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텔부르가(Ethelburga)
1. 4월 5일 성녀 에텔부르가
신분 : 여왕, 수녀원장
활동지역 : 켄트(Kent)
활동연도 : +647년
같은이름 : 에딜부르가, 에쎌베르가, 에쎌부르가, 에텔베르가
캔터베리(Canterbury) 성 아우구스티노(Augustinus, 5월 27일)에 의해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성녀 에텔부르가의 아버지는 앵글로색슨족(Anglo-Saxons) 가운데 최초의 그리스도교 신자이자 왕이었던 성 에텔베르트(Ethelbert, 2월 24일)이며 어머니는 프랑크족 출신 베르타(Bertha)입니다. 625년 그녀는 노섬브리아(Northumbria)의 왕인 성 에드윈(Edwin, 10월 12일)과 결혼하러 가게 되었는데 이때 캔터베리(Canterbury)의 성 유스토(Justus, 11월 10일) 대주교에게 노섬브리아의 주교로 축성된 성 바울리노(Paulinus, 10월 10일)를 동행하도록 하였습니다. 성녀 에텔부르가는 성 바울리노와 함께 성 에드윈 왕을 설득해 그리스도교로 개종시켰으며 부활절에 요크(York)의 주교좌성당에서 세례성사를 받도록 하여 그리스도교를 노섬브리아 왕국에도 전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그러나 성 에드윈 왕이 633년에 귀네드(Gwynedd)와 머시아(Mercia) 동맹과의 전투에서 사망하자 노섬브리아 왕국은 둘로 분열되었는데 왕의 직계 후계자들은 그리스도교를 거부하고 이교를 믿던 과거로 돌아가게 됩니다. 성녀 에텔부르가는 남편을 여의고 성 바울리노 주교와 함께 자녀들을 데리고 신앙을 지키기 켄트 왕국으로 피신해야 했는데 켄트로 돌아온 그녀는 부왕을 계승하여 왕위에 오른 에드발드(Eadbald) 왕이 잉글랜드(England) 남동부 포크스턴(Folkestone) 인근 리밍지(Lyminge)에 마련해 준 땅에 수도원을 세우고 그녀가 선종하는 647년까지 그곳의 원장으로 살았습니다. 선종 후에 성인으로 공경을 받은 그녀는 주로 4월 5일이 축일로 언급되었는데 옛 “로마 순교록”이나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에서는 그녀의 이름을 더는 찾을 수 없습니다. 에텔베르가(Ethelberga) 또는 에딜부르가(Edilburga) 등으로도 불리고 있는 그녀는 ‘노섬브리아의 성녀 에텔부르가’ 또는 ‘리밍지의 성녀 에텔부르가’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2. 7월 7일 성녀 에텔부르가
신분 : 공주, 수녀원장
활동지역 : 파르무티에(Faremoutier)
활동연도 : +695년
같은이름 : 에딜부르가, 에딜브루가, 에뗄브루가, 에텔브루가, 오비에르주, 오비에르쥬
이스트앵글리아(East Anglia)의 국왕인 안나(Anna 또는 Onna)의 딸인 에텔부르가는 엘리(Ely) 수녀원의 원장인 성녀 에텔드레다(Etheldreda, 6월 23일)와 셰피(Sheppey Is.) 수녀원을 세운 성녀 섹스부르가(Sexburga, 7월 6일), 디러햄(Dereham)에 수녀원을 세운 성녀 비트부르가(Withburga, 3월 17일)와 자매 사이입니다. 그녀는 어려서부터 수도 성소를 느껴 교육을 위해 이복 자매인 성녀 세트리다(Sethrida, 1월 7일)와 함께 프랑스로 보내졌는데 프랑스 북부 모(Meaux) 근처 브리(Brie)에 있는 베네딕토회의 파르무티에 수녀원으로 간 그들은 성녀 부르군도파라(Burgundofara, 12월 7일)의 지도를 받으며 엄격한 금욕과 동정을 실천하는 수도자가 되었으며 그곳의 수녀원장인 성녀 세트리다가 660년경 선종하자 그 뒤를 이어 성녀 에텔부르가가 파르무티에 수녀원의 세 번째 수녀원장이 되었습니다.
