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야기/세례명 이야기

베드로(Peter) 축일 9.(49-50) _ 1월 28일, 2월 21일

 

베드로(Peter)

 

베드로(Peter)는 2020년 서울대교구에서 조사한 서울대교구 신자의 세례명 중 3번째로 많은 세례명이기도 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축일은 6월 29일이지만 100명이 넘는 베드로가 계시기 때문에 다른 축일을 선택하셔도 무방합니다.

 

베드로(Peter) 축일 1. _ 6월 29일, 2월 22일

 

49. 1월 28일 성인 베드로 놀라스토(Peter Nolasco)

성-베드로놀라스코
성 베드로 놀라스코(1월 28일)

신분 : 설립자, 증거자 

활동연도 : 1189-1258년

같은이름 : 베드루스, 페드로, 페트루스 , 피터 

 

프랑스의 부유한 귀족 가문 태생으로 어려서부터 부족함 없는 삶을 살았던 성 베드로 놀라스코(Petrus Nolasco)는 늘 가난한 이들에게 아낌없이 베풀었던 부모의 모습을 보며 자랐는데 15세 때에 부친과 사별하면서 막대한 유산을 상속받게 됩니다.

에스파냐의 바르셀로나(Barcelona)로 가서 막대한 재산을 이용해 상인으로서 큰 성공을 거둔 그는 상인으로 여러 나라를 다니던 중 당시 수백 년에 걸쳐 에스파냐를 점령하고 있던 무어인(아랍계)들이 그리스도인들을 노예로 삼아 학대하고 있는 모습을 목격하게 됩니다. 1212년 무어인들은 그리스도교 국가들의 총공격으로 톨로사(Tolosa)에서 패배해 에스파냐 남쪽 그라나다(Granada)로 밀려난 상태였지만, 노예무역은 여전히 성행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의 처지를 불쌍하게 여긴 성 베드로 놀라스코는 그리스도인 노예들의 석방을 위한 대속금을 내고 많은 노예에게 자유를 선물했지만 몇 년간의 속량 활동으로 그의 막대한 재산도 바닥을 드러내게 됩니다.

그러던 중 1218년 8월 1일, 성모님께서 그에게 발현하시어 모슬렘에게 노예가 된 그리스도인 노예들을 구출하는 수도원을 설립하라 말씀하시는 환시를 보게 되는데 그는 성모님의 분부대로 그리스도인 노예 해방을 위한 수도회 설립을 결정하고, 평소 가까이 지내던 아라곤(Aragun) 야고보 1세 왕과 상의하여 그의 지지와 후원을 약속받습니다. 그리고 왕의 초청으로 그 당시 아라곤에 와 있던 페냐포르트의 성 라이문두스(Raymundus, 1월 7일)를 만나게 되고 그의 도움으로 ‘노예 해방을 위한 속량의 성모회’(메르체다리오회, Mercedarian Order)를 설립합니다. 이 수도회는 1235년에는 교황 그레고리우스 9세(Gregorius IX)로부터 승인을 받았습니다. 

 

이 수도회의 회원들은 세 가지 수도 서원 외에 그리스도인 노예들의 석방을 위해서는 자신을 인질로 바칠 각오까지 해야 한다는 네 번째 서원도 하게 되며 성 베드로 놀라스코 역시 노예 석방을 위해 헌신하던 중 북아프리카에서 노예를 대신해 포로 생활을 하기도 합니다. 그때 무어인들이 그를 죽이려고 돛대도 키도 없는 작은 배에 태워 바다로 보냈으나, 하느님의 도우심으로 무사히 에스파냐의 발렌시아(Valencia)에 도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동안의 헌신과 고령으로 인해 허약해진 그는 여생을 기도와 보속으로 보내다가 1256년 수도원 총장직을 후임자에게 넘기고 성탄절 밤에 바르셀로나에서 선종했다고 알려져 왔으나 오늘날 연구자들은 바르셀로나(Barcelona) 왕립 문서 보관소의 기록을 근거로 5월 6일을 선종일로 보고 있습니다.

