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로(Peter)
세례명 베드로(Peter)의 경우 6월 29일 축일인 베드로를 가장 많이 사용하시지만 다른 축일을 원하면 다른 축일을 선택해도 무방합니다.
베드로(Peter) 축일 1. _ 6월 29일, 2월 22일
77. 5월 29일 복자 베드로 페트로니 (Peter Petroni)
신분 : 수사
활동연도 : +1361년
같은이름 : 베드루스, 페드로, 페트루스, 피터
베드로 페트로니(Petrus Petroni)는 이탈리아 시에나(Siena)의 명문가에서 태어났으며 어릴 때부터 하느님의 일에 대하여 놀라운 관심과 행동들을 표현하였습니다. 멀리 떨어져서 혼자서 기도하기를 즐겨하기도 하던 그는 거리에서 부랑자들을 발견하면 그들을 도우며 가르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던 중 마치아노에 카르투지오 수도원이 세워지자 온갖 반대를 물리치고 17세의 나이로 입회한 그는 그 후 사제가 되어 여러 가지 놀라운 은혜와 초자연적인 지식을 받았습니다.
그는 당시에 유명했던 보카치오가 속된 활동을 그만두지 않는다면 하느님의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는데, 그대로 되었습니다. 보카치오는 처음에는 화를 냈으나 끝내는 개종했다고 전해집니다.
78. 7월 28일 성인 베드로 포베다 카스트로베르데(Peter Poveda Castroverde)
신분 : 순교자, 설립자, 신부
활동연도 : 1874-1936년
같은이름 : 베드루스, 페드로, 페트루스, 피터, 뽀베다, 까스뜨로베르데,
1874년 12월 3일 에스파냐 남부 리나레스(Linares)의 독실한 그리스도인 가정에서 태어난 성 베드로 포베다 카스트로베르데(Petrus Poveda Castroverde)는 어려서부터 사제직에 대한 성소를 느끼고 1889년 하엔(Jaen)에 있는 교구 신학교에 입학하지만 재정적인 어려움 때문에 학비를 감당하지 못하고 장학금을 제공하기로 한 그라나다(Granada) 주(洲)의 과딕스 교구 신학교로 소속을 옮기게 되고 그곳에서 1897년 4월 17일에 사제품을 받습니다.
사제가 된 후 그는 신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다른 여러 방면에서 교구의 직무를 맡아 봉사하였으며 1900년 세비야(Sevilla)에서 신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과딕스 외곽 언덕에 있는 대피소에 살던 일명 ‘동굴 거주자’들 속에서 사도직을 수행하기 시작합니다. 그곳에서 어린이들을 위한 학교를 건립하고 어른들을 위한 연수회를 열어 전문적 훈련과 예비신자 과정을 제공한 그는 오해를 받아 이 특별한 사도직에서 떠나게 됩니다.
결국 그는 북부 에스파냐의 산간벽지에 있는 코바동가(Covadonga)로 가서 그곳에서 아스투리아스(Asturias)에 있는 코바동가 대성당의 참사위원으로 1906년 선출되었고 그는 더 많은 시간을 기도에 쏟아부었으며 에스파냐의 교육 문제에 대해 특별히 심사숙고하였습니다. 그는 주님께서 자신을 그 시대의 교회와 사회에 새로운 길을 열도록 초대하셨다고 이해하였으며 전문적으로 교사들을 양성하는 일에 대한 소책자와 논문을 출판하기 시작하였고 사회 안에서 그리스도인의 현존과 활동의 필요성을 느끼는 많은 다른 사람들과도 접촉하였습니다.
그 시대의 문화 안에서 신앙과 과학의 대립은 더욱더 분명해졌고 이는 공교육 제도 안에서 탈(脫) 그리스도화를 야기하였는데 성 베드로 포베다 신부는 과딕스에서의 사목적 체험과 코바동가에서의 몇 년에 걸친 반성과 기도 후에 공교육 제도 하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그리스도교적으로 양성해야 하는 필요성을 더욱 잘 이해하게 되었으며 굳건한 신앙과 전문적인 자격 모두가 복음의 메시지를 살아있게 하는데 필요하다는 것을 확신하였습니다.
그는 학생들을 위한 거주시설인 아빌라의 성녀 테레사 아카데미를 1911년 개설하였는데, 이는 교사들의 영성적 · 사목적 양성을 위해 헌신하는 테레지안 연합회(Teresian Association)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다음 해에는 교구 사제들의 사도직 연합회와 함께 새로운 교수법 센터를 시작하였고 그 후 신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하던 하엔으로 이어져 ‘창조적 교리교수법 센터’(Los Operarios Catechetical Center)의 영성 지도자와 사범대학의 교수로 활동하였습니다. 그는 마드리드(Madrid)에서 1914년 기숙사 시설을 갖춘 에스파냐 최초의 여자 대학교를 개교합니다.
테레지안 연합회는 그동안에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 다양한 집단과 지역으로 전파되었으며 그를 통해 하엔에서 교회와 시민사회의 인정을 이끌어냈습니다. 그리스도인의 생활과 평신도들을 위해 그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복음화의 새로운 길로써 테레지안 연합회를 제시한 성 베드로 포베다는 자신의 체험에 근거해 그들이 복음의 증거자가 되도록 양성해 갔으며 “굳건히 믿는 것과 침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말처럼 신앙을 위해 모든 이들이 자신의 삶을 기꺼이 투신하고자 하였으며 스스로도 그러한 소망을 실현하며 살았습니다. 1921년 마드리드로 이동해 왕실 담당사제로 임명된 그는 다음 해에 문맹 퇴치 위원회의 위원으로 임명되었으며 테레지안 연합회에 많은 시간을 헌신하여 1924년 교황청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직접 지도하지는 않았지만 그는 설립자로서 후에 테레지안 연합회가 칠레와 이탈리아로 전파되었을 때 테레지안 연합회의 사명을 더욱 공고하게 하고 촉진하기 위해 힘썼습니다.
