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리암(William)
1. 1월 1일 성인 빌리암
신분 : 수도원장
활동지역 : 디종(Dijon)
활동연도 : 962-1031년
같은이름 : 굴리엘모, 굴리엘무스, 빌헬름, 윌리암, 윌리엄
성 베니뇨의 빌리암(William of Saint Benignus)이라고도 불리는 성 빌리암은 볼피아노(Volpiano)의 백작 로베르투스의 아들로 이탈리아의 노체라(Nocera)와 가까운 오르타(Orta) 호수에 있는 산 주글리오 섬의 가족성에서 태어났습니다.
17세 때에 로카디오(Locadio)의 베네딕토 수도원으로 들어갔으며, 987년에는 클뤼니(Cluny) 수도원에서 성 마욜루스(Majolus, 5월 11일)를 만납니다.
그는 론(Rhone) 지방의 성 세르닌(Sernin) 수도원을 재정비하였으며, 990년에 사제로 서품되면서 디종의 성 베니뇨 수도원의 원장이 되었는데 그는 이 수도원을 학문과 영성운동의 중심지로 발전시켰고 부르고뉴(Bourgogne), 로렌(Lorraine), 노르망디(Normandie), 북이탈리아의 40개 수도원의 모원으로 만들었습니다.
윌리엄 또는 굴리엘무스(Gulielmus)으로도 불립니다.
2. 1월 10일 성인 빌리암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부르주(Bourges)
활동연도 : +1209년
같은이름 : 빌헬름, 빌헬모, 빌헬무스, 윌리암, 윌리엄, 윌헬모, 윌헬무스, 굴리엘모
성 빌리암 드 돈 종(William de Don Jeon)은 프랑스 느베르(Nevers)의 유명한 가문의 후예로서 좋은 교육을 받았으나 세속을 등지기로 결심하고 그랑몽(Grandmont) 대수도원의 은둔소에 들어갑니다.
그러나 그는 퐁티니(Pontigny) 수도원에서 서원을 발했으며, 상스(Sens) 교구의 퐁텐-장(Fontaine-Jean) 수도원의 초대원장을 역임합니다.
그는 다른 그 누구보다도 자기 형제들로부터 높은 존경과 사랑을 받은 인물이었습니다.
1200년 11월 23일 그는 부르주의 대주교로 선출되었는데, 눈물을 흘리며 수도원을 떠나 착좌하였고 주교로 활동하면서도 수도복 밑에 고복을 입고 계속하여 고행하였고, 내외적인 기준을 분명히 함으로써 성직자들의 기강을 바로 잡는데 인내와 겸손의 덕이 특출하였던 그에게 어느 성직자도 감히 못된 짓을 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또한 그의 설교와 모범으로 알비파(Albigenses) 이단들을 수없이 개종시켰는데, 그가 운명하기 얼마 전에는 백성들에게 고별 설교까지 했다고 합니다.
1217년에 교황 호노리우스 3세(Honorius III)에 의해 시성되었으며 윌리엄 또는 빌헬무스(Wilhelmus)로도 불립니다.
3. 4월 6일 성인 빌리암
신분 : 수도원장
활동지역 : 아이벨홀트(Aebelholt)
활동연도 : 1127-1203년
같은이름 : 굴리엘모, 빌헬름, 윌리암, 윌리엄
덴마크의 위대한 수도자로서 공경을 받고 있는 성 빌리암은 원래 프랑스 파리(Paris)의 사제였으나, 1171년경에 덴마크 로스킬레(Roskilde)의 주교로부터 초청받고 아이벨홀트 수도원 개혁 사업을 위탁받아 힘든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덴마크의 위대한 수도자로 부각되기 시작하며 1194년경 덴마크 국왕의 동생인 인겔부르가와 함께 로마(Roma)로 갔습니다.
윌리엄으로도 불리는 그는 1224년 교황 호노리우스 3세(Honorius III)에 의해 시성되었습니다.
4. 4월 7일 복자 빌리암
신분 : 은수자
활동지역 : 쉬클리(Scicli)
활동연도 : +1411년
같은이름 : 굴리엘모, 빌헬름, 윌리암, 윌리엄
원래 재속 프란치스코 회원으로 살다가 시칠리아(Sicilia)의 쉬클리 근교에서 은수자가 된 성 빌리암은 자신의 작은 움막에서 기도와 극도의 고행을 행하면서 70여 년을 살았습니다. 주로 자신이 심고 거둔 채소를 먹었으며 인근의 환자나 가난한 사람들을 찾아보기 위하여 잠깐씩 은둔소를 비운 적이 있을 뿐이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 와서 영적 지도와 권고를 받았고, 피아첸차(Piacenza)의 성 콘라두스(Conradus)와 가깝게 지냈습니다.
빌리암은 95세의 일기로 선종했는데 이상한 종소리를 듣고 쉬클리 주민들이 그의 은둔소에 가보니 성인은 무릎을 꿇은 자세로 숨져 있었고, 그 위로 천상의 빛이 내리비치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에 대한 공경은 1537년에 승인되었습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리암(William) 축일 3. (11-16) _ 8월 31일, 12월 19일, 2월 7일, 5월 29일, 3월 27일, 4월 24일 (0) | 2022.10.01 |
---|---|
빌리암(William) 축일 2. (5-10) _ 4월 16일, 5월 18일, 5월 28일, 6월 25일, 7월 4일, 7월 29일 (0) | 2022.09.30 |
풀젠시오(Fulgentius) 축일 _ 1월 1일, 1월 14일 (0) | 2022.09.24 |
클라로(Clarus) 축일 _ 1월 1일, 2월 1일, 11월 4일, 11월 8일 (0) | 2022.09.24 |
콘코르디오(Concordius) 축일 _ 1월 1일, 6월 23일, 9월 2일, 12월 16일 (0) | 2022.09.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