로 구원을 받는다고 선언하였던 성 베드로에 이어서 그는 “그러므로 내 판단으로는, 다른 민족들 가운데에서 하느님께 돌아선 이들에게 어려움을 주지 말고, 다만 그들에게 편지를 보내어, 우상에게 바쳐 더러워진 음식과 불륜과 목 졸라 죽인 짐승의 고기와 피를 멀리하라고 해야 합니다.”(사도 15,19-20)라며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사도 바오로(Paulus, 6월 29일)는 서간에서 ‘야고보와 케파와 요한’을 교회의 기둥으로 표현하였으며(갈라 2,9) 세 번째 선교 여행을 마치고 예루살렘으로 올라와 성 야고보와 원로들을 일행과 함께 찾아 선교 여행의 성과를 보고하였습니다(사도 21,17-19).
후대에 생긴 전승에 의하면, 알패오의 아들 성 야고보는 남서 팔레스티나(Palestina)와 이집트에 정착하여 복음을 전하던 중 이집트의 오스트라키네(Ostrakine) 또는 시리아에서 순교하였다고 전해집니다. 열정적으로 복음을 선포하였던 그의 설교는 군중을 분노하게 하였고 그로 인해 신전 지붕에서 내던져진 후 군중들로부터 곤봉과 방망이로 매를 맞아 순교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의 모습은 교회 미술에서 곤봉이나 방망이를 든 모습으로 자주 그려집니다. 성 필립보(Philippus)와 함께 5월 3일에 성 야고보의 축일을 기념하는데, 이는 후에 로마에 열두 사도 대성전을 봉헌할 때 제대 밑에 두 사도의 유해를 함께 모셨다는 전승에 따른 것입니다. 성서학자들은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주님의 형제 야고보가 동일인이 아니라는 반론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또한 예루살렘의 첫 주교로서 신앙과 윤리에 관한 기본 가르침을 서간 형식으로 쓴 야고보 서간 역시 후대에 주님의 형제 야고보의 이름을 빌려 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교회는 전통적으로 혼동을 피하고자 제베대오의 아들이자 사도 성 요한의 형인 야고보는 대(大) 또는 장(長) 야고보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5월 3일)는 소(小) 또는 차(次) 야고보로 부르고 있습니다.
12. 6월 1일 복자 야고보
신분 : 수도원장, 대주교
활동지역 : 할리치(Halicz)
활동연도 : +1411년
같은이름 : 스트레파르, 야고버, 야고부스, 야코보, 야코부스, 자크, 제임스
야고보 스트레파르(Jacobus Strepar)는 폴란드의 귀족 출신으로 갈리치아(Galicia)에서 태어났으며 작은 형제회에 입회하여 르비프(Lviv) 수도원의 원장을 지냈습니다. 그는 단순한 원장이 아니라 뛰어난 순회 설교자이며 조직가로 이교도 지역인 러시아 서부에 대한 선교를 담당하였으며 1392년에는 갈리치아 지방 할리치의 대주교로 임명되어 교구를 다스렸습니다. 수많은 성당을 비롯하여 수도원과 학교, 병원을 세운 그는 르비프 수도원(현재 우크라이나 소재)에서 1411년 6월 1일 선종하였으며 교황 비오 6세(Pius VI)에 의해 1791년 그에 대한 공경이 승인되었습니다.
13. 7월 15일 성인
신분 : 주교, 증거자
활동지역 : 니시비스(Nisibis)
활동연도 : +338년
같은이름 : 야고버, 야고부스, 야코보, 야코부스, 자크, 제임스
성 야고보는 시리아 사람으로 원래 수도자였으나 308년경에 메소포타미아 니시비스의 첫 번째 주교가 되었습니다. 그곳에 대성당을 지은 그는 그곳에 니시비스 신학교를 개설하였는데 이 학교는 메소포타미아의 그리스도교 중심지로서 크게 명성을 날렸습니다. 그러나 이 외에 그가 성 에프렘(Ephraem)의 스승이었다는 사실과 니케아 공의회(Council of Nicaea)에 참석하여 아리우스파(Arianism)를 격렬하게 비난했다는 기록 외에는 그에 대해 알려진 사실은 거의 없습니다. 그럼에도 그에 대한 시리아 교회에서의 공경은 최상이며, 수많은 전설들이 전해오고 있습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레오파트라(Cleopatra) 축일 - 10월 19일 (0) | 2024.04.28 |
---|---|
야고보(James) 축일 3.(14-18) - 7월 25일, 8월 6일, 11월 1일, 11월 27일, 11월 28일 (0) | 2024.04.26 |
야고보(James) 축일 1.(1-7) - 1월 28일, 2월 13일, 4월 9일, 4월 13일, 4월 17일, 4월 19일 (0) | 2024.04.22 |
라헬(Rachel) 축일 - 11월 1일 (0) | 2024.04.20 |
도로테아(Dorothea) 축일 - 2월 6일, 9월 3일, 10월 30일 (0) | 2024.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