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몬(Simon)
2. 4월 20일 복자 시몬
신분 : 수도원장
활동지역 : 토디(Todi)
활동연도 : +1322년
같은이름 : 리날두치, 사이먼
1280년에 성 아우구스티노의 은수자회에 입회한 토디의 시몬 리날두치(Simon Rinalducci)는 뛰어난 설교가로서 활약하였으며 이탈리아 중부 움브리아(Umbria) 관구장과 여러 수도원의 장상직을 역임하면서 수도원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수도원 총회에서 그가 제안한 수도회의 엄격한 규율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그는 침묵으로 일관하여 수도회의 정통성을 끝내는 바로 잡았습니다. 1933년 그에 대한 공경이 승인되었습니다.
3. 4월 27일 성인 시몬
신분 :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 예루살렘(Jerusalem)
활동연도 : +107년경
같은이름 : 사이먼, 시메온, 시므온
성 시몬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촌으로 예루살렘의 주교였으며 예수님의 신원에 대해 유다인들이 이야기하는 중에 언급한 ‘예수의 형제’(마르 6,3; 마태 13,55) 명단에 등장하는 시몬인 듯합니다. 카이사레아(Caesarea)의 에우세비우스(Eusebius)는 그의 “교회사”에서 성 시몬을 “주님의 삼촌인 성 클레오파스(Cleophas, 9월 25일)의 아들”이었고 주님의 형제인 사도 성 야고보(Jacobus, 5월 3일)의 뒤를 이어 예루살렘의 주교가 되었다가 노년에 순교했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옛 “로마 순교록”에서도 “주교이자 순교자로서 예루살렘에서 태어난 성 시몬은 클레오파스의 아들이며, 혈통으로는 구세주와 가까운 친척으로 전해진다. 그는 주님의 형제인 성 야고보 다음에 예루살렘의 주교로 임명되었으며, 트라야누스 황제의 박해 때 많은 고문을 받고 120세의 나이로 용감하고 당당하게 십자가 형벌을 견디어내는 것을 그 자리에 참석한 모든 이들과 재판관 자신까지 놀라워하는 가운데 순교하였다”라고 기록하였습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도 그에 대해서 같은 내용을 전해주고 있는데 다만 2월 18일에서 4월 17일로 전례적 기념일을 변경하였습니다.
이러한 기록들로 미루어 볼 때, 예수님의 십자가 곁에 있던 여인 중 한 명인 “… 이모, 클로파스의 아내 마리아”(요한 19,25)가 성 시몬의 어머니였으며 성 시몬은 예수님의 외사촌 형제였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클레오파스는 아람어 이름인 클로파스(Clopas)를 그리스어 형태로 변형한 것으로 같은 인물입니다. 사도 성 야고보가 순교한 62년에 성 시몬이 예루살렘의 주교로 임명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70년 예루살렘의 멸망으로 인해 유다계 그리스도교 공동체는 그리스도교에서 중요한 위치와 역할을 상실하였고 사도 성 야고보가 순교한 이후에는 예루살렘에 반로마 메시아니즘이 등장하였으며 대부분의 유다계 그리스도인들이 유다 민족주의를 거부하고 박해를 피해 요르단 강 서안으로 이주하였으며 이후로는 유대교와 그리스도교가 완전히 결별의 길을 걷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볼 때 예루살렘의 주교로 성 시몬이 활동한 시기는 많은 어려움과 박해로 얼룩진 고통의 연속이었습니다. 그는 시메온(Simeon)으로도 불리고 있으며 ㅇ수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인 열혈당원 시몬과 동일 인물로 여겨지기도 하고 있습니다(마태 10,4; 마르 3,18; 루카 6,15; 사도 1,13).
4. 10월 28일 성인 시몬
신분 : 사도, 순교자
활동연도 : +1세기경
같은이름 : 사이먼
성 시몬은 예수님에 의해 열두 제자의 한 명으로 뽑힌 사람으로 공관복음과 사도행전에서 ‘열혈당원’으로 소개되었지만 이외에 그의 출신이나 행적에 대해서는 기록된 것이 없습니다(마태 10,4; 마르 3,18; 루카 6,15; 사도 1,13). 열혈당원은 로마 제국과 그 동조자들에게 무력으로라도 대항하여 유다의 독립을 쟁취해야 한다고 굳게 믿고 행동하던 사람들이었습니다.
로마 제국에 협조했던 성 마태오(Matthaeus, 9월 21일)뿐만 아니라 예수님께서는 로마 제국에 대항했던 극단주의자 성 시몬까지도 제자로 맞아들여 모든 사람에게 복음을 전하고자 하시는 당신의 뜻을 보여주셨습니다. 그의 신원에 대해 교회 전승 또한 확실한 답을 주지는 못하고 있으며 예수님의 첫 기적이 이루어진 카나의 혼인 잔치의 주인공 신랑이었다거나 갈릴래아 호수에서 고기를 잡다가 예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거나 맨 처음으로 예수님의 탄생 소식을 천사에게 전해 들은 목자 중 한 사람이었다는 전승도 있습니다.
성 시몬은 서방 교회의 전승에 의하면 이집트에서 선교 활동을 하다가 시리아와 메소포타미아에서 성 유다 타대오(Judas Thaddaeus)와 함께 활동했고, 페르시아(Persia)로 가서 복음을 전하다가 순교했다고 합니다. 이교도의 사제와 예언자들과 페르시아에서 논쟁하다가 그들의 신상을 무너뜨려 처형되었는데, 성 유다 타대오는 창에 찔리거나 도끼로 참수형을 당했고 성 시몬은 십자가형이나 톱으로 몸이 잘려 순교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교회 미술에서 그는 보통 큰 톱이나 십자가와 함께 주로 등장합니다. 동방 교회의 전승에 따르면, 카이사레아(Caesarea)의 성 대 바실리우스(Basilius, 1월 2일)는 에데사(Edessa)에서 성 시몬이 평화로이 선종하였고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에 있는 코카서스 산맥 서쪽의 니코피우스(Nicopius)에 그의 무덤과 그에게 봉헌된 성당이 있다고 합니다. 서방 교회는 성 시몬과 성 유다 타대오가 함께 복음을 전하다가 순교했다는 전승에 따라 그들의 축일을 8세기 이후 10월 28일 같은 날에 기념하고 있으며 동방 교회는 성 시몬의 축일을 5월 10일에 기념하고 있습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메온(Simeon) 축일 2.(4-8) - 5월 24일, 6월 1일, 7월 26일, 11월 28일, 11월 30일 (0) | 2023.12.30 |
---|---|
시메온(Simeon) 축일 1.(1-3) - 1월 5일, 2월 3일, 3월 24일 (0) | 2023.12.28 |
시몬(Simon) 축일 1.(1) - 7월 18일 (0) | 2023.12.24 |
예레미야(Jeremiah) 축일 2.(2-5) - 2월 16일, 6월 7일, 6월 17일, 9월 15일 (0) | 2023.12.22 |
예레미야(Jeremiah) 축일 1.(1) - 5월 1일 (0) | 2023.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