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야기/세례명 이야기

윌리엄(William) 축일 1. (1-6) _ 3월 20일, 3월 24일, 5월 10일, 5월 23일, 6월 8일, 2월 17일

 

윌리엄(William)

 

윌리엄은 빌리암과 같은 스펠링으로 같은 이름이기는 한데

빌리암으로 주로 불리는 경우와 윌리엄으로 주로 불리는 경우가 있어서 나눠서 정리했습니다.

빌리암과 같은 이름이에요 

 

빌리암(William) 축일 1. (1-4) _ 1월 1일, 1월 10일, 4월 6일, 4월 7일)

 

빌리암(William) 축일 2. (5-10) _ 4월 16일, 5월 18일, 5월 28일, 6월 25일, 7월 4일, 7월 29일

 

빌리암(William) 축일 3. (11-16) _ 8월 31일, 12월 19일, 2월 7일, 5월 29일, 3월 27일, 4월 24일

 

1. 3월 20일 성인 윌리엄 

신분 : 은수자 

활동지역 : 페냐코라다(Penacorada)

활동연도 : +1042년

같은이름 : 굴리엘모, 빌리암, 빌헬름, 윌리암

 

성 윌리엄은 에스파냐 북부 레온(Leon)의 사아군(Sahagun)에 있는 수도원의 수도승으로 988년 사라센인들이 수도원을 공격해 올 때 동료들과 함께 그곳을 탈출하여 페냐코라다에 정착하여 은수생활을 시작합니다.

그곳에서 성 윌리엄은 동료들과 함께 산타 마리아 데 로스 발레스(Santa Maria de los Valles) 수도원을 세웠는데, 후에 페냐코라다의 산 귈레르모(San Guillermo) 수도원으로 이름이 바뀝니다.

 

2. 3월 24일 성인 윌리엄 

신분 : 소년, 순교자 

활동지역 : 노리치(Norich)

활동연도 : +1144년

같은이름 : 굴리엘모, 빌리암, 빌헬름, 윌리암 

 

성 윌리엄은 12세 때 영국 노리치의 어느 구두수선공의 도제로 들어가는 데 두 사람의 유대인에게 납치되어 그들의 예식에서 십자가형을 받고 죽었습니다.

그는 그리스도인을 증오하던 유대인들에 의하여 순교하여 당대의 그리스도인들에게 깊은 감명을 심어주었다고 합니다.

 

3. 5월 10일 성인 윌리엄 

신분 : 은수자 

활동지역 : 퐁투아즈(Pontoise)

활동연도 : +1192년

같은이름 : 굴리엘모, 빌리암, 빌헬름, 윌리암 

 

영국 출신의 은수자인 성 윌리엄은 프랑스 퐁투아즈에 살면서 은수생활을 하였고, 그의 은수처는 그 지방에서 유명한 곳이 됩니다. 

확실하진 않으나 성 윌리엄은 마르티누스(Martinus) 수도원에서 베네딕토회 수도승이 된 듯하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4. 5월 23일 성인 윌리엄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로체스터(Rochester)

활동연도 : +1201년

같은이름 : 굴리엘모, 빌리암, 빌헬름, 윌리암 

 

성 윌리엄은 스코틀랜드 퍼스(Perth) 태생으로 젊은 시절 회개의 체험을 한 후 가난한 사람들과 고아들을 돌보는데 자신을 헌신하였습니다.

한 번은 누군가 성당 앞에 두고 간 한 갓난아기를 자신의 양자로 받아들여 키웠으며 1201년 그는 캔터베리(Canterbury) 또는 예루살렘 성지를 순례하고자 계획하고 자신의 양자를 동행하였는데 로체스터 인근에 도착했을 때 그 양자는 지름길로 인도한다며 그를 이끈 후 얼마 되지 않는 그의 재물을 훔치고자 그를 살해합니다.

성 윌리엄의 유해는 한 미친 여자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이때 그녀의 정신이 돌아오는 기적이 일어났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다른 기적들로 인해 그는 사람들로부터 순교자로 불리게 되었고, 마침내 그의 유해가 로체스터 주교좌 대성당에 모셔지게 됩니다.

