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시모(Maximus)
같은이름 : 막시무스, 막씨모, 막씨무스
1. 1월 8일 성인 막시모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파비아(Pavia)
활동연도 : +511년
성 막시모는 이탈리아 파비아의 주교였다는 사실 외에는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2. 1월 25일 성인 막시모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363년
배교자였던 율리아누스(Julianus) 황제의 관리였던 성 막시모와 성 유벤티우스(Juventius)는 유해 공경을 금지하는 황제의 칙서를 비난하여 물의를 일으켰는데 황제의 귀에 이 소식이 들어가면서 토지와 재산이 몰수되었으며 심한 고문을 받다가 참수형을 받고 순교하였습니다. 성 요한 크리소스토무스(Joannes Chrisostomus, 9월 13일)는 그들을 기리는 글을 썼습니다.
3. 2월 7일 성인 막시모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놀라(Nola)
활동연도 : +3세기
5세기 초에 놀라의 주교가 된 성 바울리노(Paulinus, 6월 22일)가 놀라의 사제이자 증거자였던 성 펠릭스(Felix, 1월 14일)에 대해 언급한 자료가 있는데 이 자료를 통해서 그에 대해서 알 수 있을 뿐 3세기 이탈리아 남부 나폴리(Napoli) 교외 놀라의 주교로 활동하였던 성 막시모의 생애에 대해 알려진 정보는 거의 없습니다. 데키우스 황제(249~251년 재위)의 박해 당시에 이미 연로한 주교였는데 그는 성 펠릭스에게 사제품을 주었고 그의 보좌를 받았습니다. 250년 박해가 시작되었고 그는 그리스도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였지만 점점 박해는 심해졌고 그는 성 펠릭스에게 교구를 돌보게 하고 잠시 피신하게 되었는데 성 펠릭스는 주교를 사막으로 피신시켰지만 자신은 체포되어 감옥에 갇혀 혹독한 고문을 당하게 됩니다. 성 펠릭스가 어느 날 천사의 도움으로 감옥에서 풀려나 성 막시모에게 갔지만 당시 그는 추위와 배고픔으로 말조차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태였습니다. 성 펠릭스는 제철도 아닌 포도나무에서 열매를 따서 그 즙으로 기적적으로 성 막시모를 소생시킨 후 그를 도시로 모셔와 돌보도록 하였고 얼마 뒤에 성 막시모는 평화롭게 선종하였습니다. 옛 “로마 순교록”은 이탈리아 남부 캄파니아(Campania) 지방의 놀라에서 성 막시모 주교를 기념한다고 1월 15일 목록에서 간단히 언급하였고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박해의 시대에 놀라의 교회를 돌보고 평화롭게 세상을 떠난 성 막시모 주교에 대해 2월 7일 목록으로 옮겨 기록하였습니다.
4. 2월 18일 성인 막시모 1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아프리카(Africa)
활동연도 : +연대미상
옛 “로마 순교록”은 아프리카 순교자인 성 막시모와 성 루치오(Lucius), 성 루툴로(Rutulus), 성 세쿤디노(Secundinus), 성 실바노(Silvanus), 성 클라시코(Classicus), 성 프룩툴로(Fructulus)의 이름을 2월 18일 목록에서 전해주었습니다. 이들은 16세기에 교회사학자로 유명한 카이사르 바로니우스(Caesar Baronius, 1538~1607년) 추기경이 믿을만한 사본을 바탕으로 “로마 순교록”에 삽입하였다고 하였지만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에서는 그들의 이름을 더는 찾을 수 없습니다.
5. 2월 18일 성인 막시모 2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오스티아(Ostia)
활동연도 : +295년
옛 “로마 순교록”은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명령으로 저명한 가문 출신인 성 막시모와 그의 형제인 성 클라우디오(Claudius), 성 클라우디오의 아내인 성녀 프레페디냐(Praepedigna)와 그들의 두 아들인 성 알렉산데르(Alexander)와 성 쿠티아(Cutias)가 체포되어 유배되었으며 오스티아에서 산 채로 화형을 당하여 하느님께 향기로운 순교의 제사를 봉헌하였다고 2월 18일 목록에서 전해주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강에 버려졌지만 이를 그리스도인들이 발견하여 오스티아 근처에 묻어 주었다고 기록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에 대해 역사적 신뢰성을 두기는 어려우며 오히려 교훈적인 목적으로 로마의 성녀 수산나(Susanna, 8월 11일) 이야기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그래서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에서는 별도로 그들의 이름을 기록하지 않았습니다.
6세기에 기록된 전설적인 성녀 수산나의 수난기(Passio)와 성인전집(聖人傳集, Acta Sanctorum)에 따르면, 로마의 사제인 성 가비노(Gabinus, 2월 19일) 딸이었던 성녀 수산나는 교황 성 카이오(Cajus, 4월 22일)의 조카이자 매우 아름다운 처녀였습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그녀는 아버지와 친척 사이로 황제는 그녀에게 자기 아들과 결혼하라고 요구하였으나 이를 뿌리쳤고 그녀의 결혼을 종용하라는 특명을 받고 파견된 궁중 관리였던 성 클라우디오를 개종시켰습니다. 성 클라우디오는 교황 성 카이오에게 세례를 받은 후 집으로 돌아와 아내에게 자기가 보고 듣고 배운 모든 것을 전해주었고 성녀 프레페디냐와 두 아들도 다음날 성 카이오에게 세례를 받게 됩니다. 성 클라우디오는 그 뒤로 자기 재산을 팔아 가난한 그리스도인들을 돕는데 헌신하였습니다. 황제는 성 클라우디오가 아프다면서 성녀 수산나에 관한 일을 미루자 그의 동생인 성 막시모를 다시 파견하였는데 성 막시모 역시 성녀 수산나에 의해 개종하게 되고 결국 분노한 황제에 의해 성 막시모와 성 클라우디오 가족 모두는 화형을 당해 순교하게 됩니다. 그들의 시신은 강에 버려졌지만 다른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발견되어 오스티아에 안장되었습니다.
6. 4월 13일 성인 막시모
신분 : 독서자, 순교자
활동연도 : +303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때 불가리아 도나우(Donau) 강 유역 도로스토룸(Dorostorum) 출신의 형제인 성 막시오와 성 다다(Dadas), 성 퀸틸리아누스(Quintilianus)가 오조비아(Ozobia)에서 순교하였습니다. 성 다다와 성 막시무스는 독서자였습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시모(Maximus) 축일 3.(17-21) - 7월 2일, 7월 20일, 8월 2일, 8월 13일, 8월 18일 (0) | 2024.05.10 |
---|---|
막시모(Maximus) 축일 2.(7-16) - 4월 14일, 4월 15일, 4월 30일, 5월 5일, 5월 11일, 5월 15일, 5월 25일, 5월 29일, 6월 10일, 6월 25일 (0) | 2024.05.08 |
막시모(Maximus), 발레리아노(Valerianus), 티부르시오(Tiburtius) 축일 - 4월 14일 (0) | 2024.05.04 |
아우렐리아(Aurelia) 축일 - 10월 15일, 12월 2일 (0) | 2024.04.30 |
클레오파트라(Cleopatra) 축일 - 10월 19일 (0) | 2024.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