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야기/세례명 이야기

모세(Moses) 축일 2.(2-6) - 2월 7일, 2월 14일, 8월 28일, 11월 25일, 12월 18일

 

모세(Moses)

같은이름 : 모이세스, 모제스

 

2. 2월 7일 성인 모세

신분 : 주교, 은수자

활동지역 : 사라센(Saracen)

활동연도 : +372년경

 

성 모세는 사라센의 사도로 불리던 아랍 사람으로 시리아와 이집트 사이의 사막에서 오랫동안 은수자로서 살았습니다. 주로 사라센 유목민들이 거주하던 땅이었던 이 지역은 별을 섬기는 자들이 주축을 이루었는데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의 주교 루키우스(Lucius)가 그를 주교로 축성하여 선교 사업을 주도하기를 희망하였지만 성 모세는 그가 아리우스파(Arianism)에 속한 주교였기 때문에 이를 거절하였습니다. 성 모세는 그 후 정통교리를 따르는 주교가 되었는데, 로마인과 사라센인 간의 평화를 유지시킨 것은 그의 주요 업적입니다. 사라센이란 말은 그리스와 로마인들이 시로-아라비아(Syro-Arabia) 사막의 유목민을 부르는 이름입니다.

 

3. 2월 14일 성인 모세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활동연도 : +연대미상

 

옛 “로마 순교록”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알려지지 않은 시기에 다양한 방법으로 순교한 이들을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 2월 14일 목록에서 전해주었습니다. 그들은 먼저 바다에 던져져 순교한 성 바소(Bassus)와 성 안토니오(Antonius), 성 프로톨리코(Protolicus), 그리고 화형으로 순교해 천국으로 올라간 성 모세와 성 치리온(Cyrion) 신부와 성 바시아노(Bassianus) 독서자, 성 아가토(Agatho) 구마자, 끝으로 참수형으로 순교한 성 디오니시오(Dionysius)와 성 암모니오(Ammonius)입니다. 그러나 고대 순교록에 따르면 이들 외에도 성 바소와 17명의 동료 순교자 또는 모두 26명의 알렉산드리아의 순교자 이름이 등장하는데 그중에는 중복되거나 비슷한 이름도 여럿 있습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9명의 알렉산드리아의 순교자 이름을 같은 날 목록에서 전해주었는데 그들은 먼저 바다에 던져져 순교한 성 루치오(Lucius)와 성 바시아노(Bassianus), 성 토니오노(Tonionus), 성 프로토(Protus), 그리고 화형으로 순교한 성 모세와 성 치리온 신부, 성 아가토 구마자, 끝으로 참수형으로 순교한 성 디오니시오, 성 암모니오입니다. 옛 “로마 순교록”에서 익사형으로 순교한 성 바소의 이름은 성 바시아노로, 바뀌었고 성 안토니오는 성 토니오노로, 성 프로톨리코는 성 프로토로 바뀌었으며 성 루치오가 추가되었고 화형으로 순교한 이들 중에서는 성 바시아노 독서자가 빠졌습니다. 이렇게 개정 “로마 순교록”도 9명의 알렉산드리아 순교자의 이름을 모두 기록하였습니다.

4. 8월 28일 성인 모세

8월28일-성-모세
성 모세(8월 28일)

 

신분 : 은수자

활동지역 : 에티오피아(Ethiopia)

활동연도 : 330-405년

 

성 모세 흑인(Moyses the Black)은 고대 에티오피아 태생으로 원래 신체상으로 매우 건장하고 깡패 기질도 있는 사람이었는데 어느 이집트 사람의 종으로 있던 중에 그는 약탈 행위를 하다가 쫓겨나게 되었고 이때부터 아예 강도단의 두목이 되어 나일 강 유역에 악명이 자자하였습니다. 이 강도단을 소탕하고자 군대가 동원되었는데 모세는 스케티스(Scetis) 사막의 은수자들 틈으로 숨어들었다가 도자들의 거룩한 생활에 감명을 받아 아예 수도자가 되었습니다. 그는 수도생활에 정진해 후에 사제가 되었고 공동체의 원장이 되었습니다. 가제직에 오른 그가 주교의 허락을 받고 흰옷을 입자 주교는 “이제까지 흑인이던 사람이 백인이 되었네.”라고 하였고 그는 “겉만 그렇지, 속은 아직도 검은 줄을 하느님만은 아십니다.”라고 대답하였는데 이 일화는 매우 유명합니다. 그가 75세 되던 해에 수도원을 도적 떼가 기습하였는데 그는 수도자들을 피신시키고 몇 명의 노년의 수도자들과 함께 도적들을 맞았고 결국 전부 살해되었습니다. 와디 나트룬(Wadi Natrun)으로도 부르는 스케티스에 있는 다이르-알-바라무스에 그의 무덤이 있습니다.

 

5. 11월 25일 성인 모세

신분 : 신부, 순교자

활동연도 : +251년

 

성 모세는 유대인 출신으로 로마(Roma)의 사제인 성 키프리아누스(Cyprianus)에 따르면, 데키우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 최초로 신앙을 고백하여 순교하였습니다. 모세와 키프리아누스는 서로 편지를 보내어 격려하였고 특히 노바티우스의 이단과는 결별하기로 작정했다고 합니다. 신앙을 고백한 뒤 모세는 감옥에서 21개월 11일 만에 순교하였습니다.

 

6. 12월 18일 성인 모세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아프리카(Africa)

활동연도 : +250년

 

성 모세는 데키우스의 박해 중에 아프리카에서 순교하였습니다. 때때로 그는 모이세테(Moysetes)로 기록되기도 하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