수녀원에 열두 사도를 기념하는 새 성당 건축을 시작한 성녀 에텔부르가는 완공을 보지 못하고 선종하고 말았습니다. 그녀는 성녀 에딜부르가(Edilburga)로도 불리고 있으며 프랑스에서는 오비에르주(Aubierge)로 표기하기도 합니다. 옛 “로마 순교록”과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이스트앵글리아 왕의 딸인 성녀 에텔부르가가 파르무티에 수녀원의 원장이 되었으며 엄격한 육체적 금욕과 동정 생활을 통하여 하느님께 영광을 돌렸다고 7월 7일 목록에서 기록하였습니다. 성녀 세트리다는 지역 교회에서 1월 10일에 축일을 가념하다가 현재는 1월 7일에 기념하고 있는데 그녀의 이름은 옛 “로마 순교록”이나 개정 “로마 순교록”에는 올라가지 않았습니다.
3. 9월 8일 성녀 에텔부르가
신분 : 왕비
활동지역 : 웨식스(Wessex)
활동연도 : +727-730년
같은이름 : 에딜부르가, 에딜브루가, 에뗄부르가, 에텔브루가
웨섹스의 앵글로 색슨 왕이었던 성 이나(Ina)는 말썽꾸러기로 유명하였는데 그의 아내인 성녀 에텔부르가는 남편을 왕의 권력과 소유를 올바로 사용하도록 인도하였습니다. 그래서 성 이나는 글래스턴베리(Glastonbury) 수도원을 복구하는데 최선을 다하였으며 그의 아내와 함께 726년에는 로마를 순례하기 위해 왕위를 양위하였습니다. 성 이나와 성녀 에텔부르가 부부는 로마(Roma)에서 경건함과 참회 속에서 삶을 마감하였습니다.
4. 10월 11일 성녀 에텔부르가
신분 : 수녀원장
활동지역 : 바킹(Barking)
활동연도 : +7세기말
같은이름 : 에딜부르가, 에딜브루가, 에뗄부르가, 에뗄브루가, 에텔브루가
영국 잉글랜드(England) 태생인 성녀 에텔부르가는 나중에 런던(London)의 주교가 된 성 에르콘발도(Erconwaldus, 4월 30일)의 여동생으로 자라면서 결혼보다는 동정 생활을 선택하였습니다. 성 에르콘발도는 주교가 되기 전에 여등생을 위해 런던 동부 템스강(Thames R.) 하류 바킹에 남녀 이중 수도원을 설립하고, 수녀원장으로 성녀 에텔부르가를 임명하였습니다. 바킹 수녀원의 설립자로서 프랑스에서 수도 생활을 교육받은 성녀 힐델리타(Hidelitha, 3월 24일)의 도움을 받아 수녀원을 이끈 성녀 에텔부르가는 영국 최초의 여성 수도원 중 하나인 바킹 수도원을 뛰어난 지도자로서 발전시켜 나갔고 전염병이 발생한 664년에는 많은 희생을 무릅쓰고 헌신적으로 수녀들과 함께 환자들을 돌보았습니다.
성녀 에텔부르가에 대해 영국의 역사가인 성 베다(Beda, 5월 25일) 신부는 “거룩한 생활 그리고 자기 수하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항구한 사랑과 수많은 기적으로 뛰어났다.”라고 하였으며 “삶이 정직하고 지역 사회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끊임없이 헌신한 사람”이라고 칭송하였습니다. 선종한 후 바킹 수녀원에 묻힌 그녀는 영국 교회에서 일찍부터 성인으로서 10월 11일에 기념해왔습니다. 옛 “로마 순교록”이나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에서 그녀의 이름을 찾을 수는 없으나 개정 “로마 순교록”은 성 에르콘발도를 4월 30일 목록에서 설명하면서 그가 자신의 여동생인 성녀 에텔부르가를 위해 여성 수도원을 세웠다고 기록하였습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르첼리나(Marcellina) 축일 - 7월 17일 (0) | 2025.04.08 |
---|---|
안젤리나(Angelina) 축일 - 7월 14일 (1) | 2025.04.06 |
이레네(Irene) 축일 - 4월 5일, 5월 5일, 9월 18일, 10월 20일 (0) | 2025.04.02 |
바실라(Basilla) 축일 - 5월 17일, 5월 20일, 8월 29일, 9월 22일 (1) | 2024.12.30 |
디아나(Diana) 축일 - 6월 9일 (0) | 2024.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