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레나(Helen)
6. 4월 11일 복녀 헬레나 구에라
신분 : 설립자
활동연도 : 헬레나, 헬렌
헬레나 구에라(Helena Guerra)는 1835년에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의 루카에서 태어나 성녀 지타 수녀회를 설립하였고 이 수녀회는 나중에 성령의 시녀회라는 이름으로 바뀌었습니다.
7. 6월 11일 복녀 욜렌타
신분 : 과부, 수녀원장
활동지역 : 폴란드
활동연도 : 1235? - 1298년
같은이름 : 욜란다, 욜렌따, 욜렌타, 졸란다, 졸렌타, 헤레나, 헬레나, 헬렌
헝가리의 왕 벨라 4세와 마리아 라스카리나의 딸인 욜렌타는 헝가리의 성녀 마르가리타(1월 18일)와 폴란드의 성녀 쿠네군다(7월 24일)와는 자매 사이입니다.
어린 나이에 그녀는 폴란드의 볼레스와프 5세와 결혼한 언니 성녀 쿠네군다(7월 24일)에게 보내져 그녀의 돌봄을 받으며 성장하였고 그곳에서 칼리시의 공작 볼레스와프와 결혼하여 세 명의 딸을 두었습니다.
결혼 생활 중에 그녀는 나라 안의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일에 헌신적으로 봉사하였으며 수도원과 병원 등의 주요 후원자였는데 그녀의 남편 또한 그런 아내의 자선 활동을 적극적으로 후원함으로써 ‘신심 깊은 볼레스와프’라는 별칭을 얻게 됩니다.
1279년 남편과 사별한 후 욜렌타는 클라라회 수도원에 들어간 후 폴란드의 그니에즈노에 새 수도원을 설립해 원장이 되었으며 여생을 수도 생활에 전념하다 그곳에서 선종하였습니다.
그녀에 대한 공경은 1827년 교황 레오 12세에 의해 승인되었으며 그녀의 축일은 지역에 따라 6월 12일 또는 15일에 기념하기도 합니다.
폴란드의 성녀 헬레나(Helena) 또는 욜란다(Yolanda)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8. 10월 5일 성녀 파우스티나 코발스카
신분 : 수녀 환시자
활동연도 : 1905 - 1938년
같은이름 : 메리, 미르얌, 미리암, 파우스띠나, 헬레나, 헬렌
성녀 파우스티나 코발스카는 1905년 8월 25일 폴란드 우치 시의 북서쪽에 있는 그워고비에츠라는 마을에서 농부이자 목수인 스타니스와프 코발스키와 마리안나 코발스카의 10명의 자녀 중 셋째로 태어났으며 며칠 후 스비니체 바르키에에 있는 성 카시미루스 성당에서 헬레나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습니다.
그녀의 부모는 가난하고 배운 것은 없었지만 신심이 깊고 올곧은 사람들로서 하느님에 대한 사랑과 순명, 부지런함에서 자녀들에게 큰 모범이 되었으며 그녀는 9살 때 첫영성체를 한 후 어려운 가정환경 등으로 3년 정도 교육을 받은 후 12살 때 고향을 떠나 부유한 집에서 가정부 일을 하며 동생들과 부모님의 생계를 도왔습니다.
어려서부터 수도 성소를 느낀 그녀는 더는 학교 수업을 받지 못하게 되었을 때 수녀원에 입회하기를 원했지만 부모의 반대로 일단 성소의 꿈을 접을 수밖에 없었으나 1924년 고통받는 그리스도의 환시를 체험한 후 더는 미룰 수 없다고 생각해 바로 짐을 꾸려 바르샤바로 갔게 됩니다.
여러 수도원에 입회를 청했으나 매번 거절당하다가 1925년 8월 1일 자비의 성모 수녀회로부터 입회 허가를 받았고 1926년 4월 30일 성체의 마리아 파우스티나라는 수도명으로 첫 서원을 합니다.
그 후 성녀 파우스티나 코발스카는 수도원의 여러 공동체에서 요리사, 정원사, 문지기 등의 소임을 담당하면서 수녀회의 모든 규칙을 성실히 지키고 동료들과 따뜻한 우애를 나누었는데 그녀의 일상의 삶은 단순하고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면은 없었지만, 늘 친절하고 자비심 가득한 마음으로 사람들을 대했고, 하느님과 깊은 일치를 이룬 가운데 심오한 영성을 키워갔습니다.
