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Thomas)
같은이름 : 도마, 토머스
4. 9월 22일 성인 토마스
신분 : 대주교
활동지역 : 빌라노바(Villanova)
활동연도 : 1488-1555년
빌라노바의 성 토마스는 알론조 토마스 가르시아와 루치아 마르티네스 카스텔라노스의 아들로 에스파냐 카스티야(Castilla)의 푸엔텔라나(Fuentellana)에서 태어나서 자랐고 알칼라(Alcala) 대학교에 1-0세 때에 입학하게 됩니다. 여기서 문학 석사와 신학교수 자격증을 받은 그는 그 대학의 교수로 불과 26세의 나이에 발탁되었습니다. 성 아우구스티노회에 1516년 입회한 그는 1518년에 사제 서품을 받은 후 여러 수도원의 원장을 역임하다가 안달루시아(Andalusia)와 카스티야의 관구장이 되었고 이때 그는 멕시코로 성 아우구스티노회 최초의 선교단을 파견하였습니다.
그 후 카를로스 5세의 전속사제로 임명된 그는 그라나다(Granada)의 주교직은 거부하였는데 그러던 중 발렌시아(Valencia)의 대주교로 1544년에 임명되었습니다. 90년간 주교좌가 공석이었던 이 교구에서 즉시 개혁에 착수한 그는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관심으로 일약 유명한 주교로 인정되었고 무어인들의 개종을 위해서도 정열을 쏟았습니다. 또한 개종자들의 어린이들을 사제들로 하여금 교육할 수 있도록 조처하였고 트렌토(Trento) 공의회에는 참석하지 못했지만 에스파냐 교회 내의 개혁 운동에는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빌라노바의 성 토마스는 교황 알렉산데르 7세(Alexander VII)에 의해 1658년 성인품에 올랐습니다.
5. 10월 2일 성인 토마스
신분 : 주교
활동지역: 헤리퍼드(Hereford)
활동연도 : 1218-1282년
성 토마스는 토마스 켄틀루프(Thomas Cantelupe)라고도 불리며 영국 잉글랜드(England)의 헤리퍼드의 주교입니다. 노르만 귀족 가문의 후손인 성 토마스는 헨리 3세의 무관인 바론 윌리엄 켄틀루프의 아들로 잉글랜드 버킹엄셔(Buckinghamshire)에서 태어나 삼촌이었던 우스터(Worcester)의 월터(Walter) 주교로부터 교육을 받았습니다. 그 후 1245년의 리옹(Lyon) 공의회에 부친과 함께 참석한 그는 아마도 그 이후에 사제로 서품된 듯합니다. 그 후 그는 파리(Paris)와 오를레앙(Orleans)에서 법률을 공부하였고, 옥스퍼드(Oxford)에서는 교회법을 교수하였으며 1262년에 수상으로 임명되었습니다.
정의와 융화를 바탕으로 직무를 수행하였던 그는 시몬 드 몽포르(Simon de Montfort)의 죽음을 계기로 파리로 은퇴하였고 그러다가 1274년에 헤리퍼드의 주교로 착좌하였습니다. 교구의 개혁을 조심스럽게 단행하였던 그는 속권에 의해 유린된 교회의 권리를 회복시켰고 지혜롭게 교구를 지도하였습니다. 그는 캔터베리(Canterbury)의 대주교인 토마스 존 페크햄(Thomas John Peckham)과의 교회법적 논쟁으로 만년을 주로 보냈는데 그 대주교에 의해 1282년에는 파문 처분을 당하였습니다. 이 사건을 교황에게 상소하기 위하여 로마(Roma)로 가던 토마스는 몬테 피아스코네(Monte Fiascone)에서 서거하였고 교황 요한 22세(Joannes XXII)에 의하여 1320년에 시성되었습니다.
6. 10월 19일 복자 토마스
신분 : 신부, 선교사
활동지역 : 비비유(Biville)
활동연도 : 1187-1257년
토마스 엘리에(Thomas Helye)는 프랑스 북부 노르망디(Normandie)의 비비유 지방 태생으로 ‘기적을 행하는 사람’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어릴 때부터 신심이 지극하였던 그는 성장해서 고향 마을의 교사 및 교리 선생이 되었는데 그의 강의 내용이 좋아 이웃 마을 셰르부르(Cherbourg) 주민들의 초청으로 그곳 아이들도 가르치게 되었지만 중도에 병으로 그만두었습니다.
병에서 회복된 그는 에스파냐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Santiago de Compostela)와 로마(Roma)를 순례한 후 사제가 되었는데 설교의 특은이 그에게 내렸다는 평을 듣기도 하였습니다. 마치 선교사인양 설교하는 일에 전념하였던 그는 가난하고 억압받는 사람들의 대변자로 활약하였으며 병자와 죄인들을 방문하였습니다. 그러나 인근의 아브랑슈, 바이외(Bayeux) 그리고 리지외(Lisieux) 등 무리하게 수많은 지역을 다니다가 중병을 얻은 그는 결국 망슈(Manche)의 보빌(Vauville) 성에서 선종하였습니다.
7. 10월 25일 복자 토마스
신분 : 수사
활동지역 피렌체(Firenze)
활동연도 : +1447년
토마스 벨라치(Thomas Bellaci)는 이탈리아 피렌체 출신으로 프란치스코회 평수사였는데 젊어서 매우 거칠고 난폭한 생활을 일삼았으나 모든 것이 허무하다는 것을 깨달은 후 피에졸레(Fiesole)의 프란치스코회에 들어갑니다. 다소 마음의 동요를 억제할 수 없을 때도 처음에는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지난날의 죄를 통렬히 뉘우친 그는 뛰어난 수도자가 되었습니다.
요한 스트론코네(Joannes Stroncone)와 함께 1414년 나폴리(Napoli)로 간 그는 그곳에서 6년 동안 봉사하였는데 이때 그에게 기적을 행하는 힘이 있음이 드러납니다. 그는 그래서 교황 마르티누스 5세(Martinus V)의 명에 따라 토스카나(Toscana)의 프라티첼리(Fraticelli) 이단자 추방을 위하여 일하였고 성 베르나르디누스(Bernardinus)의 허락으로 새 수도원을 세우기도 하였습니다. 만년에 모슬렘에게 복음을 전하다가 포로가 되었지만 이때 교황 에우게니우스 4세(Eugenius IV)가 몸값을 지불하고 석방시켜 주었고 그 후 그는 리에티(Rieti)에서 선종하였습니다.
8. 11월 18일 성인 토마스
신분 : 수도승
활동지역 : 안티오키아(Antiochia)
활동연도 : +782년
전승에 따르면 그의 생 대부분을 시리아의 안티오키아 근방에서 은수자로 보낸 성 토마스는 페스트에 걸린 이들을 구할 때 전구하는 특별한 성인이라고 합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레아(Andrew) 1.(1-7) - 1월 13일, 1월 19일, 2월 10일, 2월 26일, 3월 10일, 3월 19일, 4월 12일 (0) | 2023.09.24 |
---|---|
빅토리아노(Victorian) 축일 - 1월 12일, 3월 23일, 5월 16일, 8월 26일 (0) | 2023.09.22 |
토마스(Thomas) 축일 1.(1-3) - 1월 11일, 4월 9일, 7월 3일 (0) | 2023.09.18 |
헤르메스(Hermes) 축일 - 1월 4일, 3월 1일, 8월 28일, 10월 22일, 11월 2일, 12월 31일 (0) | 2023.09.16 |
마틸다(Matilda) 축일 - 2월 26일, 3월 14일 (0) | 2023.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