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실라(Basilla)
1. 5월 17일 성녀 바실라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활동연도 : +연대미상
성녀 바실라와 성 빅토르(Victor), 성 아드리오(Adrio)는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이교도 또는 아리우스파에 의해 순교하였습니다.
2. 5월 20일 성녀 바실라
신분 : 동정 순교자
활동지역 : 로마(Roma)
활동연도 : +3세기
같은이름 : 바실리사, 바실리싸
옛 “로마 순교록”은 바실리사(Basilissa)로도 알려진 성녀 바실라 동정 순교자에 대해 5월 20일 목록에서 전해주었습니다. 어려서 귀족 출신의 저명한 인물인 폼페이우스(Pompeius)라는 사람과 약혼한 그녀는 성장하면서 그리스도교로 개종하고 세례를 받게 되었는데 그러면서 결혼을 거부하며 파혼을 요구하게 됩니다. 이에 폼페이우스는 화가 치밀어 황제에게 그녀를 그리스도인이라 비난하며 고발하였고 갈리에누스 황제(253~268년 재위)는 성녀 바실라에게 폼페이우스와 결혼하든지 그리스도인으로서 칼을 맞고 죽든지 중에 선택하라고 요구하였습니다. 성녀 바실라는 아무런 주저함도 없이 만인의 완이신 그리스도가 자신의 배우자라고 고백하며 참수형으로 순교하였고 로마의 살라리아 가도(Via Salaria)에 묻혔습니다.
한편 성녀 바실라는 “로마 순교자 목록”(Depositio martyrum)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284~305년 재위)의 박해로 304년에 순교하였고 가장 오래되었다고 알려진 로마의 성녀 바실리아(354년부터 9월 22일에 축일을 기념)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성녀 바실라에 대해 5월 20일 목록에서 더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와 막시미아누스 황제(286~305년 재위) 치하에서 순교한 성녀 바실라가 고대 로마의 살라리아 가도에 묻혔다고 9월 22일 목록에서 기록하였습니다.
3. 8월 29일 성녀 바실라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3/4세기
같은이름 : 바실리사, 바실리싸
옛 “로마 순교록”은 오늘날의 튀르키예에 속한 스미르나(Smyrna, 오늘날의 이즈미르[Izmir])에서 성녀 바실라가 순교하였다고 8월 29일 목록에서 짧게 언급하였습니다. 하지만 볼랑디스트(Bollandists, 성인전집[Acta Sanctorum]을 편집하여 간행한 벨기에의 예수회 학자들을 가리키는 말)는 그녀가 스미르나가 아니라 판노니아(Pannonia, 도나우강 중류 우안의 헝가리 분지 지역) 지방의 시르미움(오늘날 세르비아의 스렘스카미트로비차[Sremska Mitrovica])에서 순교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오늘날 크로아티아의 스리엠(Srijem, Syrmia)에서 3/4세기에 성녀 바실라가 순교했다고 8월 29일 목록에서 기록하였습니다. 고대 도시 시르미움은 오늘날 동쪽은 세르비아, 서쪽은 크로아티아의 영토로 갈라진 상태입니다. 성녀 바실라는 바실리사(Basilissa)로도 불리고 있는데 그녀의 생애에 관해 알려진 내용은 거의 없습니다.
4. 9월 22일 성녀 바실라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로마(Roma)
활동연도 : +304년
같은이름 : 바실리사, 바실리싸
성녀 바실라는 304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와 막시미아누스 황제(286~305년 재위)의 그리스도교 박해가 한창이던 때에 로마에서 순교하였으며 가장 오래되었다고 알려진 “로마 순교자 목록”(Depositio martyrum)에서 9월 22일에 354년부터 축일을 기념하였습니다. 한편 그녀가 옛 “로마 순교록” 5월 20일 목록의 로마의 동정 순교자 성녀 바실라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도 있지만 이를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284~305년 재위)와 막시미아누스 황제(286~305년 재위)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 순교한 성녀 바실라가 고대 로마의 살라리아 가도(Via Salaria Antica)에 묻혔다고 9월 22일 목록에서 간단하게 기록하였습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텔부르가(Ethelburga) 축일 - 4월 5일, 7월 7일, 9월 8일, 10월 11일 (0) | 2025.04.04 |
---|---|
이레네(Irene) 축일 - 4월 5일, 5월 5일, 9월 18일, 10월 20일 (0) | 2025.04.02 |
디아나(Diana) 축일 - 6월 9일 (0) | 2024.12.28 |
마리아(Mary) 축일 3.(5-9) - 7월 29일, 8월 21일, 11월 1일, 11월 24일, 12월 2일 (0) | 2024.12.26 |
마리아(Mary) 축일 2.(2-4) - 4월 24일, 6월 23일, 6월 29일 (0) | 2024.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