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야기/세례명 이야기

치리아코(Cyriacus) 축일 1.(1-6) - 1월 31일, 2월 8일, 3월 6일, 4월 7일, 5월 2일, 5월 4일

 

치리아코(Cyriacus)

 

1. 1월 31일 성인 치리아코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연대미상

같은이름 : 치리아꼬, 치리아꾸스, 치리아쿠스, 키리아코, 키리아쿠스

 

성 치리아코와 성 조티쿠스(Zoticus), 성 타르시키우스(Tarsicius)와 동료 순교자들은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에서 순교하였습니다.

 

2. 2월 8일 성인 치리아코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연대미상

같은이름 : 치리아꼬, 치리아꾸스, 치리아쿠스, 키리아코, 키리아쿠스

 

옛 “로마 순교록”은 순교한 성 바오로(Paulus)와 성 루치오(Lucius), 그리고 성 치리아코가 이탈리아의 로마(Roma)에서 순교하였다고 2월 8일 목록에서 전해주었습니다. 그 외에 다른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그들의 이름을 더는 기록하지 않았습니다.

 

3. 3월 6일 성인 치리아코

신분 : 신부

활동지역 : 트리어(Trier)

활동연도 : +4세기

같은이름 : 치리아꼬, 치리아꾸스, 치리아쿠스, 퀴리아코, 퀴리아쿠스, 키리아꼬, 키리아꾸스, 키리아코, 키리아쿠스

 

전승에 따르면 프랑스 중서부 푸아투(Poitou) 또는 푸아투의 중심 도시인 푸아티에(Poitiers) 출신인 성 치리아코는 트리어의 성 아그리시오(Agritius, 1월 13일) 주교의 제자가 되었고, 나중에 트리어의 주교가 된 성 막시미노(Maximinus, 5월 29일)와 함께 트리어로 왔다고 합니다. 성 아그리시오에게 사제품을 받은 그는 겸손하고 거룩한 기도의 삶을 살았는데 한 교회에서 정기적으로 밤샘 기도를 드렸던 까닭에 일부 사람들로부터 부도덕한 행동을 한다는 의심을 사기도 하였지만 그의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천사가 나타났다고 합니다. 또한 그는 아리우스주의 이단에 반대해 그 지방으로 유배 온 알렉산드리아의 성 아타나시오(Athanasius, 5월 2일) 주교를 성 막시미노 주교가 환대할 때 함께 있기도 하였습니다.

 

4세기경 선종한 그는 트리어의 성 막시미노 대성당에 묻혔는데, 아픈 아이들이 그의 무덤에서 치유되는 등 많은 기적이 일어났으며 프랑크 왕국 피핀(Pepin the Short) 왕의 손자가 768년에 이 무덤을 순례한 후 병에서 치유되자 성 막시미노 수도원에 타벤-로트(Taben-Rodt)의 궁전을 감사의 표시로 기증하였습니다. 이듬해 성 치리아코의 유해를 그곳으로 수도승들이 이주하면서 이장하여 모셨고 그곳에 853년에 지은 수도원 성당이 그의 이름으로 봉헌되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타벤-로트의 성 치리아코 또는 퀴리아쿠스(Quiriacus, 또는 퀴리아코)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성 치리아코 신부를 오늘날 독일의 트리어에서 기념한다고 3월 6일 목록에서 간단히 기록하였습니다.

 

4. 4월 7일 성인 치리아코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연대미상

같은이름 : 치리아꼬, 치리아꾸스, 치리아쿠스, 키리아코, 키리아쿠스

 

니코메디아(Nicomedia)에서 성 치리아코와 10명의 동료들이 함께 순교하였습니다.

 

5. 5월 2일 성인 치리아코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팜필리아(Pamphlia)

활동연도 : +127-140년경

같은이름 : 귀리아코, 귀리아쿠스, 치리아꼬, 치리아꾸스, 치리아쿠스, 퀴리아코, 퀴리아쿠스, 키리아코, 키리아쿠스

 

카툴루스(Catulus)라고 부르는 어느 부자의 노예였던 성 엑스수페리우스(Exsuperius) 혹은 헤스페루스(Hesperus)와 그의 아내인 성녀 조에(Zoe)는 소아시아 지방의 팜필리아에서 살았습니다. 그들은 태중 교우로서 두 아들을 두었는데 그들은 성 치리아코와 성 테오둘루스(Theodulus)입니다. 그런데 그들의 주인은 이 아이들의 생일을 기하여 신전에 희생제물을 드리라는 명을 내렸고 이에 완강히 거부한 그들은 감옥으로 끌려갔고 그들의 신앙을 용감하게 고백하였는데 형리들은 이 부부 앞에서 아이들을 잔인하게 고문하면서 마음을 돌리려고 애를 썼습니다. 결국 가족 전부가 순교하게 되었고 후에 이들을 위하여 유스티니아누스(Justinianus)가 콘스탄티노플에 성당을 지었습니다.