그에 대한 공경은 1256년 교황 알렉산데르 4세(Alexander IV)에 의해 승인되었고, 지금도 로체스터 대성당에는 그의 경당이 있습니다.

 

 

5. 6월 8일 성인 윌리엄 

6월8일-성인-윌리엄
성 윌리엄 (6월 8일)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요크(York)

활동연도 : +1154년

같은이름 : 굴리엘모, 빌리암, 빌헬름, 윌리암

 

트웨이트의 윌리엄(William of Thwayt) 또는 윌리엄 피처버트(Fitzherbert) 등으로 알려진 성 윌리엄은 헨리 1세의 재무상 허버트(Herbert) 백작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140년에 요크의 대주교로 임명되었으나 시토 회원과 아우구스티누스 회원들이 그의 임명에 도전하고 나섭니다.

이 사건 때문에 그는 오랫동안 주교좌에 오르지 못하였으나 교황 아나스타시우스 4세(Anastasius IV)에 의하여 겨우 승인을 받고, 1154년에 요크로 부임하지만 한 달 뒤에 독살되고 맙니다.

1227년에 교황 호노리우스 3세(Honorius III)에 의하여 시성되었습니다.

 

6. 2월 17일 복자 윌리엄 리처드슨(William Richardson)

신분 : 신부, 순교자 

활동지역 : 영국 (UK)

활동연도 : 1572?-1603년

같은이름 : 굴리엘모, 리차드슨, 빌리암, 빌헬름, 앤더슨, 윌리암 

 

윌리엄 리처드슨은 1572년경 잉글랜드 요크셔의 역사적 지역인 웨스트 라이딩(West Riding of Yorkshire)에 있는 한 웨일스 마을에서 태어나 성장하였는데 이곳은 랭커셔(Lancashire)에 살던 그의 아버지가 일자리를 찾아 이주해온 곳으로, 오늘날 사우스 요크셔(South Yorkshire)의 셰필드(Sheffield) 부근입니다.

그는 사제가 되기 위해 에스파냐의 바야돌리드(Valladolid)와 세비야(Sevilla)의 신학교에서 수학하고 1594년경에 사제품을 받았으며 그 후 그는 선교사로서 잉글랜드로 돌아왔고, 당시의 많은 사제들이 그랬듯이 감시를 피하고자 윌리엄 앤더슨(William Anderson)이라는 가명을 사용합니다.

주로 런던(London)의 그레이즈 인(Gray’s Inn)에서 법률 전문가와 함께 일하며, 가톨릭 신앙 때문에 감옥에 갇힌 이들을 일반인 신분으로 방문해 그들을 위해 미사를 봉헌하고 성사를 집전하는 사목에 전념하였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믿었던 사람의 배신으로 1603년 2월에 체포되어 감옥에 갇히게 됩니다. 체포된 후 일주일 정도 만에 재판과 유죄 판결을 받은 그는 2월 17일 또는 27일에 런던의 타이번(Tyburn)으로 끌려가 교수형과 극형을 받고 순교하였습니다.

엘리자베스 1세(Elizabeth I) 여왕의 통치 기간에 순교한 마지막 인물로 여왕은 그가 순교하고 한 달 정도 지난 3월 24일 사망하였습니다.

 

그는 1929년 12월 15일 교황 비오 11세(Pius XI)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고, 순교일로 추정되는 2월 17일 또는 27일에 축일을 기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00년에 잉글랜드와 웨일스 교회의 새 전례력이 교황청에서 승인된 후에는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40위 순교자’(The Forty Martyrs of England and Wales)와 종교 개혁 시대에 순교한 모든 복자 · 성인들이 ‘영국의 순교자’(The English Martyrs)라는 이름으로 5월 4일 전례 안에서 기념하게 되어 성 윌리엄 리처드슨 또한 같은 날 함께 축일을 기념하게 되었는데 이날은 종교 개혁 시대 영국에서 순교한 영국 성공회의 순교자와 성인들의 기념일과 같은 날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