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야기/세례명 이야기

제르마노(Germanus) 축일 1.(1-5) - 2월 21일, 5월 2일, 5월 12일, 5월 28일

 

제르마노 (Germanus)

같은이름 : 게르마노, 게르마누스, 제르마누스, 젤마노

 

 

1. 2월 21일 성인 제르마노

신분 : 신부, 수도원장, 순교자

활동지역 : 그랑발(Grandval)

활동연도 : +667년경

 

610년경 오늘날 독일 남서부 트리어(Trier)에서 부유한 상원 의원 가문의 아들로 태어난 성 제르마노는 고향인 트리어의 주교인 성 모도알도(Modoaldus, 5월 12일)에게 교육받으며 성장하였습니다. 그는 17살 때 부모가 세상을 떠나자 은수자로 살 결심을 하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모든 재산을 나누어 준 후 평소 흠모하던 메스(Metz)의 성 아르눌포(Arnulphus, 7월 18일) 주교를 찾아 나섰습니다. 당시 메스의 주교직을 사임한 후 프랑스 북동부 보주산맥(Vosges Mts.)에 은둔소를 마련해 은수 생활에 전념하고 있었던 성 아르눌포는 반가이 그를 맞아주었고 위대한 성인과 함께 생활하게 되어 마침내 뜻을 이룬 성 제르마노는 동료를 보내 어린 동생이었던 누메리아누스(Numerianus)를 데려옵니다. 성 아르눌포는 새로 설립된 르미르몽(Remiremont) 수도원에 그들을 보냈고 성 제르마노는 그곳에서 수도자가 되어 생활하다가 다시 뤽세이유(Luxeuil) 수도원으로 가서 지내다가 그곳에서 사제품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스위스 북부 바젤(Basel) 인근 무티에-그랑발(Moutier-Grandval)에 알라마니족(Alamannen)의 군도인(Gundoin) 공작이 설립한 수도원에서 640년경 첫 번째 대수도원장이 되었습니다.

 

동료이자 선배 수도승인 성 란도알도(Randoaldus)와 함께 그랑발 수도원으로 간 그는 산에서 떨어진 바위로 막힌 길을 뚫고 수도원을 오랫동안 평화롭게 다스렸는데 전임자와는 달리 군도인 공작의 후계자들은 들레몽(Delemont) 지역을 정복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서 주민들과 수도원 재산을 약탈하려고 하였습니다. 들레몽 근처 코테텔르(Courtetelle)로 간 성 제르마노는 군도인의 후계자를 만나 교회와 수도원과 가난한 사람들을 강탈하는 행위를 중단하라고 요구하였고 이 요구가 처음에는 어느 정도 받아들여지는 듯했지만 오래가지 않았습니다. 그랑발 수도원 가까이 돌아왔던 성 제르마노와 성 란도알도는 약탈자 무리로부터 공격받는 주변 주민들을 보호하다가 무참히 살해되었고 신자들에 의해 그들의 시신이 수습되어 생 우어잔(Saint-Ursanne)에 묻혔고 순교자로서 공경을 받았으며 그들의 무덤은 순례지가 되었고 기적이 일어났습니다. 그들의 유해는 나중에 수도원 중앙 제단으로 옮겨졌으나 개신교의 성장과 화재로 수도원이 불타게 되고 이후 수도승들에 의해 들라몽으로 옮겨져 그곳 성당에 안치되었습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스위스 그랑발(독일어로는 그란펠덴[Granfelden]) 수도원의 성 제르마노와 성 란도알도의 이름을 2월 21일 목록에 추가하면서 약탈자 무리에게 공격받는 수도원 주변 주민들을 평화의 말로 방어하려고 한 그들이 이로 인해 무참히 창에 찔려 목숨을 잃었다고 기록하였습니다.

 

2. 5월 2일 성인 제르마노 1

신분 :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 노르망디(Normandie)

활동연도 : +460년경

 

아일랜드(Ireland) 또는 웨일스(Wales) 출신 중 노르망디의 성제르마노라는 이름을 가진 성인이 누구인지 밝히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성인의 존재 자체는 사실입니다. 그는 오세르(Auxerre)의 성 제르마노(7월 31일) 주교가 영국을 방문했을 때 그에 의해 개종을 하고 자신의 세례명을 그의 이름으로 정했습니다. 또한 그는 성 파트리키우스(Patricius, 3월 17일)와 함께 주교로서 사목하였고 웨일스, 에스파냐, 갈리아 지방 그리고 잉글랜드와 북아일랜드 사이에 있는 맨(Man) 섬을 복음화 한 인물이라고 주장되고 있으며 일부 학자들은 성 제르마노가 맨 섬의 사도로서 활동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는 노르망디에서 순교하였습니다.

