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오니시오(Dionysius), 판크라시오(Pancratius)
같은이름 : 데니스, 드니, 디오니시우스, 디오니씨오, 디오니씨우스
1. 5월 12일 성인 디오니시오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304년경
2. 5월 12일 성 판크라시오
신분 : 소년, 순교자
활동지역 : 로마(Roma)
활동연도 : +4세기초
같은이름 : 판크라스, 판크라시우스, 방그라시오, 방그라씨오, 판크라씨오, 판크라씨우스, 판크라티오, 판크라티우스
성 판크라시오(Pancratius)에 대해 알려진 내용은 거의 없는데 옛 “로마 순교록”은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284~305년 재위)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 로마의 아우렐리아(Aurelia) 가도에서 14살의 어린 나이로 고문을 당하고 참수형으로 순교하였다고 전해주었습니다. 그런데 비평문이나 오래된 문서 등에 언급된 전설적인 수난기에 따르면, 290년경 프리기아(Phrygia) 지방 신나다(Synnada)에서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난 성 판크라시오는 양친을 일찍이 여의고 고아가 되어 삼촌이었던 성 디오니시오에게 맡겨졌습니다. 삼촌을 따라 로마로 와서 살게 된 그는 그곳에서 그리스도교로 개종하고 세례를 받았고 340년경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가 한창이던 때 로마의 신상 앞에 불과 14살의 나이로 희생제물을 바치라는 요구를 받았습니다. 어린 그에게 황제는 권력을 약속하며 회유했지만 그는 몸은 비록 어린아이지만 마음만은 노인과도 같다고 말하며 단호히 거절하였고 참수형을 받아 순교의 월계관을 썼습니다. 옥타빌라(Octavilla)라는 한 로마의 부인에 의해 그의 시신이 수습되었고 그녀는 그를 로마의 카타콤바에 새로 만든 무덤에 안장하였습니다. 옛 로마 순교록은 이때 로마에서 그와 함께 그의 삼촌이었던 성 디오니시오도 순교했다고 기록하였으나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그에 대한 기록을 같은 날 목록에서 삭제하였습니다.
일찍부터 성 판크라시오의 무덤은 많은 이들이 찾는 순례지가 되었는데 성 판크라시오 기념 미사가 교황 성 젤라시오 1세(Gelasius I, 492~496년 재위, 11월 21일)와 성 대 그레고리오 1세(Gregorius I, 590~604년 재위, 9월 3일)의 성무 집전서에 있는 것으로 보아 일찍부터 그에 대한 공경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500년경 그의 무덤 위에 세워진 성당을 교황 성 심마코(Symmachus, 498~514년 재위, 7월 19일)가 재건축하였으며 이곳에서 교황 성 대 그레고리오 1세는 복음서를 강화(講話)하고 그에게 봉헌하는 수도원을 세웠습니다. 성 판크라시오 대성당은 교황 호노리오 1세(Honorius I, 625~638년 재위)에 의해 재건되었으며 로마인들이 부활 시기에 주로 찾는 유적지가 되었으며 후대에는 추기경좌 성당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그에 대한 공경은 더욱 널리 퍼지게 되었으며 중세 때에는 서양 전역으로 전파되었습니다.
캔터베리(Canterbury)의 주교인 성 아우구스티노(Augustinus, 5월 27일)가 그의 첫 번째 성당을 성 판크라시오에게 봉헌하였고 교황 성 비탈리아노(Vitalianus, 1월 27일)는 664년에 그의 유해를 영국 노섬브리아(Northumbria)의 왕 오스위(Oswy)에게 보내주었는데 그래서 성 판크라시오는 특별히 영국에서 큰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중세 후기의 14명의 수호자 중 한 명으로 여겨졌던 그는 병자들의 수호자이자 신생 국가와 청춘 남녀들의 보호자로 공경을 받았으며 로마와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등의 여러 교회에 나뉘어 그의 유해가 보관되고 있습니다. 교회 미술에서 감이나 종려나무 가지를 들고 있는 젊은이의 모습니다 갑옷을 입고 있는 군인의 모습으로 주로 표현되는데 그는 군인은 아니지만 오래전부터 그와 함께 전례 안에서 함께 기념해 온 성 네레오(Nereus)와 성 아킬레오(Achilleus)가 군인이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로마 보편 전례력이 개정된 1969년 이후부터는 성 네레오와 성 아킬레오 순교자 또는 성 판크라시오 순교자를 5월 12일에 자유롭게 선택해서 기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오니시오(Dionysius) 축일 2.(7-11) - 4월 8일, 4월 19일, 5월 9일, 5월 12일 (5) | 2024.11.12 |
---|---|
디오니시오(Dionysius) 축일 1.(1-6) - 2월 8일, 2월 14일, 2월 26일, 3월 10일, 3월 16일, 3월 24일 (0) | 2024.11.10 |
모세(Moses) 축일 2.(2-6) - 2월 7일, 2월 14일, 8월 28일, 11월 25일, 12월 18일 (0) | 2024.11.06 |
모세(Moses) 축일 1.(1) - 9월 4일 (0) | 2024.11.04 |
막시미아노(Maximian) 축일 - 1월 8일, 2월 22일, 6월 9일, 7월 27일, 8월 21일, 10월 3일 (0) | 2024.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