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르마노(Germanus)
같은이름 : 게르마노, 게르마누스, 제르마누스, 젤마노
6. 7월 7일 성인 제르마노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120년
성 제르마노와 성 루키아누스(Lucianus), 성 사투르니누스(Saturninus), 성 아스티우스(Astius), 성 파피우스(Papius), 성 페레그리누스(Peregrinus), 성 폼페유스(Pompejus), 성 헤시키우스(Hesychius)는 트라야누스 황제 치하의 마케도니아(Macedonia)에서 순교하였습니다. 성 아스티우스가 체포되어 십자가형을 받고 순교할 때 다른 이들은 이를 동정한 죄로 체포되어 쇠사슬을 몸에 감고 바다에 던져져 순교하였는데 이들은 이탈리아에서 박해를 피해 마케도니아로 피신해 온 신자들이었습니다.
7. 7월 31일 성인 제르마노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오세르(Auxerre)
활동연도 : 378?-448년
378년경 프랑스 동부 부르고뉴(Bourgogne) 지방에 있는 오세르의 좋은 가문에서 출생한 성 제르마노는 갈리아(Gallia)에서 인문학을 공부한 후 로마(Roma)에 가서 법학을 공부하여 로마 시의 변호사가 되었습니다. 그는 갈리아 지역을 다스리는 6명의 고위 관리 중 하나로 황제 호노리우스로부터 임명받아 지방 장관으로 재직하였고 그 후 내적 회개를 체험하고 관직서 물러나 사제가 되었습니다. 이때 성 제르마노는 아일랜드의 성 파트리키우스(Patricius, 3월 17일)를 가르쳤습니다.
성 제르마노를 오세르의 주교였던 성 아마토르(Amator, 5월 1일)가 자신의 후계자로 지명하였고, 그가 사망하자 즉시 선출되어 418년 7월 7일 주교품을 받게 됩니다. 그는 이때 로마에서 결혼하였던 부인 에우스타키아와 헤어진 후 엄격한 고행 생활을 하며 수도자의 길을 걸었고 투르(Tours)의 주교 성 마르티누스(Martinus, 11월 11일)와 더불어 갈리아에 공동체 수도원을 설립하였습니다. 성 제르마노는 자신의 모범을 따르는 이들이 많아지자 자신의 재산을 처분해 가난한 이들을 돕고 많은 교회와 수도원을 세웠으며 아를(Arles)의 성 힐라리우스(Hilarius, 5월 5일) 주교와도 친분을 갖고 그를 도와주기도 하였습니다.
영국에는 이 당시 이단인 펠라기우스주의가 퍼져 교회가 동요하고 있었는데 교황 성 코일레스티누스 1세(Coelestinus I, 4월 6일)는 영국 주교들이 도움을 요청하자 성 제르마노에게 429년 영국으로 가도록 지시하였는데 전하는 바에 따르면 영국으로 가는 도중 성 제르마노는 후에 성녀가 된 어린 시절의 제노베파(Genovefa, 1월 3일)를 만나 신앙 성숙을 위해 노력하라고 격려했다고 합니다. 성 제르마노는 영국의 이단들을 평정하고 픽트족과 색슨족의 연합 공격에 대항한 영국 군대가 승리를 거두도록 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는데 이 승리는 ‘알렐루야 승리’라고 기록되었습니다.
그는 오세르로 돌아오는 길에 성 알바누스(Albanus) 무덤 앞에서 하느님께 감사드리고 승리의 기쁨을 하느님께 돌렸습니다. 448년 갈리아로 돌아와 혼란한 교구의 일을 수습하고, 훈족의 침입과 불안한 정치적 상황을 이를 중재하고자 애쓰던 그는 그해 7월 31일 라벤나(Ravenna)에서 선종하였습니다. 오세르로 옮겨진 그의 유해는 큰 공경을 받았고, 그의 무덤 위에 성당이 건립되었습니다. 859년 그의 유해가 성당으로 모셔졌으나 1567년 위그노들에 의해 하나도 남지 않고 훼손되었습니다. 여러 세기 동안 성 제르마노는 투르의 성 마르티누스 다음으로 가장 사랑받고 공경을 받는 프랑스 성인으로 말과 행동과 기적의 능력이 뛰어난 성인입니다. 그를 성 프란치스코 드 살(Franciscus de Sales, 1월 24일)은 ‘갈리아의 기적의 게르마누스’라고 불렀습니다.