1628년 교황 우르바누스 8세(Urbanus VIII)에 의해 성인품에 올랐고, 1664년 보편교회에서 그의 축일을 기념하도록 선포되었습니다.

 

 

50. 2월 21일 성인 베드로 다미아니(Peter Damian)

베드로-다미아니-2월21일
성 베드로 다미아니 (2월 21일)

신분 : 추기경, 교회학자

활동지역 : 오스티아(Pstia)

활동연도 : 1007? - 1072/3년

같은이름 : 다미아노, 다미아누스, 다미안, 다미앵, 데미안, 데미언, 베드루스, 페드로, 페트루스, 피터 

 

성 베드로(Petrus)는 이탈리아 라벤나(Ravenna)에서 가난한 귀족 집안에서 막내로 태어났으며 어려서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됩니다. 그 후 여러 형제 중 한 명의 집에서 돼지를 키우며 가혹한 노동을 강요당하는 등 힘든 어린 시절을 보내다가 다행히 라벤나의 사제였던 다른 형의 도움으로 제대로 된 보살핌과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는데 그는 형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자신의 이름 뒤에 형의 이름인 다미아니(Damiani)를 붙여 베드로 다미아니(Petrus Damiani, 또는 베드로 다미아노 Petrus Damiano)가 됩니다. 그는 라벤나, 파엔차(Paenza), 모데나(Modena), 파르마(Parma) 등지에서 교육을 받고 21살에 라벤나 대학의 교수가 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교수 생활을 포기하고 1035년에 성 로무알두스(Romualdus, 6월 19일)가 설립한 폰테 아벨라나(Fonte Avellana)의 베네딕토회 수도원에 입회하게 되는데 그곳에서 엄격한 참회와 고행을 실천하면서 사제품을 받았으며 성경과 교부학 연구에 전념하며 은수자로 생활하던 중 1043년에 수도원의 원장이 됩니다. 

 

수도원장이 된 후 그는 성 베네딕투스(Benedictus, 7월 11일)와 성 로무알두스의 이상을 결합하여 은수 생활과 공동생활의 조화를 이루도록 수도 생활을 개혁했고, 다섯 개의 은둔소를 더 세웠습니다. 또한 교회 개혁에 관심을 두었던 그는 여러 교황의 고문으로 활동하면서 저서를 통해 성직매매를 반대하고 성직자들의 도덕적 타락에 대해 강력히 비판하였습니다.

1057년 교황 스테파누스 9세(Stephanus IX)로부터 오스티아의 주교이자 추기경으로 서임된 그는 교황의 개혁 작업에 참여하면서 여러 대립 교황에게 대항하였고 교회 회의 참석과 외교적 활동 및 저술 활동 등을 통해 개혁운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였습니다. 그는 연옥, 성체에 관한 글을 남겼고, 사제 독신제 옹호를 비롯하여 사제들의 생활에 관해 많은 글을 남겼습니다.

 

성 베드로 다미아니는 1072년 고향 라벤나를 마지막으로 방문하여 라벤나의 주교와 그를 파문한 교황 알렉산데르 2세(Alexander II)의 화해를 주선하고 수도원으로 돌아오던 중 파엔차에 있는 성 마리아 수도원에서 2월 21일과 22일 사이에 선종하여 그 곳 대성당에 안치되었습니다. 성 베드로 다미아니의 선종 후 그에 대한 지역교회의 공경이 시작되었고, 1828년 그에 대한 공경 예식이 승인되어 보편 전례력에 포함되었으며 그 해 교황 레오 12세(Leo XII)에 의해 교회학자로 선포되었습니다. 그의 축일은 2월 23일에 기념해오다가 1969년 보편 전례력을 개정하면서 2월 21일로 옮겨 기념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