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첼리노(Marcellinus)
같은이름 : 마르셀리노, 마르셀리누스, 마르첼리누스
1. 1월 2일 성인 마르첼리노
신분 : 소년, 순교자
활동연도 : +320년
성 나르키수스(Narcissus)와 성 아르게우스(Argeus)는 리키니우스 황제의 군인으로 형제간인데 그들은 흑해 연안 폰투스(Pontus)의 토미(Tomi)에서 참수되어 순교하였습니다. 로마 순교록에 의하면 성 마르첼리노는 군복무 이행을 거부한 소년으로 잔인하게 매를 맞고 오랫동안 감옥에 투옥되었다가 바다에 던져져 순교하였다고 전해집니다.
2. 1월 9일 성인 마르첼리노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안코나(Ancona)
활동연도 : +566년
성 마르첼리노는 이탈리아의 안코나에서 태어났으며 550년경 안코나의 주교가 되었는데 교황 성 대 그레고리우스 1세(Gregorius, 9월 3일)가 그에 대해서 언급하였습니다.
3. 4월 6일 성 마르첼리노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카르타고(Carthago)
활동연도 : +413년
성 마르첼리노는 에스파냐의 톨레도(Toledo)에서 태어났으며 교양이 있고 관대하였고 신학에 관심이 많았으며 서로마 제국 황제 호노리우스의 국무장관이었습니다. 황제는 409년에 북아프리카 교회의 한 이단 종파인 도나투스파(Donatism)에게 공적인 예배를 허용하는 자유를 주자 북아프리카의 도나투스파들이 이 허가를 악용하여 황제의 결정에 반대하던 정통교회를 압박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때 성 마르첼리노는 카르타고에 파견되어 도나투스파 주교들과 가톨릭교회의 회의를 주재하고 재판하는 임무를 부여받게 됩니다. 일련의 조사를 마친 그는 도나투스파에게 유죄를 선고하고 정통교회로 돌아올 것을 판결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결정에 반대하던 이들에 의해 체포되고 감옥에 갇히게 되는데 평소 그의 가까운 친구였던 히포(Hippo)의 성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8월 28일) 주교가 그를 방문해 구출하려고 노력하지만 수포로 돌아가게 됩니다. 도나투스파와 그 지지자들을 대적하기 위해 황제가 군대를 보내지만 그 군대가 도착하기 전에 그는 형제와 함께 참수되었는데 후일 황제는 그를 ‘가장 훌륭한 기억을 안겨준 위인’이었다며 애통해하였으며 가톨릭교회는 그를 순교자로 선언하였습니다. 평소 그와 가까운 사이였던 성 히에로니무스(Hieronymus, 9월 30일)와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그의 장례식에 추도사를 썼고 413년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성 마르첼리누스에게 그의 저서 “신국론”(De ciavitate Dei)의 첫 권을 헌정하였습니다. 그의 축일은 9월 13일에 기념하기도 합니다.
4. 4월 20일 성인 마르첼리노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앙브렁(Embrun)
활동연도 : +374년
성 마르첼리노는 아프리카 출신의 사제로 프랑스 앙브렁의 초대 주교였습니다. 성 빈첸시오(Vincentius)와 성 돔니누스(Domninus)를 대동하였고 유럽으로 건너와 후일 도피네(Dauphine)로 알려진 미지의 땅에서 선교활동을 한 그는 본부를 앙브렁에 두고 수많은 이방인들을 개종시켰으며 세례를 베풀 때에는 이상하게도 치유의 기적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아리우스(Arius) 이단들의 끊임없는 박해가 이어져 평탄하게 활동하지는 못하였는데 결국에는 교구를 탈출하여 오베르뉴(Auvergne) 산속에 숨어서 여생을 지냈다고 전해집니다.
5. 4월 26이 성인 마르첼리노
신분 : 교황, 순교자
활동연도 : +304년
296년에 교황 성 카이우스(Caius, 4월 22일)를 계승해 로마(Roma)의 주교인 교황좌에 오른 성 마르첼리노의 생애나 재임 기간 등에 관한 정확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연대 교황표”(Liber Pontificalis)에 따르면, 성 마르첼리노는 프로젝투스(Projectus)의 아들로 로마인이며 순교하지는 않았다고 전해지며 303년 로마에서 시작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를 받지 않고 선종하였으며 사제 마르첼루스(Marcellus)에 의해 로마의 비아 살라리아(Via Salaria)에 있는 성녀 프리스킬라(Priscilla) 카타콤바에 묻혔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로부터 100년 정도 후인 4세기 초 도나투스파(Donatismus) 이단 신봉자들에 의해 그가 박해 시기에 일시적으로 배교를 했고, 박해자에게 성경을 넘겼다는 악의적 주장이 퍼뜨려졌습니다.