8. 9월 6일 성인 제르마노
신분 :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 아프리카(Africa)
활동연도 : +5세기
후네릭(Huneric, 477-484년 재위)은 반달 왕국(반달족이 439년 카르타고를 수도로 북아프리카에 세운 왕국)의 국왕으로 아리우스파(Arianism)를 신봉하여 아프리카의 모든 가톨릭 성당을 폐쇄하고 성직자들을 추방하는 명을 내렸으며 그들 대신에 아리우스파에 속한 성직자들을 배치하였으며 이때 수많은 가톨릭의 주교와 사제들이 추방당하였는데 후네릭 왕과 가톨릭 성직자 일부가 성문 밖에서 우연히 마주치는 일이 생겼습니다. 이때 아프리카의 주교들이었던 성 제르마노와 성 도나티아누스(Donatianus), 성 만수에투스(Mansuetus), 성 푸스쿨루스(Fusculus), 성 프레시디우스(Praesidius)는 격렬하게 왕에게 항의하였고 가톨릭의 진리를 고백하고 선포하였습니다. 결국 후네릭 왕의 명령으로 그들은 모두 잔인하게 매를 맞고 사막으로 유배당하게 되어 목마름과 굶주림 속에 순교의 월계관을 쓰게 됩니다.
이들 외에도 오늘날 튀니지 네프타(Nefta)의 주교였던 성 라이투스(Laetus)도 함께 기억하고 있는데 성 라이투스 또한 후네릭 왕에게 정면으로 맞서 가톨릭의 참된 교리를 고백하였습니다. 매우 용기 있고 학식과 교양이 풍부한 인물이었던 그는 오랫동안 지하 감옥에 갇혀 있다가 화형을 당해 순교하였습니다. 옛 “로마 순교록”이나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가톨릭 진리를 고백하고 고통을 받다가 순교한 아프리카의 주교들을 기억하고 있음을 모두 9월 6일 목록에서 을 기록하였습니다.
9. 10월 11일 성인 제르마노
신분 :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 브장송(Besancon)
활동연도 : +390년
성 데시데라투스(Desideratus)를 계승하여 프랑스 브장송 교구의 주교가 된 성 제르마노는 아리우스파(Arianism)에 의해 순교하였습니다.
10. 10월 23일 성인 제르마노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305년
성 제르마노와 성 세르반두스(Servandus)는 체포되어 탕헤르로 가던 중 에스파냐의 카디즈(Cadiz)에서 순교하였으며 남부 에스파냐 전역에서 큰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그들은 북아프리카 탕헤르(Tangier)에서 순교한 성 마루첼루스(Marcellus, 10월 30일)의 아들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11. 10월 30일 성인 제르마노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카푸아(Capua)
활동연도 : +540년경
성 제르마노는 교황 성 호르미스다(Hormisdas)의 파견을 받아 비잔틴 지도자들과 유스티누스 황제를 설득하여 ‘아카치아 이단’을 종식시키는데 큰 업적을 남긴 인물입니다. 그는 몬테카시노(Monte Cassino)에서 자신의 영혼이 떠나가는 장면을 환시를 통하여 목격하였다고 전해져 오는 성 베네딕투스(Benedictus)와도 가까운 친구 사이였습니다.
12. 11월 3일 성인 제르마노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250년
성 제르마노와 성 비탈리스(Vitalis), 성 카이사리우스(Caesarius), 성 테오필루스(Theophilus)는 데키우스 황제 치하의 카파도키아(Cappadocia) 지방 카이사레아(Caesarea)에서 순교하였습니다.
13. 11월 13일 성인 제르마노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297년
성 제르마노와 성 안토니누스(Antoninus), 성 제비나(Zebinas), 성녀 엔나타(Ennatha)는 황제 앞에서도 용감하게 복음을 선포하였고 갈레리우스 황제 치하에서 순교하였습니다. 다른 동료들은 참수당하였고 성녀 엔나타는 다른 동료들이 참수되는 동안 산 채로 화형을 당했습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오니시아(Dionysia) 축일 - 5월 15일, 12월 6일, 12월 12일 (0) | 2024.04.10 |
---|---|
트로아스의 순교자 바오로(Paul), 안드레아(Andrew), 디오니시아(Dionysia) 축일 - 5월 15일 (0) | 2024.04.08 |
제르마노(Germanus) 축일 1.(1-5) - 2월 21일, 5월 2일, 5월 12일, 5월 28일 (0) | 2024.04.04 |
루피나(Rufina), 암미아(Ammia) 축일 - 8월 31일, 마마(Mamas) 축일 - 8월 17일 (0) | 2024.04.02 |
루피나(Rufina), 세쿤다(Secunda) 축일 - 7월 10일 (0) | 2024.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