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야기/세례명 이야기

테오도토(Theodotus) 축일 - 1월 4일, 5월 6일, 5월 18일, 7월 5일, 8월 31일, 11월 2일, 11월 14일

 

테오도토(Theodotus)

같은이름 : 데오도또, 데오도뚜스, 테오도또, 테오도뚜스, 테오도투스

 

테오도토는 흔한 세례명은 아니지만 그래도 간혹 볼 수 있는 세례명입니다. 

꽤 유니크하고 괜찮은 세례명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축일은 5월 18일입니다.

 

1. 1월 4일 성인 테오도토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아프리카(Africa)

활동연도 : +484년

 

성 데오도토는 성 아퀼리누스(Aquilinus), 성 게미누스(Geminus), 성 에우게니우스(Eugenius), 성 마르키아누스(Marcianus), 성 퀸투스(Quinctus), 성 트리폰(Tryphon)과 반달의 아리우스파(Arianism) 국왕 후네릭 치하의 아프리카에서 순교하였습니다. 이들에 대한 기록은 오늘날 망실했으나, 성 베다 존엄한 자(Beda the Venerable)의 기록에 등장하고 있습니다.

 

2. 5월 6일 성인 테오도토

신분 : 주교, 증거자

활동지역 : 키프로스(Cyprus)

활동연도 : +325년

 

키프로스 키레니아(Cyrenia)의 주교인 성 테오도토는 리키니우스 황제가 동방을 지배하던 시기에 감옥에 오랫동안 투옥되어 고통을 겪었습니다.

 

3. 5월 18일 성인 테오도토

 

4. 7월 5일 성인 테오도토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연대미상

 

흑해 연안의 토미(Tomi)에서 성 데오도토와 성 마리누스(Marinus), 성녀 세도파(Sedopha)가 순교하였습니다. 성녀 세도파는 세돌파(Sedolpha)로도 불립니다.

 

5. 8월 5일 성인 테오도토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270년

 

로마 순교록과 전승에 의하면 성 마마(Mamas, 8월 17일)는 신심 깊은 그리스도인 부부 성 테오도토와 성녀 루피나(Rufina, 8월 31일)의 사이에서 카파도키아(Cappadocia)의 카이사레아에서 태어났습니다. 성 데오도토는 아우렐리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로마 제국 내의 모든 시민은 로마의 신상 앞에 희생제물을 바쳐야 한다는 포고령을 정면으로 거부하고 감옥에 갇혔고 카이사레아의 총독 파우스투스(Faustus)에게 모진 고문을 받은 후 감옥으로 돌아와 숨을 거두었습니다. 그 당시 그의 아내 성녀 루피나는 임신 중이었는데 감옥에서 남편과 함께 고통을 받던 중 성 마마를 낳고 숨을 거두었습니다. 하느님께서 갓난아기를 두고 떠나야만 하는 어머니의 간절한 기도를 들어주셔서 신심 깊고 부유한 미망인인 성녀 암미아(Ammia, 8월 31일)에게 맡겨져 양육된 성 마마는 훌륭한 그리스도인으로 교육을 받게 되고 그녀의 도움으로 좋은 학교에 들어가 교육을 받았으며 모범적으로 성장하였고 주변 사람들을 그리스도교로 개종시키는 데도 열성적이었습니다. 성 마마가 15살이 되던 해 성녀 암미아는 세상을 떠났습니다. 

 

 

성 마마는 아직 어린 소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교 신앙을 퍼뜨린 죄로 카이사레아의 총독 앞으로 끌려가게 되지만 총독은 어린 성 마마를 차마 고문하지 못하고 로마 황제 아우렐리아누스에게 보앱니다. 일단 어린 성 마마를 회유해 배교시키려고 하던 황제는 우상숭배의 부당함을 역설하고 두려움 없이 신앙을 고백하는 소년 앞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었고 분노한 황제는 결국 잔인한 고문을 가하고 그를 익사시키려 했지만, 그는 천사의 도움으로 카이사레아에서 멀지 않은 사막의 높은 산으로 가서 살게 됩니다. 그곳에 작은 오두막을 짓고 기도와 금식을 실천하며 엄격한 생활을 하던 그는 산속에서 야생동물들과 평화롭게 사는 놀라운 능력을 발휘하기도 하였으며 꿀과 염소의 젖으로 생활하며 이를 가난한 이웃들에게도 나누어주었습니다.

 

지방 행정관은 그의 존재가 불편했기에 그를 체포하기 위해 군인들을 보냈는데 상 위에서 군인들은 그를 만났지만 알아보지 못하고 양치기 정도로만 생각하였습니다. 군인들을 오두막에 초대한 성 마마는 그들에게 마실 우유를 제공하고 당당하게 그들에게 당신들이 체포하러 온 사람이 바로 자신이라고 이름을 밝혔습니다. 오랫동안 혹독한 고문을 당한 그는 맹수에게 먹이로 던져지기도 했지만, 그에게 짐승들은 아무런 해도 입히지 않았고 그러자 한 이교도의 사제가 그를 삼지창으로 때려 큰 상처를 입혔고, 마을 밖으로 피를 흘리며 걸어 나온 그는 작은 동굴에 들어가 하느님의 품에 안겼습니다. 신자들에 의해 그는 마지막 숨을 거둔 곳에 묻혔으며 성 마마는 맘마(Mammas) 또는 마만스(Mamans)로도 불립니다.

 

6. 11월 2일 성인 테오도토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라오디케아(Laodicea)

활동연도 : +334년

 

소아시아 지방 라오디케아의 주교로 아리우스주의(Arianism)와의 논쟁의 시대를 살았던 성 테오도토는 역사가인 에우세비우스(Eusebius)의 절친한 친구였습니다. 그는 325년 니케아(Nicaea) 공의회의 심의과정에 참여하여 니케아 신경에도 서명하였으며 공의회의 정통 교리에서 전혀 벗어나지 않았지만, 반아리우스주의(semi-Arianism)의 지지자였습니다.

 

7. 11월 14일 성인 테오도토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연대미상

 

발칸반도 동부 트라키아(Thracia) 지방의 헤라클레아(Heraclea)에서 성 데오도토와 성 클레멘티누스(Clementinus), 성 필로메누스(Philomenus)가 순교하였으며 그들에 대해 그 외에 알려진 바는 없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