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야기/세례명 이야기

소피아 (Sophia) 축일 - 4월 30일, 9월 18일, 9월 30일

 

 

소피아 (Sophia)

같은 이름 : 쏘피아

여성분들이 세례명으로 많이 사용하시는 소피아 축일입니다.

 

1. 4월 30일 성녀 소피아

신분 : 동정 순교자

활동지역 : 페르모(Fermo)

활동연도 : +250년경

 

이탈리아 중부 페르모의 처녀인 성녀 소피아는 데키우스 황제 때 순교하였으며 그녀의 머리 유해는 페르모의 주교좌성당에 화려한 성해함에 담겨져 모셔져 있으며 오늘날까지도 그곳에서 큰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2. 9월 18일 성녀 소피아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3세기

 

교회의 전승과 옛 “로마 순교록”에 따르면, 아우렐리아누스 황제의 통치(270~275년) 중에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에서 성녀 소피아와 성녀 이레네(Irene)는 그리스도를 고백하고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습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두 순교자에 대해 9월 18일 목록에서 더는 기록하지 않았습니다.

 

3. 9월 30일 성녀 소피아

9월30일이축일인-성녀소피아
성녀 소피아(9월 30일)

신분 : 과부

활동지역 : 로마(Roma)

활동연도 : +2세기

 

교회 전승에 따르면, 성녀 소피아는 하드리아누스(117~138년)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 로마에서 순교한 세 명의 동정녀인 성녀 스페스(Spes, 8월 1일), 성녀 카리타스(Caritas, 8월 1일), 성녀 피데스(Fides, 8월 1일)의 어머니로 하느님의 ‘지혜’라는 뜻의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라틴어와 여러 언어로 7~8세기에 전해진 전설적인 “수난기”(Passio)의 의하면 세 딸이 로마에서 순교한 후 성녀 소피아는 딸들의 무덤가에서 기도하다가 평화롭게 3일 뒤에 선종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밀라노(Milano)의 사제 요한(Joannes)이 8세기에 쓴 라틴어 문서에 의하면 성녀 소피아는 딸들과 함께 밀라노로 가서 하드리아누스 황제 때 고문을 받다가 순교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8월 1일 목록에서 옛 “로마 순교록”(Martyrologium Romanum)은 하드리아누스 황제 치하 때에 거룩한 동정녀 피데스, 스페스, 카리타스가 마에서 순교의 왕관을 얻었다고 기록하였고, 9월 30일 목록에서는 세 성녀의 어머니인 과부 소피아의 축일을 로마에서 기념한다고 짧게 언급하였습니다. 이처럼 성녀 소피아의 순교 여부는 확실하지 않으나 중세에 성녀 소피아를  공경하는 예식이 많이 행해졌으며 특히 알자스(Alsace) 지방의 에샤우(Eschau) 수도원을 중심으로 성녀 소피아에 대한 공경이 많이 퍼졌습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성녀 소피아와 그녀의 딸들에 대해서 더는 기록하지 않고 있습니다.

 

성녀 소피아의 생애와 그녀의 세 딸에 대한 전설적인 이야기는 동방 지역의 신앙과 희망과 사랑의 원천인 신적인 지혜를 숭배하던 관습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있는데 하느님의 지혜인 ‘소피아’에서 유래하는 피데스(신덕 信德)와 스페스(망덕 望德), 카리타스(애덕 愛德)의 신학적 덕목 세가지를 의인화하여 우화적으로 해석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성녀 소피아는 세 명의 딸들과 함께 교회 미술에 등장하는데 이때 성녀 스페스는 배의 닻, 성녀 카리타스는 심장, 성녀 피데스는 십자가나 성작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