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모테오 (Timothy)
같은이름 : 디모테오, 디모떼오, 디모태오, 디모태우스, 디모테우스, 디모떼우스, 티모테우스, 티모시
1. 1월 26일 성인 티모테오
신분 : 바오로의 제자,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 에페수스(Ephesus)
활동연도 : +97년경
티모테우스는 그리스어로 티마오(공경하다, 영광스럽게 하다)와 테오스(하느님)가 합쳐져 ‘하느님을 공경하는 또는 하느님을 영광스럽게 한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 티모테오는 사도행전 16,1-4절에 따르면 그리스인 아버지와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유다인 어머니 에우니케의 아들로 소아시아 지방 리카오니아(Lycaonia)의 리스트라(Lystra)에서 태어났으며 진실한 믿음을 지닌 젊은이로 성장하게 되고 사도 성 바오로(Paulus, 6월 29일)는 이러한 그의 믿음이 티모테오의 할머니인 로이스(Lois)와 어머니인 에우니케(Eunice)에게 깃들어 있던 것을 이어받은 것이라고 했습니다(2티모 1,5). 아마도 사도 성 바오로의 제1차 선교 여행 중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것으로 추정되며 리스트라와 이코니온에 있는 형제들에게 좋은 평탄을 받던 그에게 사도 성 바오로는 제2차 선교 여행 중에 리스트라에 당도하여 함께 동행하기를 원하였습니다. 그 고장 유다인들 안에서 말썽이 일어날까 봐 성 티모테오에게 할례를 베푼 사도 성 바오로는 그와 함께 여러 고을을 다니며 복음을 전하였습니다.
그는 사도 성 바오로의 서간 여러 곳에서 ‘우리의 형제이며 그리스도의 복음을 위한 하느님의 협력자’(1테살 3,2), ‘나의 협력자 티모테오’(로마 16,21), ‘내가 주님 안에서 사랑하는 나의 성실한 아들’(1코린 4,17)이라고 불릴 정도로 사도 성 바오로의 제자뿐만 아니라 그의 절친한 친구이며 협력자였고 아들 같은 존재였습니다. 사도 성 바오로가 그리스로 건너가 베로이아(Beroea)에서 선교할 때 성 티모테오 역시 함께 하였으며 성 바오로가 유다인들의 반대로 아테네로 먼저 간 후 베로이아에 머물다가 성 실라스(Silas, 7월 13일)와 함께 성 바오로의 지시를 받고 아테네로 찾아갔습니다(사도 17,10-15). 코린토에서 그는 성 바오로와 함께 선교 활동을 하였고(사도 18,5; 2 코린 1,19), 사도 성 바오로의 지시를 받아 코린토 공동체에 문제가 생겼을 때 그곳을 방문하여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지켜야 할 가르침을 상기시켜 주었습니다(1코린 4,17). 또한 사도 성 바오로의 지시로 성 에파프로디토스(Epaphroditus, 3월 22일)와 함께 필리피 공동체를 방문하였으며 (필리 2,19-22), 테살로니카 공동체의 힘을 북돋아 주고자 파견되었고(1테살 3,2), 에페소에서 복음을 전하고(사도 19,22) 사도 성 바오로가 감옥에 갇혀 수인이 되었을 때에도 그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습니다(필레 1장; 콜로 1,1). 그리고 에페소를 떠나 예루살렘으로 가는 사도 성 바오로의 마지막 여정에도 동행하였습니다(사도 20,4).
성 티모테오는 신약성경 안에서 이후 행적에 대한 언급을 찾을 수는 없지만 교회 전승을 통해 조금 알 수 있는데 다마스쿠스(Damascus)의 성 요한(Joannes, 12월 4일)은 그의 “설교집”에서 성 티모테오는 에페수스의 초대 주교였으며 성모 마리아의 죽음을 목격했다고 기록하였으며 교회 역사가인 에우세비우스(Eusebius)는 “교회사”에서 그가 97년 마르쿠스 네르바(Marcus Nerva) 황제 치하에 순교하였고 콘스탄티누스 대제(Constantinus I)가 356년 콘스탄티노플로 그의 유해를 옮겨갔다고 전하였습니다. 그는 디아나 여신이 우상에 불과하다고 디아나(Diana) 여신을 공경하는 에페수스의 이교 축제 중에 지적하다가 광분한 군중들에게 끌려가 매를 맞고 돌에 맞아 순교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2. 3월 24일 성인 티모테오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150년
성 마르코(Marcus)와 성 티모테오는 사도 후 시대 로마의 순교자들로 갈리아 지방 비엔(Vienne)의 주교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교황 성 비오 1세(Pius I)가 그들을 언급하였습니다.
3. 4월 5일 성인 티모테오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345년
성 디오게네스(Diogenes)와 성 티모테오는 마케도니아(Macedonia)에서 순교하였는데 아마도 아리우스파에 의해 희생된 것으로 보입니다.
4. 5월 3일 성인 티모테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미니코(Dominic) 축일 1.(1-3) - 1월 22일, 4월 26일, 5월 12일 (0) | 2023.06.18 |
---|---|
티모테오(Timothy) 축일 2.(5-12) - 5월 21일, 5월 22일, 6월 10일, 8월 19일, 8월 22일, 8월 26일, 9월 8일, 12월 19일 (0) | 2023.06.16 |
티모테오(Timothy), 마우라(Maura) 축일 - 5월 3일 (0) | 2023.06.12 |
클로틸다(Clotilde) 축일 - 6월 3일 (0) | 2023.06.10 |
젬마(Gemma) 축일 - 5월 12일, 4월 11일 (0) | 2023.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