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로(Peter)
베드로(Peter)는 2020년 서울대교구에서 조사한 서울대교구 신자의 세례명 중 3번째로 많이 사용하는 세례명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축일은 6월 29일입니다.
베드로(Peter) 축일 1. _ 6월 29일, 2월 22일
그러나 베드로는 이 외에도 100명이 넘게 계시므로 다른 축일을 택하고 싶으신 분은 각 성인들의 내용을 보시고 마음에 드는 다른 분의 축일 선택하셔도 괜찮습니다.
43. 11월 25일 성인 베드로
신분 :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활동연도 : +311년
같은이름 : 베드루스, 페드로, 페트루스, 피터
성 베드로(Petrus)는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 출신으로 성경에 대한 탁월한 지식을 가졌던 것으로 유명하여 알렉산드리아 교리학원의 교장이 되었고, 300년에는 그 도시의 총대주교가 되었습니다. 아리우스(Arius) 이단과 오리게네스파와 투쟁했던 그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에 맞서 항거하였는데 숨어서 자신의 교구를 사목하던 중 막시미아누스 황제의 박해가 재개되었을 때 체포되어 순교하였습니다.
44. 11월 28일 성인 베드로
신분 : 수도승, 순교자
활동연도 : +765년
같은이름 : 베드루스, 페드로, 페트루스, 피터
비잔틴의 황제인 콘스탄티누스 5세의 성상 파괴 박해가 심할 때, 성화 공경의 옹호자로서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의 최초 지도자였던 성 스테파누스(Stephanus)는 칼케돈(Chalcedon) 근방 성 아욱센티우스 산(Mount Saint Auxentius) 산의 은수자였으나, 성화 공경과 연루되어 3년 동안 마르마라해(Sea of Marmara)의 프로콘네수스(Proconnesus) 섬으로 추방되었습니다.
석방되자마자 그는 곧장 황제 앞으로 달려가서 질문을 던졌는데 황제상이 새겨진 동전을 하나 들고 이렇게 말합니다.
“만일 여기에 박힌 황제상이 수모를 당한다면 참지 못하겠지요? 그런데 하물며 왕 중의 왕이신 그리스도와 그 모친이신 마리아의 상을 불 속에 처넣다니요?”
그리고 그는 동전을 마루에 내팽개치는데 이에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진노하여 그를 감옥에 가두게 하고 이렇게 갇힌 수도자 수효가 300명을 넘었다고 전해집니다.
황제는 그를 사형에 처하라는 명을 내리지 못하였으나 그의 부하들이 성 스테파누스를 살해하였고 성 바실리우스(Basilius), 성 베드로(Petrus), 성 안드레아(Andreas) 등의 수도자들이 이 때 신앙을 지키다가 함께 순교하였습니다.
45. 12월 9일 성인 베드로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연대미상
같은이름 : 베드루스, 페드로, 페트루스, 피터
성 베드로에 대해 확실하게 알려진 바는 없으나 그는 아프리카의 순교자였으며 성 수케수스(Successus), 성 바시아누스(Bassianus), 성 프리미티부스(Primitivus)와 다른 동료들과 함께 로마제국의 박해 중에 순교하였다고 전해집니다.
46. 12월 29일 복자 베드로
신분 : 수도원장
활동지역 : 클뤼니(Cluny)
활동연도 : 1092-1156년
같은이름 : 베드루스, 페드로, 페트루스, 페터
프랑스 중남부 오베르뉴(Auvergne)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클뤼니 수도원에서 교육을 받고 20세 때에 이미 베절레이의 원장이 된 베드로 드 몽보아시엘(Petrus de Montboissier)은 1122년 30세 때에는 클뤼니의 원장이 되었는데 그는 프랑스 남부에서 성행하던 베드로 부루시아 이단을 반대하는 글을 썼으며 랭스 시노드(Synod of Reims)에 참석하는 등 교회사에 큰 공헌을 한 인물로 알려집니다.