6. 5월 4일 성인 치리아코

5월4일이-축일인-성-치리아코
성 치리아코(5월 4일)

 

신분 :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 안코나(Ancona)

활동연도 : +133년경/4세기경?

같은이름 : 귀리아코, 귀리아쿠스, 유다스, 치리아꼬, 치리아꾸스, 치리아쿠스, 퀴리아코, 퀴리아쿠스, 키리아코, 키리아쿠스

 

성 치리아코는 전설적인 인물이지만 그 역사적 정황으로 보아 실존 인물임이 분명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에 대한 전설은 매우 다양하고 그의 순교 시기 또한 상당한 시차를 두고 있습니다. 팔레스티나의 전설적 이야기에 따르면 학식 깊은 유다인으로 유다(Judas)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그는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후 치리아코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습니다. 나중에 예루살렘(Jerusalem)의 주교가 된 그는 그곳에서 133년경 발생한 폭동 중에 살해되었다고 전해집니다. 그는 보통 예루살렘의 성 유다 치리아코(Judas Cyriacus)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 다른 전승에 따르면 예루살렘에서 태어난 그는 그 지역 회당의 랍비가 된 유다라는 사람이었습니다. 콘스탄티누스 1세 황제(306~337년 재위)의 어머니인 성녀 헬레나(Helena, 8월 18일)가 326년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못 박히셨던 참된 십자가(True Cross)를 찾기 위하여 예루살렘을 순례하였을 때 예수님께서 못 박히신 장소를 그가 알고 있음을 알게 되었는데 자기가 알고 있는 것을 밝히고 싶지 않았던 그는 황후에게 결국 알려주게 되었습니다. 326년 5월 3일 거룩한 십자가가 발견되었고 죽은 사람이 그 십자가 위에서 다시 살아나는 기적을 보고 유다도 개종하게 되었고 예루살렘의 주교인 성 마카리오(Macarius, 3월 10일)에게 치리아코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게 됩니다. 이듬해에는 예루살렘의 주교로 교황 성 실베스테르 1세(Silvester I, 12월 31일)에 의해 임명되었는데 배교자 율리아누스 황제(361~363년 재위) 때 체포되어 혹독한 고문을 당한 후에 칼에 찔려 순교했다고 전해집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참된 십자가를 찾은 일과 관련해서 ‘십자가의 발견자’라는 별칭을 얻게 된 그는 축일 역시 성 십자가 발견 축일 다음 날인 5월 4일로 정해졌다고 합니다.

 

또한 그는 이탈리아 중동부 해안가 도시인 안코나의 주교이자 그 도시의 수호성인으로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전승에 따르면 성 치리아코가 참된 십자가를 발견한 후 그리스도교로 개종하고 로마(Roma)를 순례했는데, 여행 중에 안코나의 주교로서 사람들의 호평을 받으면서 여러 해 머물렀다고 합니다. 그리고 고향을 방문하러 나중에 팔레스티나로 갔다가 그곳에서 순교했다고 전해집니다.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의 딸인 갈라 플라키디아(Galla Placidia)에 의해 그의 유해는 418년 8월 8일 안코나로 옮겨져 성 스테파노 대성당에 안치되었습니다. 성 치리아코에 대해서는 이렇게 여러 전설적 이야기가 혼재되어 있어 확실한 사실이 무엇인지를 알기는 어렵습니다. 옛 “로마 순교록”은 배교자 율리아누스 황제의 통치 시기에 성 치리아코가 예루살렘 성지를 방문하던 중 살해된 주교라고 5월 4일 목록에서 전해주었으나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그에 대해서 더는 기록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이탈리아 일부 지역에서 성 퀴리아쿠스(Quiriacus, 또는 퀴리아코)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