성녀 파우스티나 코발스카 수녀는 많은 환시와 예언의 은사 외에도 충만한 영적 은총을 받았는데 이로 인해 그녀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로부터 많은 조롱과 박해를 받기도 하였습니다.
그녀가 체험한 가장 강렬한 환시는 1931년 2월 22일 저녁에 일어난 것으로 흰 옷을 입으신 예수님께서 한 손으로는 당신의 성심 근처를 움켜쥐고, 다른 손은 내밀어 축복하는 모습을 보여 주신 것으로 이 환시는 이제까지 그녀가 보았던 환시와는 전혀 다른 것이었는데 그때 예수님의 성심으로부터 붉은색과 흰색의 두 갈래 빛이 퍼져 나왔다고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녀에게 당신의 성심에 대한 공경을 전파하라는 사명, 바로 ‘하느님 자비 신심’을 전하라고 명하셨고 그녀가 본 환시를 그림으로 그리고, 그 그림 아래 ‘예수님, 저는 당신께 의탁합니다’라고 적도록 하셨으며 그럼으로써 그녀가 체험한 그리스도의 발현을 기념하고, 그 그림을 보고 공경하는 영혼들을 구원의 길로 인도하라고 지시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성녀 파우스티나 코발스카에게 여러 번 나타나셔서 영적인 지도와 은총의 말씀을 주셨는데 예수님께서 그녀에게 하신 말씀은 그녀가 직접 기록한 일기에 담겨 있습니다.
그 일기는 오늘날 “내 영혼 속 하느님의 자비”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일기에 기록된 성녀 파우스티나 코발스카의 사명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 모든 인간을 향한 하느님의 자비로운 사랑에 대해 성경이 전해주는 신앙의 진리를 세상에 일깨워 주어야 한다.
둘째, 예수님께서 보여 주신 ‘하느님의 자비 신심’의 실천을 통해, 온 세상과 특히 죄인들을 위해 하느님의 자비를 간청해야 한다.
셋째, 하느님 자비의 사도직을 시작하는 것이다. 이 신심 운동의 목표는 세상을 위한 하느님의 자비를 선포하고 간청하며, 그리스도교의 완덕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폐결핵을 비롯해 수많은 고통을, 죄인을 위한 희생으로 받아들인 성녀 파우스티나 코발스카 수녀는 1938년 10월 5일 33세의 나이로 크라쿠프에서 하느님의 품으로 돌아갔으며 그녀의 시신은 크라쿠프-와기에브니키에 있는 수녀원에 묻혔다가 1999년 하느님 자비의 성지 내에 새로 건립한 대성당에 안치되었습니다.
그녀는 1993년 4월 18일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복되었고, 2000년 4월 30일 같은 교황에 의해 새 천년기를 맞아 처음으로 성인품에 오르는 주인공이 되었습니다.
교황청 경신성사성은 2020년 5월 18일 ‘성녀 파우스티나 코발스카 동정 기념일의 로마 보편 전례력 수록에 관한 교령’을 반포하여 해마다 모든 이가 10월 5일에 그녀에 대한 선택 기념일을 거행하도록 결정하였습니다.
안젤라(Angela) 축일 1 _ 1월 4일, 10월 2일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산나(Susanna) 축일 2.(6-7) _ 5월 29일, 9월 20일 (0) | 2022.08.27 |
---|---|
수산나(Susanna) 축일 1.(1-5) _ 1월 18일, 5월 24일, 8월 11일, 9월 19일, 7월 23일 (0) | 2022.08.27 |
헬레나(Helen) 축일 1.(1-5) _ 4월 23일, 5월 22일, 7월 31일, 8월 13일, 8월 18일 (0) | 2022.08.24 |
안젤라(Angela) 축일 _ 1월 4일, 10월 2일, 1월 27일, 3월 2일 (0) | 2022.08.23 |
마뇨(Magnus) 축일 _ 1월 1일, 2월 4일, 2월 15일, 4월 16일, 8월 6일, 8월 19일, 9월 4일, 10월 6일, 11월 5일 (0) | 2022.08.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