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온시오(Leontius)
같은이름 : 레온티오, 레온티우스, 레온시우스, 레온씨오, 레온씨우스
1. 1월 13일 성인 레온시오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카이사레아(Caesarea)
활동연도 : +337년
성 레온시오는 카파도키아(Cappadocia) 지방 카이사레아의 주교로 325년에 열린 니케아(Nicaea) 공의회의 교부들 중 한 명이었습니다. 특별히 성 아타나시우스(Athanasius, 5월 2일)에게 칭찬을 받았던 그는 그리스인들에 의해 평화의 천사로 불리고 있습니다.
2. 3월 19일 성인 레온시오 1
신분 : 주교, 순교자
활동연도 : +연대미상
성 레온시오 주교와 성 아폴로니우스(Apollonius)에 대해서는 그들의 주교좌나 순교 연대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지만 이미 성 히에로니무스(Hieronymus)의 순교록에서 그들의 이름이 발견됩니다. 이 두 주교를 포르투갈 사람들은 자기 나라의 브라가(Braga) 교구의 주교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3. 3월 19일 성인 레온시오 2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생트(Saintes)
활동연도 : +640년
성 레온시오는 프랑스 서부 생트의 주교이며 성 말로(Malo, 11월 15일)의 친구입니다. 성 말로가 브르타뉴(Bretagne)에서 추방되었을 때 그는 성 말로를 자신의 교구로 받아들였습니다.
4. 4월 24일 성인 레온시오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연대미상
성 레온시오와 성 네온(Neon), 성 론지누스(Longinus), 성 에우세비우스(Eusebius)는 그리스의 축일표에 의하면 성 게오르기우스(Georgius, 4월 23일)의 순교 당시 이를 목격한 구경꾼이었지만 후에 그리스도인이 되어 순교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성인들의 전설은 성 게오르기우스의 순교와 연결시키려는 부자연스러운 의도가 강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5. 6월 18일 성인 레온시오
신분 : 군인, 순교자
활동지역 : 트리폴리(Tripoli)
활동연도 : +135년경
페니키아(Phoenicia, 시리아와 레바논 해안지대의 고대 지명) 지방 트리폴리의 성 레온시오는 시리아에 주둔 로마군의 장교로 그리스인이었습니다. 종교적인 인물이었던 그는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때에 비그리스도교로 개종하지 않아 고문을 받고 죽을 때까지 매를 맞았는데 그를 체포했던 두 명의 군인인 성 테오둘루스(Theodulus)와 성 히파티우스(Hypatius) 역시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후 순교하게 됩니다. 그의 시신은 요안나(Joanna)라는 이름의 한 여인의 집 뜰에 묻혔으며 그를 기념하여 그녀의 남편은 성당을 지었습니다. 그곳에서 많은 기적이 일어나게 되는데 다른 많은 성당들이 이후 성 레온시오를 기념하여 봉헌되었습니다. 성 레온시오는 이전까지 시리아의 수호성인이었습니다.
6. 7월 10일 성인 레온시오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니코폴리스(Nicopolis)
활동연도 : +4세기
일찍부터 고대 아르메니아의 니코폴리스(오늘날 튀르키예 북동부의 코율히사르[Koyulhisar]에 있었던 고대 도시)에는 그리스도교가 전해졌고 많은 신자가 있었습니다. 오랜 박해 시대를 끝낸 313년에는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밀라노(Milano) 관용 칙령 반포로 신앙의 자유를 얻게 되는데 나중에 공동 황제로 제국의 동부를 통치하던 리키니우스 황제(308~324년 재위)는 이를 무시하고 그리스도교를 박해하기 시작합니다. 니코폴리스의 몇몇 신자들이 319년 체포되었는데 이때 성 레온시오를 비롯한 많은 신자들이 그리스도교 신앙을 스스로 고백하고 순교의 길로 나섰습니다. 아르메니아의 총독인 리시아스(Lysias) 치하에서 온갖 고문을 받은 후 순교의 월계관을 쓰게 된 그들은 모두 45명에 달했으며 다양하고 잔인한 방법으로 고문당하고 산 채로 불태워 리코스강(Lykos R.)에 재와 뼈를 버렸다고 합니다. 어렵게 경건한 그리스도인들이 순교자들의 유물을 수습하였고 나중에 신앙의 자유를 얻은 뒤에는 그들을 기념하는 성당을 건립해 모셨습니다.
그리스도교 대박해의 마지막 순교자에 속하는 니코폴리스의 순교자들 45명의 이름을 모두 알 수는 없으나 옛 “로마 순교록”은 성 레온시오와 성 다니엘(Daniel), 성 마우리시오(Mauritius)와 동료들이 고문을 받고 불 속에 던져져 순교하였다고 7월 10일 목록에서 전해주었습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리키니우스 황제와 리시아스 총독 치하의 니코폴리스에서 온갖 고문을 받고 순교한 이들의 이름에 성 시시니오(Sisinius), 성 아니체토(Anicetus), 성 안토니오(Antonius)의 이름을 추가하여 같은 날 목록에서 기록하였습니다. 7월 10일에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교회 모두 아르메니아 니코폴리스의 45명의 순교자를 기념하고 있습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가우눔의 순교자들(마우리시오와 군인들) - 9월 22일 (0) | 2024.10.06 |
---|---|
레온시오(Leontius) 축일 2.(7-11) - 7월 11일, 8월 1일, 9월 12일, 9월 27일, 12월 1일 (0) | 2024.10.04 |
고스마(Cosmas), 다미아노(Damian) 축일 - 9월 26일, 레온시오(Leontius), 안티모(Anthimus), 에우프레피오(Euprepius) 축일 - 9월 27일 (0) | 2024.09.30 |
아벨(Abel) 축일 - 1월 2일 (0) | 2024.09.28 |
12명의 순교자 축일 - 9월 1일 (0) | 2024.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