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야기/세례명 이야기

로사(Rosa) 축일 2. (4-5) _ 5월 7일, 11월 18일

 

로사(Rosa)

 

4. 5월 7일 성녀 로사 베네리니(Rosa Venerini)

5월7일-성녀-로사
성녀 로사 (5월 7일)

신분 : 동정녀, 설립자

활동연도 : 1656 - 1728년

같은이름 : 로싸, 로즈 

 

성녀 로사 베네리니(Rosa Venerini)는 1656년 2월 9일 이탈리아의 비테르보(Viterbo)에서 태어났으며 그녀의 아버지인 고프레도(Goffredo)는 안코나(Ancona)의 카스텔레오네 디 수아사(Castelleone di Suasa) 출신으로 로마(Roma)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은 후 비테르보의 대형 병원에서 의사 직무를 훌륭히 수행하고 있었습니다.

고프레도는 비테르보의 오래된 가문 출신인 마르지아 잠피체티(Marzia Zampichetti)와 결혼하여 네 명의 자녀, 즉 도메니코(Domenico), 마리아 막달레나(Maria Maddalena), 로사 베네리니, 오라지오(Orazio)를 두었습니다.

로사 베네리니는 태어나면서부터 총명함과 비범한 감성을 갖고 있었는데 그녀는 가정교육을 통해 확고한 그리스도교적 원칙 안에서 형성된 많은 심리적인 재능을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그녀의 첫 번째 전기 작가인 지롤라모 안드레우치(Girolamo Andreucci) 신부에 의하면 그녀는 7살 때 이미 자신의 삶을 봉헌하기 위한 서원을 했다고 하며 청소년기 동안 그녀는 세상의 매력과 하느님께 드린 약속 사이에서 고민하며 지냈는데, 이 위기를 의심 없는 기도와 금욕으로써 이겨냈다고 합니다.

20살 때 로사 베네리니는 자신의 미래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되었는데 그녀가 살던 시대에 여성들의 삶은 결혼 아니면 수도생활이라는 두 가지 방향의 선택만이 가능할 뿐이었으며 그녀는 이 두 가지 모두를 존중했지만, 하느님께서는 교회의 유익과 당시 사회를 위해 다른 계획을 깨닫도록 그녀를 부르셨습니다.

 

이러한 예언적인 내적 움직임에 의해 그녀는 완전히 혁신적인 해결책에 도달할 때까지 고통과 탐색의 시간을 가질 수밖에 없었는데 1676년 가을, 그녀는 아버지의 조언에 따라 자신의 서원을 완성하리라는 기대를 갖고 성녀 카타리나(Catharina)의 도미니코회 수녀원에 입회합니다. 그녀의 이모인 안나 체칠리아(Anna Cecilia) 옆에서 그녀는 침묵과 묵상 중에 하느님의 말씀을 듣는 방법을 배웠지만 그녀의 수도원 생활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는데 갑작스러운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해 고통 중에 있는 어머니를 위로하기 위해 입회 몇 달 만에 집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다음 해에는 그녀의 오빠인 도메니코가 27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죽고, 그로부터 몇 달 뒤에 어머니 또한 세상을 떠나 슬픔을 감당하기 어려웠던 그녀는 가족에게 주어진 불행의 짐을 짊어지게 됩니다. 

그러는 중에 언니 마리아 막달레나는 결혼을 했고, 집에는 이제 막내 오라지오와 24살이 된 로사 베네리니만이 남게 되었는데 하느님을 위해 뭔가 큰일을 하고 싶었던 그녀는 1684년 5월에 주변의 처녀와 부인들을 모아 저녁마다 묵주기도를 바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과 기도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도 기도 전후의 대화를 통해 당시의 슬픈 현실에 마음의 문을 열게 되었고 당시 여성들은 문화적, 교육적, 영성적 가난의 노예와도 같았는데 로사 베네리니는 하느님께서 젊은 여성들의 교육과 그리스도교적 양성이라는 보다 높은 사명을 위해 자신을 부르고 계심을 이해했고, 산발적인 만남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현실적이고 참된 감각을 갖고 투신해야 할 긴급한 필요성을 확인하게 됩니다.

 

1685년 8월 30일 아버지의 집을 떠난 로사 베네리니는 비테르보의 주교인 우르바노 사케티(Urbano Sacchetti) 추기경의 승인을 받고, 두 명의 친구이자 협력자인 제롤라마 콜루첼리(Gerolama Coluzzelli)와 포르지아 바키(Porzia Bacci)와 함께 혁신적인 계획을 따라 기도 안에서 성숙하며 하느님의 뜻을 찾을 수 있는 첫 번째 여학교를 시작합니다.

