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야기/세례명 이야기

바울리노(Paulinus), 파울리노 축일 2.(7-11) - 7월 12일, 8월 31일, 10월 10일, 11월 23일

 

파울리노(Paulinus)

같은이름 : 바울리누스, 빠울리노, 빠울리누스, 파울리노, 파울리누스

 

 

7. 7월 12일 성인 바울리노

신분 : 베드로의 제자,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 안티오키아(Antiochia)

활동연도 : +67년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Toscana) 지방 루카(Lucca)의 초대 주교인 성 바울리노에 대한 전설에 의하면 안티오키아에서 태어난 그는 베드로(Petrus)에 의해 루카로 파견되었으며 그곳에서 그의 사제와 부제, 군인 신자들과 함께 67년에 순교했다고 전해집니다. 그는 루카의 초대주교이자 수호성인으로서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8. 8월 31일 성인 바울리노

신분 : 주교, 증거자

활동지역 : 트리어(Trier)

활동연도 : +358년

 

성 바울리노를 알렉산드리아의 성 아타나시우스(Athanasius, 5월 2일)는 ‘참으로 사도적인 사람’이라고 하였으며 성 히에로니무스(Hieronymus, 9월 30일)는 ‘신앙을 위하여 고통을 즐겨 받은 사람’이라고 그를 격찬하였습니다. 프랑스 남서부 아키텐(Aquitaine)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성 바울리노는 300년경 푸아티에(Poitiers) 주교좌성당 신학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트리어의 성 막시미누스(Maximinus, 5월 29일)의 제자가 됩니다. 그리고 스승을 계승하여 347년경 트리어의 제6대 주교가 되었습니다.

 

성 아타나시우스가 아리우스주의를 지지하던 335년, 성 바울리노는 멜레티우스(Meletius) 이단과 맞서다가 독일 남서부 트리어(Trier)로 1차 유배를 오게 된 성 아타나시우스의 최고 지지자가 되었고 이로 인해 트리어의 주교가 된 후에도 아리우스파의 공격 대상이 되었습니다. 350년 동로마 황제이며 아리우스주의자인 콘스탄티우스 2세가 동로마와 서로마의 유일한 황제가 되고 이후 아를(Arles)과 밀라노(Milano)에서 355년에 교회회의가 개최되었는데 황제는 이때 성 아타나시우스를 단죄하는 초안에 주교들의 서명을 강요하였으며 이에 응하지 않는 주교는 추방하겠다는 칙서를 발표하였고 성 바울리노는 결국 베르첼리(Vercelli)의 성 에우세비우스(Eusebius, 8월 2일), 밀라노(Milano)의 성 디오니시우스(Dionysius, 5월 25일), 칼리아리(Cagliari)의 루치페르(Lucifer)와 함께 유배형을 선고받고 추방되었습니다.

 

성 바울리노는 프리지아(Phrygia, 고대 소아시아 중서부 지역)로 추방되고 그곳에서 5년 만에 그곳에서 숨을 거두었으며 395년 그의 유해를 트리어로 모셔왔고 그에게 봉헌된 성 바울리노 성당 묘지에 안치되었습니다. 성 바울리노는 가톨릭교회와 동방교회 모두에서 성인으로 공경받고 있으며 그의 죽음에 대해 “로마 순교록”은 “그리스도교 땅에서 멀리 떨어진 유배지 프리지아에서, 그는 주님에게 복된 순교의 월계관을 받고 운명하였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성 바울리노는 신앙의 증거자이자 순교자로서도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9. 10월 10일 성인 바울리노 1

10월10일이-축일인-성-바울리노
성 바울리노(10월 10일)

신분 : 주교, 선교사

활동지역 : 요크(York)

활동연도 : +644년

 

성 바울리노는 교황 성 대 그레고리우스 1세(Gregorius I, 9월 3일)가 파견한 잉글랜드(England) 선교사의 일원으로 주로 켄트(Kent)에서 활동하다가 625년에 주교가 되었습니다. 성 바울리노는 켄트의 성 에텔베르트(Ethelbert, 2월 26일) 왕의 딸이었던 성녀 에텔부르가(Ethelburga, 4월 5일)를 수행하여 노섬브리아(Northumbria)로 가게 되었고 2년 뒤의 부활절에는 성 에드윈(Edwin, 10월 12일)을 요크 주교좌에서 개종시킴으로써 노섬브리아에 그리스도교를 전하게 됩니다. 그와 그의 동료들은 수천 명을 개종시켰으며 왕의 뒤를 이어 개종한 이들로 연일 줄을 이었다고 전해집니다. 그러나 이방인 머시아(Mercia) 사람들에게 국왕 성 에드윈이 살해되자 다시 노섬브리아는 이교로 떨어졌다고 합니다. 성 바울리노는 그 후 로체스터(Rochester)의 주교로 봉직하다가 선종하였습니다.

 

10. 10월 10일 성인 바울리노 2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요크(York)

활동연도 : +843년

 

영국에서 태어난 성 바울리노는 전승에 의하면 예루살렘(Jerusalem) 순례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이탈리아의 카푸아에 잠시 머물렀는데 그곳에서 그 지방 사람들에게 거의 강제적으로 주교로 선출되었습니다. 성 바울리노가 주교직에 있던 때는 사라센족의 침략으로 인해 매우 어려운 시기였는데 사라센에 의해 카푸아가 점령되자 그 도시를 빠져나간 그는 시코폴리스(Sicopolis)에서 사망합니다.

 

11. 11월 23일 성인 바울리노

신분 : 수도원장

활동지역 : 웨일스(Wales)

활동연도 : +505년경

 

웨일스의 수도원장인 성 바울리노는 성 일투드(Illtud, 11월 6일)의 제자이며 휘틀랜드(Whitland) 수도원의 설립자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휘틀랜드 수도원에서 그가 교육한 제자들 중에는 성 다윗(David, 3월 1일)과 성 테일로(Teilo, 2월 9일)가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