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오도로(Theodore)
같은이름 : 데오도로, 데오도루스, 떼오도로, 떼오도루스, 테오도루스
6. 4월 15일 성인 테오도로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130년
하드리아누스 황제 때 성 테오도로와 성 파우실리푸스(Pausilippus)가 비잔티움(Byzantium, 콘스탄티노플의 옛 이름으로 지금의 이스탄불) 부근에서 순교하였습니다.
7. 4월 20일 성인 테오도로
신분 : 은수자
활동연도 : +330년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에서 태어난 성 테오도로는 은수자가 되었는데 '트리키나스'(Trichinas) 또는 '털보'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이는 그의 유일한 의복이 고행자가 걸치는 거친 모직 셔츠뿐이었기 때문입니다.
8. 4월 22일 성인 테오도로
신분 : 주교, 은수자
활동지역 : 아나스타시오폴리스(Anastasiopolis)
활동연도 +613년
소아시아 중앙 내륙 고지대인 갈라티아(Galatia, 오늘날의 터키)의 시케온(Sykeon)에서 고객들에게 매음 행위를 시키는 여인숙을 하던 집의 어느 여인의 아들로 태어난 성 테오도로는 이러한 환경에서 자랐음에도 불구하고 장성하여 이성을 갖춘 후에는 보다 나은 생활을 위하여 수도자가 되었습니다. 예루살렘을 순례하면서 큰 감명을 받은 그는 고향으로 돌아와서 수도원을 세웠으며 극구 사양하였으나 아나스타시오폴리스의 주교로 임명되었습니다. 그러나 10년 후에 자신의 모든 직책을 사임한 그는 죽을 때까지 시케온에서 은수생활을 계속하여 높은 덕을 쌓습니다. 그의 제자가 그의 전기를 썼는데 그에게는 병자를 치유하는 은사가 크게 돋보였다고 합니다.
9. 4월 27일 성인 테오도로
신분 : 수도원장
활동지역 : 타벤니시(Tabennisi)
활동연도 : +368년
성 파코미우스(Pachomius, 5월 9일)의 제자 가운데 가장 뛰어난 은수자였던 성 테오도로는 이집트 테베(Thebae, 나일 강 중류에 위치한 고대 이집트 신왕국시대의 수도로 오늘날의 룩소르 Luxor)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성 파코미우스의 명성에 끌려 21세와 22세 사이의 주님 공현 축일에 타벤니시로 가게 됩니다. 그에게 스승은 사제품을 주고 파보의 작은 수도원에 살게 하면서 타벤니시 수도원의 운영을 맡겼는데 스승인 성 파코미우스가 서거한 루 그는 베드로니우스(Petronius), 오르시에시우스(Orsiesius)가 원장직을 계승하였고 제4대 원장이 되었습니다. 성 아타나시우스(Athanasius, 5월 2일)와도 가까운 사이였던 그는 사막의 은수자들을 모으고 일치와 애덕을 강조하였습니다.
10. 5월 5일 성인 테오도로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볼로냐(Bologna)
활동연도 : +550년경
성 테오도로는 530년경부터 550년경까지 이탈리아 보노니아(Bononia, 오늘날의 볼로냐)의 주교였습니다.
11. 5월 20일 성인 테오도로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파비아(Pavia)
활동연도 : +778년
743년부터 778년까지 이탈리아 파비아의 주교였던 성 테오도로는 아리우스 이단에 속한 롬바르드족(Lombards) 왕에 의해 수차례의 추방을 당하는 등 극심한 고통을 겪었습니다.
12. 7월 4일 성인 테오도로
신분 :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 키레네(Cyrene)
활동연도 : +310년
성 테오도로는 북아프리카 리비아의 키레네 교구의 주교였으며 책을 필사하는 기술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성서 필사본을 넘기라는 요구를 거부하였으며 이 때문에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잔혹한 방법으로 순교하였습니다.
13. 7월 9일 성인 테오도로
신분 : 신부, 순교자
활동지역 : 고르쿰(Gorkum)
활동연도 : +1572년
1499~1502년경 네덜란드 중부 위트레흐트(Utrecht)의 아메르스포르트(Amersfoort)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난 성 테오도로는 부모의 뜻과는 달리 영적인 삶을 동경하였으며 작은 형제회에 입회하게 됩니다. 그는 고르쿰에 있는 성녀 아녜스(Agnes) 수도원에서 작은 형제회 제3회 자매들의 담당 사제로 활동하였는데 그러던 중 1572년 칼뱅파 군인들이 침략해 고르쿰까지 점령하고 수도원마저 점거되었을 때 체포되어 감옥에 갇히게 됩니다. 성 테오도로와 동료 수도자들은 회유와 고문에도 불구하고 가톨릭 교리와 전통을 지켰으며 결국은 덴 브리엘(Den Briel)로 모두 이송되어 교수형을 받고 순교하였습니다. 1675년 교황 클레멘스 10세(Clemens X)에 의해 시복되었으며 교황 비오 9세(Pius IX)에 의해 1867년 18명의 동료 순교자와 함께 ‘고르쿰의 순교자’로 성인품에 올랐습니다. 옛 “로마 순교록”과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 은 브리엘에서 교수형을 받고 순교한 19명의 순교자에 대해 7월 9일 목록에서 기록하였습니다. 그는 성 테오도로 반 데르 엠(Theodorus van der Eem)으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