설립자로서 로사 베네리니의 첫 번째 목적은 소녀들을 그리스도교적 정신으로 양성하고 사회생활을 준비하도록 도와주는 것이었는데 그녀는 이탈리아에서 처음으로 소녀들을 위한 공립학교를 개교한 것이었으며 비록 시작은 대단하지 않았지만 그 의미만큼은 예언적이라 할만했습니다.

물론 첫 시작이 쉽지는 않았는데 자신의 직무로서 교리교육을 담당하는 성직자들의 저항에 직면하기도 했고, 무지한 소녀들의 교육을 마음으로 받아들인 비테르보의 중상류 계층 여성들의 대담함에 충격을 느낀 순응주의자들로부터 호된 의혹을 사기도 했습니다.

로사 베네리니는 하느님의 사랑을 위해 이 모든 것을 극복하며 자신이 하느님의 계획을 올바로 따르고 있다는 사실이 확실해질 때까지 주어진 길을 계속 걸어갔으며 그녀가 옳았다는 것은 교육사업의 결과로써 입증되었습니다. 

여성들의 인간적 증진과 영성적 향상이 현실화되었고, 교회와 시 당국으로부터 승인을 받기까지도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같은 일에 종사하는 사목자들로부터 그녀의 교육방법이 가져온 교육적 개선을 평가받았고 그녀가 창시한 혁신적 교육방법의 타당성이 인정받으면서 그녀의 명성은 교구의 한계를 뛰어넘게 됩니다.

 

비테르보 프로젝트의 특징을 잘 이해한 몬테피아스코네(Montefiascone) 교구의 마르코 안토니오 바르바리고(Marco Antonio Barbarigo) 추기경은 로사 베네리니를 자신의 교구로 초대했고 하느님의 영광을 위해 항상 자신을 희생할 준비가 되어 있던 그녀는 이 초대에 기꺼이 응답하였습니다.

1692년부터 1694년까지 몬테피아스코네와 볼세나(Bolsena) 호수 주변 마을에 열 개의 학교를 개교하였는데, 바르바리고 추기경은 적극적인 물질적 후원을 제공하였으며 교사들의 훈련과 학교들을 조직할 기구의 필요성을 느낀 로사 베네리니는 추기경의 도움으로 교사 훈련원을 세웠고, 이곳에서 비슷한 사명을 수행하던 성녀 루치아 필립피니(Lucia Filippini, 3월 25일)를 만나 그녀와 함께 ‘자비로운 교사회’를 공동으로 설립하였는데, 오늘날 베네리니의 자매회로 불리고 있습니다.

 

비테르보와 몬테피아스코네에 여학교를 개교한 로사 베네리니는 로마를 중심으로 하는 이탈리아 서부 라치오(Lazio) 지방에서 또 다른 학교들을 열기 시작하였고 1706년에 로마로 진출했으나 한동안은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시 당국의 신뢰를 얻기까지 6년의 긴 시간을 기다린 끝에 1713년 12월 8일 베네리니 가족의 위대한 친구인 아바테 데글리 아티(Abate Degli Atti)의 도움으로 로마의 중심지인 캄피도글리오(Campidoglio) 바로 아래에 학교를 개교할 수 있었고  1716년 10월 24일 교황 클레멘스 11세(Clemens XI)는 8명의 추기경을 동반하고 그녀가 설립한 학교를 시찰하기 위해 방문하여 “당신은 우리가 할 수 없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로마에 행복을 가져다 줄 이 학교에 대해 너무도 고맙습니다.”라며 치하하였습니다.

이를 계기로 여러 지역의 당국자와 추기경들로부터 자신들의 지역에 학교를 세워달라는 요청이 쇄도하였는데 그녀는 힘겨운 여행을 계속하며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고 학교를 설립하기 위해 기쁨과 희생이 뒤섞인 고된 작업을 이어갔으며 그녀가 새로운 학교를 시작하는 곳 어디서든 짧은 기간 안에 젊은이들 안에서 높은 교육적 증진의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일생동안 4-개 이상의 학교를 개교한 로사 베네리니는 1728년 5월 7일 오후 로마의 성 마르코 공동체에서 성인다운 죽음을 맞이하였습니다.

그녀의 유해는 평소 그녀가 사랑했던 제수(Gesu)의 성당 근처에 안장되었고, 시복식을 즈음하여 로마에 있는 관구 본부의 경당으로 이장하였습니다.

