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센시오(Crescentius)
같은이름 : 크레센시우스, 크레센티오, 크레센티우스, 크레센씨오, 크레센씨우스, 크레셴시오, 크레셴시우스, 크레스켄티오, 크레스켄티우스
1. 4월 19일 성인 크레센시오
신분 : 차부제
활동지역 : 피렌체(Firenze)
활동연도 : +396년
이탈리아 중부 피렌체의 주교인 성 제노비우스(Zenobius, 5월 25일)의 차부제이자 밀라노(Milano)의 주교인 성 암브로시우스(Ambrosius, 12월 7일)의 제자였던 성 크레센시오는 교회 미술에서 향로와 성작, 또는 향로와 책을 든 부제로 나타납니다. 병자들을 돌보는 모습으로도 자주 표현되는 성 크레센시오는 피렌체에서 특별한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2. 7월 6일 성인 크레센시오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피에졸레(Fiesole)
활동연도 : +90년경?
옛 “로마 순교록”에는 사도 성 베드로(Petrus, 6월 29일)에 의해 개종한 로마인 제자인 성 로물로(Romulus)가 이탈리아 토스카나(Toscana) 지방에 있는 피에졸레의 초대 주교가 되었다고 7월 6일 목록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탈리아의 여러 지방에서 복음을 선포한 후 토스카나의 피에졸레로 돌아온 그는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 다른 그리스도인 동료들과 함께 순교의 월계관을 썼습니다. 고대와 중세의 전승에 따르면 그와 함께 순교한 이들은 성 둘치시모(Dulcissimus), 성 마르키티아노(Marchitianus), 성 카리시모(Carissimus)와 성 크레센시오라고 전해집니다. 11세기에 퍼진 전설에 따르면, 로마의 귀족인 루체르나(Lucerna)라는 여인에게서 태어난 서자인 성 로물로의 아버지는 루체르나 아버지의 노예인 키루스(Cyrus)였다고 전해지며 고대 로마의 로물루스 전설처럼 그 또한 버려져 늑대의 젖을 먹고 자라던 중 사도 성 베드로를 만난 그는 세례를 받고 그의 제자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는 역사적 신빙성은 없는 이야기입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토스카나 지방 피에졸레의 ‘부제’인 성 로물로가 그 도시의 첫 순교자로서 공경을 받는다고 7월 6일 목록에서 간단히 기록하였으나 네 명의 동료 순교자들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거나 기록하지는 않았습니다.
3. 9월 14일 성인 크레센시오
신분 : 소년, 순교자
활동지역 : 로마(Roma)
활동연도 : +303년경
로마(Roma)의 귀족 출신인 성 에우티미오(Euthymius, 8월 29일)의 아들인 성 크레센시오는 11살 때인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박해가 한창일 때 부모와 함께 세례를 받았습니다. 박해를 피해 부모와 함께 로마를 탈출한 그는 페루자에 도착했는데 그곳에서 성 에우티미오가 세상을 떠나고 어린 성 크레센시오는 체포되어 다시 로마로 끌려오게 됩니다. 로마에서 투르필리우스(Turpilius) 재판관에게 모진 고문을 받았지만 그러면서도 그는 끝까지 신앙을 고백하였고 결국 도시 성벽 밖 살라리아 가도(Via Salaria)에서 참수형을 받고 순교했습니다. 살라리아 가도에 있는 프리스킬라(Priscilla) 카타콤바에 그의 시신이 묻혔고, 그곳은 곧 순례지가 되어 중세에 큰 공경을 받게 됩니다. 11세기 중엽 그의 유해가 로마에서 시에나(Siena)로 이장되었고, 다른 유물들은 1606년에 토르토사(Tortosa)로 옮겨 모셨습니다.
성 크레센시오는 그 뒤로 시에나의 네 명의 수호성인 중 한 명으로서 큰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14세기 초 시에나 출신 화가인 두초 디 부오닌세냐(Duccio di Buoninsegna)가 시에나 주교좌성당에 설치할 마에스타(Maesta)를 제작하였는데 성모자를 중심으로 좌우에 수많은 성인이 자리하고 있으며 시에나의 네 명의 수호성인이 가장 앞줄에 무릎 꿇은 자세로 성모자를 경배하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는데 왼쪽부터 성 안사노(Ansanus, 12월 1일) 순교자, 성 사비노(Sabinus, 12월 7일) 주교 순교자, 성 크레센시오 순교자, 성 빅토르(Victor, 5월 14일) 순교자 순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옛 “로마 순교록”은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박해 중에 로마의 살라리아 가도에서 성 에우티미오의 어린 아들인 성 크레센시오가 순교했다고 9월 14일 목록에서 전해 주었으나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그에 대해서 더는 기록하지 않았습니다.
4. 12월 12일 성인 크레센시오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287년
성 크레센시오는 성 막센티우스(Maxentius), 성 유스티누스(Justinus), 성 콘스탄티누스(Constantinus)와 함께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박해 중에 독일의 트리어(Trier)에서 순교하였으며 콘스탄티우스(Constantius)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5. 12월 29일 성인 크레센시오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아프리카(Africa)
활동연도 : +연대미상
옛 “로마 순교록”은 성 도미니코(Dominicus), 성 리보소(Lybosus), 성 빅토르(Victor), 성 사투르니노(Saturninus), 성 세쿤도(Secundus), 성 프리미아노(Primianus), 성 호노라토(Honoratus)와 성 크레센시오가 아프리카에서 순교하였다고 12월 29일 목록에서 전해주었으나 그들이 순교했다는 사실 외에 더 알려진 바는 없습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오늘날 북아프리카 튀니지의 수도인 튀니스(Tunis)에서 서쪽으로 105km 떨어진 베자(Beja)의 주교이자 순교자인 성 리보소에 대해서만 같은 날 목록에서 언급하였으며 그 외의 다른 순교자들의 이름은 기록하지 않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