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티노(Martin)
같은이름 : 마틴, 말딩, 마누엘, 마르띠노, 마르띠누스, 마르티누스
1. 1월 12일 성인 마르티노
신분 : 수사
활동지역 : 레온(Leon)
활동연도 : +1203년
에스파냐 북부 레온에서 태어난 성 마르티노는 산 마르셀로(San Marcelo)에서 아우구스티노회에 입회한 후 레온의 성 이시도루스(Isidorus) 수도원으로 옮겼습니다. 그는 다작의 금욕주의적 저자입니다.
2. 1월 31일 성인 마르티노
신분 : 순교자
활동연도 : +1156년
성 마르티노는 포르투갈 중부 코임브라(Coimbra) 근교에서 태어나 시우레(Siure) 성당의 수석사제로서 헌신하였습니다. 그러던 중 그는 사라센인들에게 체포되어 에스파냐 남부 코르도바(Cordoba)의 감옥에 갇히게 되었고 그곳에서 혹독한 취급을 받다가 결국 옥중에서 숨을 거두었습니다.
3. 3월 20일 성인 마르티노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브라가(Braga)
활동연도 : +579년
성 마르티노는 프랑스 투르(Tours)의 성 그레고리우스(Gregorius)의 기록에 의하면 당대의 최고 학자였으며 그리스도인 시인인 포르투나투스는 성 마르티노를 수없이 은혜를 입은 사람으로 묘사하였습니다. 원래 헝가리 판노니아(Pannonia) 지방 사람인 그는 팔레스티나(Palestina)를 순례한 후에는 에스파냐의 갈리시아(Galicia)까지 가게 되었고 여기서 국왕 테오도미르를 개종시켰습니다. 이는 로마 교회와 수많은 다른 아리우스파(Arianism) 사람들과 배교자들을 화해시키게 하는 계기가 됩니다.
그의 선교 중심지는 두미오(Dumio)였는데 '왕가의 주교'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그였지만 그의 생활은 지극히 엄격하여 은수자들과 다를 바 없었습니다. 그 후 그는 죽을 때까지 포르투갈 브라가 교구의 주교로서 교구의 발전을 위해 자신의 책임을 다하였으며 선교사의 직무 외에도 저술로도 교회에 기여하였습니다. 그의 저서로는 "올바른 생활양식들"을 비롯하여 "거친 사람들의 교화에 대하여"라는 윤리 서적 등이 있습니다.
4. 6월 21일 성인 마르티노
신분 : 주교
활동지역 : 통에런(Tongeren)
활동연도 : +350년
오늘날의 벨기에 플랑드르 지역에 속한 림뷔르흐(Limburg) 지방 통에런의 제7대 주교였던 성 마르티노는 벨기에 북동부 에스베(Hesbaye) 사람들의 사도로서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5. 7월 1일 성인 마르티노
신분 : 사도들의 제자, 주교
활동지역 : 비엔(Vienne)
활동연도 : +2세기경
성 마르티노는 프랑스 비엔의 제3대 주교로 교황 성 알렉산데르 1세(Alexander I)에 의해 그 지방의 사도로서 파견되었습니다.
6. 7월 19일 성인 마르티노
신분 :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 트리어(Trier)
활동연도 : +210년
로마 순교록의 기록에 의하면 성 마르티노는 독일 남서부 트리어의 제10대 주교였습니다. 그러나 그 기록에 그의 순교에 대한 결정적인 기록은 없습니다.
7. 10월 24일 성인 마르티노
신분 : 부제, 수도원장
활동지역 : 베르투(Vertou)
활동연도 : +6세기경
성 마르티노는 프랑스 낭트(Nantes) 출신으로 프랑크계로 성 펠릭스(Felix)로부터 부제품을 받고 프와투(Poitou)로 선교여행을 떠났습니다. 그는 자신이 머문 집의 주인 부부를 우선 개종시켰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가 낭트 부근의 강변 숲 속으로 들어가 은둔소를 지었는데 이것이 후에 베르투 대수도원으로 발전하였습니다. 그에 대한 자세한 전기는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페수스의 7인의 잠든 자(디오니시오, 마르티니아노, 막시미아노, 말코, 세라피온, 요한, 콘스탄티노) 축일 - 7월 27일 (0) | 2024.02.12 |
---|---|
알베르토(Albert) 축일 - 1월 19일, 4월 5일, 5월 7일, 5월 20일, 8월 7일, 9월 17일, 11월 24일 (0) | 2024.02.10 |
디오도로(Diodorus) 축일 - 2월 26일, 5월 3일, 9월 11일, 12월 1일 (0) | 2024.02.06 |
마르치아(Marcia) 축일 - 3월 3일, 6월 5일, 7월 2일 (0) | 2024.02.04 |
아타나시아(Athanasia) 축일 - 8월 14일, 10월 9일 (0) | 2024.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