에스파냐의 내전이 1936년 발발하여 종교에 대한 박해가 일어났고, 마드리드에 있던 성 베드로 포베다 신부 역시 순교의 위험에 놓였는데 그는 기꺼이 순교할 것을 다짐하였으며 1936년 7월 28일 새벽, 박해자들이 그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묻자 그는 “나는 그리스도의 사제이다.”라고 당당하게 대답하였습니다. 결국 신앙을 지키기 위해 그는 순교자로서 총에 맞아 순교하였습니다. 그는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1993년 10월 10일 시복되었고, 에스파냐 마드리드의 콜론(Colon) 광장에서 100만여 명의 신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2003년 5월 4일 네 명의 복자들과 함께 같은 교황에 의해 시성식을 갖고 성인으로 선포되었습니다.
79. 12월 9일 성인 베드로 푸리에(Peter Fourier)
신분 : 신부, 설립자
활동연도 : 1565-1640년
같은이름 : 베드루스, 페드로, 페트루스, 피터
가톨릭 신자이자 상인이었던 아버지와 어머니의 세 아들 중 장남으로 신성로마제국에 속한 로렌 공국(Duchy of Lorraine)의 미르쿠르(Mirecourt)에서 1565년 11월 30일 태어난 성 베드로 푸리에(Petrus Fourier)는 어려서부터 기도하기를 좋아하던 그는 부모에 의해 퐁타무송(Pont-a-Mousson)에 있는 예수회 대학으로 15세가 되던 해에 유학을 가게 됩니다. 대학 교육을 통해 학업과 신심에 있어서 큰 진보를 이룬 그는 예수회에 입회할 것이라는 주변의 예상과는 달리 스무 살 무렵에 쇼무지(Chaumousey)에 있는 성 아우구스티누스회에 입회합니다. 1589년 사제품을 받고 그 후에도 신학과 교회법에 대한 학업을 계속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한 그는 본원으로 돌아와서는 한때 동료들의 시기와 질투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그는 자신에게 주어진 세 곳의 부임지 중 가장 작은 곳을 택해 본당신부로 파견됩니다.
거의 폐허가 된 마탱쿠르(Mattaincourt) 본당의 주임신부로 1597년 부임한 그는 간혹 다른 곳으로 전임되기도 했지만, 일생의 대부분의 시간을 그곳에서 교우들과 함께하며 30여 년을 살았습니다. 부임 이후에는 칼뱅파와 수없이 싸워야 했고, 신앙생활에 냉담해진 마탱쿠르의 신자들에게 다가가야 했지만 단순하고 엄격한 생활을 실천하였고 탁월한 성덕으로 사람들의 존경을 받게 되었습니다. 또한 여러 개의 신심 단체를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어린이 교육 역시 적극적으로 지원하였습니다. 부임 첫해인 1597년에 복녀 알릭스 르 클레르(Alix Le Clerc, 1월 9일)를 만난 그는 가난 때문에 교육의 기회를 얻지 못한 소녀들을 위해 봉사하려는 소명을 확인하고 네 명의 다른 여성 봉사자들과 함께 소녀들을 위한 무료 학교를 개설하였는데 이 학교를 계기로 하나의 수도 공동체가 형성되었으며 이후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수도 규칙을 따르는 ‘성모의 성 아우구스티노 수녀회’라는 이름으로 정식 인가를 받게 됩니다.
툴(Toul)의 주교가 1622년 그의 수도회를 개혁하고 하나의 단체로 통합하라는 지시를 내려 성 베드로 푸리에는 다음 해에 뤼네빌(Luneville) 수도원의 원장직을 맡아야 했는데 1629년 로렌의 수도회가 구세주회와 통합되면서 총장으로 선출된 그는 1635년 내란 이후 프랑스 왕 루이 13세(Louis XIII)에 대한 충성 맹세를 거부한 후에는 프랑슈콩테(Franche-Comte)의 그레(Gray) 마을로 피신해 만년을 지내야 했습니다.
1639년 그 지역에 페스트가 발병하자 환자들을 돌보는 데 힘쓰다가 그 역시 감염이 되어 이듬해 12월 9일 그레 마을에서 선종합니다. 그는 교황 베네딕투스 13세(Benedictus XIII)에 의해 1730년 1월 29일 시복되었고, 교황 레오 13세(Leo XIII)에 의해 1897년 5월 27일 성인품에 올랐습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드로(Peter) 축일 18.(84-86) _ 5월 29일(국내) (0) | 2022.12.27 |
---|---|
베드로(Peter) 축일 17.(80 - 83) _ 5월 29일(국내) (0) | 2022.12.26 |
베드로(Peter) 축일 15.(74-76) _ 1월 8일, 8월 1일, 12월 6일 (0) | 2022.12.23 |
베드로(Peter) 축일 14.(69-73) _ 10월 21일, 2월 2일, 7월 30일, 9월 9일, 12월 10일 (0) | 2022.10.26 |
베드로(Peter) 축일 13.(65-68) _ 1월 10일, 8월 2일, 2월 8일, 12월 21일 (0) | 2022.10.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