그는 클뤼니 수도원을 30년간 지도하였으며 그래서 클뤼니 수도원을 서방에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수도원이 되게 하였습니다.
47. 6월 17일 복자 베드로 감바코르타(Peter Gambacorta)
신분 : 설립자
활동지역 : 피사(Pisa)
활동연도 : 1355-1535년
같은이름 : 감바꼬르따, 베드루스, 페드로, 페트루스, 피터
25세 때에 부친이 다스리던 피사 공화국의 궁중을 떠나 우르비노(Urbino) 교구의 몬테벨로(Montebello) 은둔소로 들어간 베드로 감바코르타(Petrus Gambacorta)는 여기서 그는 주로 인근 마을에서 애긍을 청하면서 회개생활을 시작하였습니다.
1380년 12명의 강도들을 회개시켜 그들과 함께 12개의 움막을 짓고 성 히에로니무스(Hieronymus)를 수호성인으로 모심과 아울러 그의 규칙을 채택한 ‘성 히에로니무스 은수자회’ 혹은 ‘성 히에로니무스의 가난한 형제회’를 설립하기도 한 그는 그의 수도자들과 함께 연중 네 번의 사순절을 지내고, 매주 월요일과 수요일 그리고 금요일마다 단식하였습니다.
1393년 그의 부친과 두 명의 형제들이 살해당하여 공화국이 위태롭게 되었을 때 그를 지도자로 모시려는 신하들에 의해 한동안 유혹에 빠졌으나, 누이동생인 복녀 클라라 감마코르타(Clara Gambacorta, 4월 17일)의 표양을 따라 살인자들을 완전히 용서하고 수도생활에 전념하였습니다.
1421년 그의 수도회는 교황 마르티누스 5세(Martinus V)에 의하여 승인되었고 그는 80세의 나이로 베네치아(Venezia)에서 운명하였습니다.
1693년 교황 인노켄티우스 12세(Innocentius XII, 또는 인노첸시오 12세)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습니다.
48. 4월 14일 베드로 곤잘레스(Peter Gonzalez)
신분 : 신부, 설교가
활동연도 : 1190-1246년
같은이름 : 곤살레스, 베드루스, 엘모, 텔모, 페드로, 페트루스, 피터
성 베드로 곤잘레스(Petrus Gonzalez)는 카스티야(Castilla) 귀족 집안의 아들이었는데 에스파냐의 아스투리아스(Asturias)에서 태어나 주교인 삼촌 밑에서 공부하고 베네딕토 회원이 되었습니다. 당시 그의 설교는 매우 유명하여 국왕 페르디난도 3세의 전속 사제가 되었으며 무어인들을 상대로 일어난 십자군에게 설교하기도 하였습니다. 그 후 그는 궁중을 떠나 시칠리아(Sicilia)로 설교여행을 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배로 여행한 경우가 많았으므로 포르미에(Formiae)의 성 에라스무스(Erasmus, 6월 2일)와 함께 선원들의 수호성인으로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그들로부터 엘모(Elmo) 혹은 텔모(Telmo)라고도 불리고 있으며 그에 대한 공경은 1741년 교황 베네딕투스 14세(Benedictus XIV)에 의해 승인되었습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드로(Peter) 축일 10.(51-53) _ 4월 25일, 3월 10일, 3월 30일 (0) | 2022.10.24 |
---|---|
베드로(Peter) 축일 9.(49-50) _ 1월 28일, 2월 21일 (0) | 2022.10.23 |
베드로(Peter) 축일 7.(37-42) _ 9월 23일, 10월 3일, 10월 4일, 10월 19일, 10월 25일, 11월 14일 (0) | 2022.10.14 |
베드로(Peter) 축일 6. (29-36) _ 7월 9일, 7월 30일, 8월 1일, 8월 3일, 8월 7일, 8월 27일, 8월 30일, 9월 11일 (0) | 2022.10.14 |
베드로(Peter) 축일 5.(24-28) _ 6월 2일, 6월 7일, 6월 12일, 6월 23일, 7월 4일 (0) | 2022.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