 

 

3. 5월 2일 성인 제르마노 2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304년

 

로마 순교록에 의하면 성 사투르니누스(Saturninus)는 로마(Roma)에서 순교하였는데 성인전 작가들은 그가 순교한 장소를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하의 알렉산드리아(Alexandria)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성 제르마노, 성 네오폴루스(Neopolus), 성 코일레스티누스(Coelestinus)와 함께 순교하였습니다. 이 성인들에 대해 그 외에 알려진 것은 없습니다.

 

4. 5월 12일 성인 제르마노

5워12일이-축일인-성-제르마노
성 제르마노(5월 12일)

신분 : 총대주교

활동지역 :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

활동연도: 634/640?-733년경

 

634년 또는 640년경 동로마 제국의 헤라클리우스 황제 가문에서 출생한 성 제르마노는 황제 세력 간의 왕위 쟁탈 과정에서 어린 시절 축출되어 콘스탄티노플의 성녀 소피아 성당의 성직자들 손에 맡겨졌습니다. 그곳에서 좋은 교육을 받은 그는 668년에 그 성당의 사제가 되었고 정통 신앙을 지닌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2세(Anastasius II)에 의해 그는 715년에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로 선출되었습니다. 착좌 후 곧바로 주교회의를 소집한 그는 그리스도 단의설(Monotheletism) 이단과 그 추종자들을 단죄하였습니다.

 

그는 황제 레오 3세(Leo III)가 725년 성화상 공경을 배척하고 성화상 파괴를 지시한 것에 대하여 단호하게 강론과 저술로써 반대하였고 계속된 억압에도 굴하지 않았고 결국에는 항의의 표시로 730년 총대주교직에서 물러나 자신의 영지인 그리스 아테네(Athenae) 근처에 있는 플라토니움(Platonium)으로 가게 됩니다. 그는 그곳에서 그의 역사적 저술인 “이단자들과 주교회의에 대하여”(De Haeresibus et Synodis)라는 책을 집필하였고 이곳에서 733년경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의 대부분의 저작들은 성화상 공경을 반대하는 황제 레오 3세의 지시로 모두 불태워졌지만 네 편의 교의신학적인 서간들이 남아 있습니다. 성 제르마노는 특별한 가치가 있는 일곱 편의 강론을 통하여 성모 마리아에 대하여 귀중한 가르침을 남겼으며 전례를 적극 권장하고 찬미가를 작곡한 사람으로서 이름을 남겼습니다.

 

5. 5월 28일 성인 제르마노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파리(Paris)

활동연도 : 496?-576년

 

프랑스의 손에루아르(Saone-et-Loire)에 있는 오툉(Autun) 근처에서 496년경 엘레우테리우스(Eleutherius)와 에우세비아(Eusebia)의 아들로 태어난 성 제르마노는 부모가 일찍 세상을 떠나자 신부였던 사촌 스카필리온(Scapilion)의 도움으로 아발롱(Avalon)과 뤼지(Luzy)에서 공부하게 됩니다. 그는 530년에 오툉의 주교인 아그리피누스(Agrippinus)로부터 사제품을 받았고 오툉 근처에 있었던 생-생포리앵(Saint-Symphorien) 수도원의 원장이 되었고 그가 555년 파리에 들렀을 때 마침 에우세비우스 주교가 세상을 떠나게 되었는데 이에 그는 파리의 주교로 임명되었습니다. 자신의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불굴의 투지와 용맹을 보였던 성 제르마노는 파리에 유명한 생제르맹(Saint-Germain) 수도원을 세웠으며 파리에서 576년 5월 28일 세상을 떠났습니다. 빈첸시오 성당 입구의 생-생포리앵 경당에 그의 유해가 안치되었다가 이후 754년에 성대한 예식과 함께 성당 안으로 옮겨졌는데 이 성당은 이때부터 생제르맹데프레(Saint Germain-des-Pres)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