하지만 히포(Hippo)의 주교인 성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8월 28일)에 의해 이것이 잘못된 중상모략임이 강력하게 피력되었고 교회사가인 에우세비우스(Eusebius) 역시 ‘박해를 극복한 교황’이라고 그를 설명하였으며 키프로스의 주교인 테오도레트(Theodoret)도 그가 박해 중에 매우 훌륭한 역할을 했다고 증언하였고 오늘날의 많은 학자들 역시 그의 배교 주장을 근거 없는 거짓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로마 순교록”(Martyrologium Romanum)의 4월 26일 목록은 또 다른 전승을 전해주는데 교황 성 마르첼리노가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으로 인해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막시미아누스 황제의 박해 때 참수형을 선고받았고 성 클라우디우스(Claudius), 성 키리누스(Cyrinus), 성 안토니누스(Antoninus)와 함께 순교했다는 것인데 연대 교황표에 따르면, 4월 1일 그는 순교하였고 그 후 25일이 지난 4월 26일 비아 살라리아에 있는 성녀 프리스킬라 카타콤바에 안장되었다고 합니다. 또 이와는 달리 “리베리오 교황표”(Catalogus Liberianus)는 10월 25일을 순교일로 기록하고 있어 10월 25일에 성 마르첼리노의 두 번째 축일을 기념하기도 합니다.
6. 6월 2일 성인 마르첼리노
신분 : 신부, 순교자
활동연도 : +303년경
히에로니무스의 “순교록”에 따르면 성 마르첼리노는 로마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박해 때에 활동하던 뛰어난 사제였으며 성 베드로(Petrus)는 구마자(驅魔者)였는데 그들은 새로운 개종자를 얻어 그들의 신앙을 돈독히 하는데 온갖 정열을 쏟았습니다. 그러나 개종자 중 어느 간수의 아내와 딸로 인해 체포되어 모진 고문을 받고 가시덤불과 찔레가 무성한 실바 니그라(Sylva Nigra, ‘검은 숲’이란 뜻)로 끌려가 자신들의 무덤을 직접 파고 참수되었습니다. 순교자의 유해를 아무도 찾지 못하도록 사람들이 들어오기 힘든 숲에서 처형하고 묻은 것이었으나 신심이 깊은 부인인 루칠라(Lucilla)와 피르미나(Firmina)가 순교자의 시신을 수습하라는 말씀을 꿈에서 듣고 기적적으로 그들의 유해를 발견하였고 몰래 로마의 라비카나 가도(Via Lavicana)에 있는 앗 두아스 라우로스(Ad Duas Lauros, ‘두 월계수’라는 뜻) 지하 묘지의 성 티부르티우스(Tiburtius) 무덤 근처에 안장하였으며 나중에 그들이 묻힌 지하 묘소 위에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성당을 세웠습니다.
히에로니무스의 “순교록”(Martyrologium Hieronymianum)에서 교황 성 다마수스 1세(Damasus I, 366∼384년 재위)는 그들의 순교에 대한 기록을 발견하고 그들을 위한 비문을 작성하고 묘비를 세웠고 이 비문의 내용은 그들의 무덤을 복원하고 미사 경본에 그들의 이름을 넣은 교황 비길리우스(Vigilius, 537~555년 재위)가 작성한 “순교록”(Passio)의 자료로 쓰인 듯합니다. 그들에 대해 전해지는 내용은 거의 없지만, 그들의 무덤은 7세기부터 순례지가 되었고, 로마 미사 경본 성찬기도 제1 양식에서 지금도 그들의 이름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묻힌 지하 묘소에서 19세기말에 그들이 포함된 프레스코화가 발견되었는데, 사도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Paulus) 사이의 그리스도 아래의 어린양 옆에서 어린양을 가리키는 모습으로 표현되었습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르티니아노(Martinian) 축일 - 1월 2일, 2월 13일, 7월 2일, 7월 27일, 10월 16일 (0) | 2023.02.06 |
---|---|
마르첼리노(Marcellinus) 축일 2.(7-11)_ 6월 5일, 7월 14일, 8월 27일, 6월 6일, 5월 29일 (0) | 2023.01.28 |
나르치소(Narcissus) 축일 _ 1월 2일, 3월 18일, 9월 17일, 10월 29일, 10월 31일 (0) | 2023.01.26 |
베드로(Peter) 축일 25.(104-106) _ 9월 20일(국내 성인) (0) | 2023.01.06 |
베드로(Peter) 축일 24.(101-103) _ 9월 20일(국내 성인) (0) | 2023.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