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야기/세례명 이야기

테오도로(Theodore) 축일 3.(14-19) - 7월 29일, 9월 2일, 9월 4일, 9월 5일, 9월 15일, 9월 19일,

 

테오도로(Theodore)

같은이름 : 데오도로, 데오도루스, 떼오도로, 떼오도루스, 테오도루스

 

14. 7월 29일 성인 테오도로

신분 순교자

활동연도 +260년

 

성 테오도로와 성 안토니누스(Antoninus), 성 에우게니우스(Eugenius), 성녀 루칠라(Lucilla), 성녀 플로라(Flora)를 포함한 23명의 그리스도인들이 갈리에누스 황제 치하에서 순교하였습니다.

 

15. 9월 2일 성인 테오도로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니코메디아(Nicomedia)

활동연도 : +302년

 

옛 “로마 순교록”은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박해 중에 니코메디아에서 거룩한 순교자 성 제노(Zeno)가 그의 두 아들인 성 테오도로와 성 콘코르디오(Concordius)와 함께 순교하였다고 9월 2일 목록에서 전해주었습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오늘날 튀르키예에 속한 소아시아 북서부 비티니아(Bithynia) 지역의 니코메디아(오늘날의 이즈미트[Izmit])에서 성 제노 순교자를 기념한다고 같은 날 목록에서 전해주었으나 그의 아들들에 대해서 더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16. 9월 4일 성인 테오도로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310년

 

성 테오도로와 성 암미아누스(Ammianus), 성 오케아누스(Oceanus), 와 성 율리아누스(Julianus)는 동로마 제국 막시미아누스 황제의 통치 중에 화형대 위에서 화형을 당하여 순교하였습니다.

 

17. 9월 5일 성인 테오도로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370년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정하는 아리우스주의(Arianismus)에 빠져 정통 신앙을 부정하고 그리스도교를 박해하는 발렌스(Valens) 황제에게 성 테오도로와 성 우르바노(Urbanus), 성 메네데모(Menedemus)와 동료들은 대항하는 탄원서를 들고 니코메디아(Nicomedia, 오늘날 튀르키예에 속한 소아시아 북서부 비티니아 지역의 이즈미트[Izmit])로 갔는데 황제는 이에 분노하여 총독에게 비밀리에 그들을 모두 체포하라고 명령합니다. 이후 그들을 배에 태워 유배지로 보내는 것처럼 위장한 후 바다 한가운데에서 배에 불을 질러 모두 태워 죽였는데 이들은 80명에 가까운 성직자와 평신도들로 가톨릭 신앙을 지키다가 화형을 당한 것입니다. 옛 “로마 순교록”이나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 모두 그들이 배 위에서 화형으로 순교한 사실을 9월 5일 목록에서 전해주고 있습니다.

 

18. 9월 15일 성인 테오도로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310년

 

성 테오도로와 성 막시무스, 성 아스클레피오도투스(Asclepiodotus)는 오늘날의 불가리아에 있는 마르키아노폴리스(Marcianopolis)에서 태어났으며 불가리아의 고대 도시인 아드리아노폴리스(Adrianopolis)에서 고통을 당한 후 순교하였습니다.

 

 

19. 9월 19일 성인 테오도로

9월19일이-축일인-성인-테오도로
테오도로(9월 19일)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캔터베리(Canterbury)

활동연도 : 602-690년

 

오늘날 튀르키예의 중남부에 해당하는 소아시아 남동부 실리시아(Cilicia) 지방 타르수스(Tarsus)에서 태어난 성 테오도로는 안티오키아(Antiochia)에서 시리아 문화와 언어를 공부하였으며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로 가서 로마법 · 수사학 · 철학 등을 공부하고 라틴어를 익혀 교회에 봉사하였습니다. 660년 이전에 로마(Roma)로 와서 동방 수도승 공동체에 들어가 생활한 그는 664년에는 영국의 휘트비(Whitby) 시노드에서 앵글로색슨(Anglo-Saxon) 교회가 로마 전례를 따르기로 하고, 캔터베리 주교좌가 667년 공석이 되었을 때 주교 후보자가 갑자기 사망하자 성 하드리아노(Hadrianus, 1월 9일) 수도원장의 추천으로 캔터베리의 대주교로 임명되었습니다. 이듬해에 교황 성 비탈리아노(Vitalianus, 1월 27일)에게 주교품을 받은 그는 669년 성 하드리아노와 함께 영국으로 떠나 캔터베리 주교좌에 올랐습니다.

 

영국 교회의 현황을 파악하고 오랫동안 공석으로 있던 여러 교구를 방문한 그는 주교를 임명하고 규율을 바로잡는 등 개혁 작업에 힘썼으며 전례음악을 영국 교회에 도입하고, 동방의 성인들을 소개하였습니다. 또한 성경에 대한 해박한 지식으로도 유명했던 그는 캔터베리의 성 베드로(Petrus)와 바오로(Paulus) 수도원의 원장으로 함께 온 성 하드리아노를 임명하고, 학교를 설립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학문과 성경을 가르쳤습니다. 673년에 영국 최초의 전국적인 교회 회의를 소집하여 성 테오도로는 부활 대축일 날짜를 로마 전례와 일치시켰으며 부제 제도를 확립하였고 노섬브리아(Northumbria)의 대교구를 보다 작은 교구로 분할하는 정책을 추진하여 요크(York) 교구를 678년에 몇 개의 작은 교구로 나눴습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요크의 주교인 성 빌프리도(Wilfridus, 4월 24일)와의 원만한 합의를 이루지 못해 오랫동안 갈등을 겪기도 합니다. 679년에는 노섬브리아의 에그프리드 왕과 머시아(Mercia)의 에텔레드 왕 사이의 전쟁을 종식하는 평화 조정자로 활약하였으며 680년에는 해트필드(Hatfield)에서 회의를 개최하여 그리스도 단성설을 단죄하기도 하였습니다.

 

성 베다(Beda, 5월 25일)가 언급했듯이 전체 영국 교회를 관할할 수 있었던 초대 대주교였던 그는 20여 년 동안 교구를 위해 헌신하다가 690년 9월 19일 선종하여 오늘날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원으로 불리는 캔터베리의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수도원 성당에 묻혔습니다. 그는 영국 교회를 선교지역에서 교계제도를 갖춘 교회로 발전시킨 인물로 평가받고 있으며 옛 “로마 순교록”과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모두 교황 성 비탈리아노에 의해 주교직에 오르고 영국으로 파견된 성 테오도로의 성덕과 업적에 대해 9월 19일 목록에서 기록하였습니다. 캔터베리의 성 테오도로를 그의 출신지와 연결하여 ‘타르수스의 성 테오도로’라고도 부르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