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야기/세례명 이야기

율리아(Julia) 축일 1.(1-8) - 2월 15일, 4월 16일, 5월 22일, 7월 15일, 7월 21일, 7월 27일, 10월 1일, 10월 7일

 

 

율리아(Julia)

같은이름 : 줄리아, 쥴리아

 

1. 2월 15일 복녀 율리아

신분 : 동정녀

활동지역 : 체르탈도(Certaldo)

활동연도 : +1367년경

 

율리아는 이탈리아의 체르탈도에서 가난한 귀족의 딸로 태어나 피렌체의 티놀피(Tinolfi) 가문의 하녀로 생활하였습니다. 그러던 중 성 아우구스티누스 재속 3회에 19세의 나이로 입회하여 수덕생활에 입문하였으며 성 미카엘과 성 야고보 성당의 성물 보관소 곁에서 은수자로 살았습니다. 카스텔피오렌티노의 성녀 베르디아나(Verdiana)를 본받기를 소원하였던 그녀는 48세의 일기로 선종하였으며 1819년 교황 비오 7세(Pius VII)에 의해 그녀에 대한 공경이 승인되었습니다.

 

2. 4월 16일 성녀 율리아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사라고사(Zaragoza)

활동연도 : +304년

 

성 루페르쿠스(Lupercus), 성 마르티알리스(Martialis), 성 수케수스(Successus), 성 아포데미우스(Apodemius), 성 에벤티우스(Eventius), 성 옵타투스(Optatus), 성 우르바누스(Urbanus), 성녀 율리아, 성 카이킬리아누스(Caecilianus), 성 퀸틸리아누스(Quintilianus), 성 펠릭스(Felix), 성 프론토(Fronto), 성 프리미티부스(Primitivus), 성 푸블리우스(Publius)와 4명의 사투르니누스(Saturninus). 총 18명의 그리스도인이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와 지방장관 다키아누스가 다스리던 304년 순교하였습니다. 이들의 순교를 사라고사에 잠시 살던 성 프루덴티우스(Prudentius, 4월 6일)가 에스파냐의 사라고사에서 기록하였습니다. 그들의 유해는 사라고사에서 389년에 발견되었습니다.

 

3. 5월 22일 성녀 율리아

5월22일-성녀율리아
성녀 율리아(5월 22일)

신분 : 동정 순교자

활동지역 : 코르시카(Corsica)

활동연도 : +5세기경

 

전설에 의하면 성녀 율리아는 카르타고(Carthago)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시리아 상인인 에우세비우스에게 노예로 팔립니다. 그녀의 주인은 그녀를 프랑스 지방으로 데리고 가다가 코르시카 섬 북쪽의 케이프 코르소(Cape Corso)에서 하선하였는데 이때는 마침 이교도의 축제 기간 중이어서 그 섬의 통치자였던 펠릭스는 그녀와 그녀의 주인에게 희생제물을 바치면 그녀에게 자유를 주겠다며 신전에 희생제물을 바치도록 권하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거부하자 펠릭스는 그녀를 그리스도인이라는 죄목으로 심한 고문을 하고 십자가형에 처하였습니다. 그녀는 코르시카의 수호성인이며 일부 학자들은 성녀 율리아가 한 세기 또는 두 세기 후에 살았던 인물로 사라센족의 침입 때 살해된 것으로 믿고 있습니다.

 

4. 7월 15일 성녀 율리아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카르타고(Carthago)

활동연도 : +연대미상

 

성 야누아리우스(Januarius), 성 카툴리누스(Catulinus) 부제, 성 플로렌티우스(Florentius), 성녀 유스타(Justa), 성녀 율리아는 카르타고에서 순교하였으며 카르타고에 있는 파우스타(Fausta) 성당에 그들의 유해가 안치되었습니다. 성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는 성 카툴리누스 부제를 칭송하는 강론을 하였는데 이는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으니 그 외에는 그들에 대해 알려진 바는 없습니다.

 

5. 7월 21일 성녀 율리아

신분 : 동정 순교자

활동지역 : 트루아(Troyes)

활동연도 : +273년

 

프랑스의 트루아에서 태어난 성녀 율리아는 아우렐리아누스 황제의 군인들이 테트리쿠스와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체포되었고 황제군의 장교였던 성 클라우디우스(Claudius) 소유의 노예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를 성녀 율리아가 개종시켰고 함꼐 순교의 월계관을 쓰게 되는데 이때 성 유스투스(Justus)와 성 유쿤디누스(Jucundinus), 그리고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네 명의 순교자와 함께 순교합니다. 이들의 유해는 모(Meaux) 지방 근처 주아르(Jouarre)의 성 베네딕토 수도원에 모셔져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6. 7월 27일 성녀 율리아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니코메디아(Nicomedia)

활동연도 : +연대미상

 

로마 순교록은 성녀 유쿤다(Jucunda), 성녀 율리아, 성 펠릭스(Felix)를 이탈리아 남부 놀라(Nola)의 순교자라고 잘못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성 펠릭스를 위해 놀라에 세워진 성당 축성 기념일을 참조래서 인 듯하며 좀 더 오래된 자료에는 그들이 소아시아 지방 니코메디아에서 순교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7. 10월 1일 성녀 율리아

 

8.10월 7일 성녀 율리아

신분 : 동정 순교자

활동연도 : +300년

 

성녀 율리아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박해 중에 순교하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