1952년 5월 4일 교황 비오 12세(Pius XII)에 의해 시복되었고, 2006년 10월 15일 바티칸의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베네딕투스 16세(Benedictus XVI)에 의해 시성되었습니다.

 

 

5. 11월 18일 성녀 로사 필리핀 뒤셴(Rose Philippine Duchesne)

11월18일-성녀로사
성녀 로사 (11월18일)

신분 : 수녀원장, 선교사 

활동연도 : 1769-1852년

같은이름 : 뒤센, 뒤센느, 뒤셴느, 로싸, 로즈, 필리피나, 필립핀

 

성녀 로사 필리핀 뒤셴(Rosa-Philippine Duchesne)은 1769년 8월 29일 프랑스 그르노블(Grenoble)에서 태어났는데 그녀의 아버지 피에르 프랑수아 뒤셴(Pierre Francois Duchesne)은 저명한 법률가였고, 어머니 로즈 유프로신 페리에(Rose-Euphrosine Perier)는 프랑스에서 존경받는 유력한 가문의 딸이었습니다.

그녀는 그르노블 근교에 있는 생트 마리 당 오(Sainte-Marie-d’en-Haut)의 성모 방문 수녀회에서 교육을 받으며 수도 성소를 키웠고, 강력하게 결혼을 요구하던 양친을 요구를 뿌리치고 1788년에 성모 방문 수녀회에 입회하였습니다.

그러나 다음 해부터 시작된 프랑스혁명의 불길이 전국을 휩쓸면서 수도원도 약탈당하고 강제로 폐쇄되면서 수도자들은 프랑스에서 추방되었는데 1791년에 몰래 집으로 돌아온 그녀는 병자들을 방문하거나 고통받는 이들을 돌보며 가능한 수도 규칙에 따른 삶을 이어가고자 노력했습니다. 또한 혁명의 희생자로 감옥에 갇힌 성직자들을 찾아다니며 위로하는 데에도 힘썼습니다.

 

1801년 교황 비오 7세(Pius VII)와 나폴레옹 간에 교회와 국가의 평화로운 관계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협정이 체결된 후, 그녀는 자신이 생활했던 성모 방문 수녀회로 돌아와 수녀원을 재건하려고 여러 노력을 기울였으며 그 무렵 이제 막 성심 수녀회를 설립한 성녀 막달레나 소피아 바라(Magdalena Sophia Barat, 5월 25일) 원장을 만나 수녀원 재건에 대한 도움을 청했으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을 깨닫게 됩니다.

성녀 막달레나 소피아 바라는 그녀의 열정과 용기에 감명받아 그녀를 성심 수녀회로 초대했고, 이를 받아들인 성녀 로사 필리핀 뒤셴은 1804년 12월 31일 성심 수녀회의 수녀로 서원을 했습니다.

1818년 그녀는 네 명의 동료 수녀들과 함께 신대륙인 미국으로 파견되어 분원장이 되었고, 영어를 배우면서 미주리(Missouri) 주에서 가장 외딴 마을이었던 세인트찰스(St. Charles)에 정착해 미국에서 첫 번째 성심 수녀회 수도원을 세웁니다.

그들은 미시시피강(Mississippi River) 서안에서 무료 학교와 인디언들을 위한 학교 등을 운영하다가, 다음 해에 세인트루이스(St. Louis)의 플로리전트(Florisant)에도 진출하였으며 영어뿐만 아니라 인디언과의 소통 및 문화적 차이 등 많은 난관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공동체는 크게 성장했고, 1828년경에는 미시시피강을 따라 여섯 개의 분원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1840년에 미국 지부장직을 사임하고 이듬해에 예수회 선교사와 함께 슈거 크리크(Sugar Creek)를 따라 캔자스(Kansas) 동부의 인디언 보호구역인 포타와토미(Potawatomi)에서 인디언을 위한 학교 운영을 도왔는데 비록 그들의 말을 할 수 없어서 대화를 나눌 수는 없었지만 늘 기도와 묵상에 잠긴 모습을 통해 ‘항상 기도하는 여인’(Quahkahkanumad)이란 이름으로 불릴 정도로 인디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러나 불과 1년 후 건강이 나빠져 다시 세인트찰스로 돌아와 여생을 기도하며 보내다가 1852년 11월 18일 83세의 나이로 선종해 수녀원 묘지에 묻혔다가 3년 뒤 그녀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작은 성당에 안치되었습니다.

미국 교회를 위해 헌신한 성녀 로사 필리핀 뒤셴은 1940년 5월 12일 교황 비오 12세(Pius XII)에 의해 시복되었고, 1988년 7월 3일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성인품에 올랐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