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야기/세례명 이야기

로살리아(Rosalia) 축일 - 9월 4일

 

로살리아(Rosalia)

 

9월 4일 성녀 로살리아

9월4일이-축일인-성녀-로살리아
성녀 로살리아

 

신분 : 동정녀, 은수자

활동지역 : 팔레르모(Palermo)

활동연도 : +12세기

같은이름 : 로살리, 로쌀리아, 로잘리, 로잘리아

 

성녀 로살리아에 대한 공경은 시칠리아(Sicilia)에서 오래전부터 보편화되었지만 그녀의 생애가 옛 순교록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그녀의 시신이 발견되고 40일이 지난 후 성녀 자신이 쓴 것으로 여겨지는 비문이 발견되었는데, 그 비문에는 “퀴스퀴나(Quisquina)의 영주인 시니발디(Sinibaldi) 백작과 로사(Rosa)의 딸인 나 로살리아는 주 예수님께 대한 사랑 때문에 이 동굴에서 살기로 결심하였다.”라고 적혀 있었습니다. 이 비문과 전설에 의하면 시칠리아에서 퀴스퀴나의 영주인 시니발디 백작과 로사의 딸로 태어난 성녀 로살리아는 처음에는 바실리오회의 수녀가 되었다가 두 천사의 인도로 몬테 코스키나(Monte Coschina)와 팔레르모 근처에 있는 펠레그리노(Pelegrino) 산의 한 동굴로 가서 은수자로 살다가 선종하였습니다.

 

 

시칠리아에서는 1624년에 전염병이 돌았는데 이때 기적적으로 그녀의 시신이 발견되어 장엄한 행렬을 따라서 팔레르모로 옮겨졌으며 전염병이 사라진 후에는 팔레르모의 수호성인으로 공경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교황 우르바노 8세(Urbanus VIII)는 “로마 순교록”에 그녀의 이름을 1630년에 포함하였고 그녀의 축일은 그녀의 시신을 발견한 날인 7월 15일에 기념하기도 하지만, 현재는 그녀가 죽은 날로 추정되는 9월 4일에 기념하고 있습니다. 시칠리아와 이탈리아에 널리 퍼진 그녀의 공경은 이탈리아인들의 이민으로 인해 해외에도 널리 퍼지게 되었고 그녀가 살았던 동굴에 소성당이 세워졌으며 팔레르모 주교좌 성당 내의 아름다운 소성당에 그녀의 유해가 모셔져 있습니다.

 

성녀 로살리아에 관한 전설 중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그녀의 시신을 발견하게 된 이야기로 성녀가 팔레르모의 한 노인에게 나타나 자신의 시신이 펠레그리노 산의 어느 동굴에 가면 있을 것이라고 알려주었는데 그 동굴에서 성녀가 쓴 비문도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무서운 페스트가 퍼진 1624년, 성인 호칭 기도 뒤에 사람들이 성녀의 이름을 추가해 기도하자 페스트가 사라졌으며 대지진이 발생한 1693년에도 팔레르모는 성녀 로살리아에게 기도를 하여 큰 피해를 모면하게 되었습니다. 그 후 성녀 로살리아를 팔레르모 주민들은 페스트와 지진에서 구해 주는 성녀로 공경하게 되었으며 그 공경은 점차 인근 지역과 여러 나라로 퍼져나갔습니다. 옛 “로마 순교록”은 성녀의 시신이 발견되어 시칠리아를 전염병에서 구했다는 사실을 7월 15일 목록에서 알려주었으며 성녀 로살리아는 팔레르모에서 왕실 혈통의 그 도시 출신이었지만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인해 궁정을 떠나 홀로 산속 동굴에서 천상의 삶을 살았다고 9월 4일 목록에서 기록하였습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펠레그리노 산에서 팔레르모의 동정녀인 성녀 로살리아가 고독한 삶을 살았다고 9월 4일 목록에서 간단히 언급하였습니다. 그녀는 로잘리(Rosalie)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