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비탈리스(Vitalis)
성녀 발레리아(Valeria)
4월 28일 성인 비탈리스
신분 : 군인, 순교자
활동지역 : 밀라노(Milano)
활동연도 : +1/2세기경?
같은이름 : 비딸리스
4월 28일 성녀 발레리아
신분 : 순교자
활동지역 : 밀라노(Milano)
활동연도 : +1/2세기경?
성 비탈리스는 밀라노의 부유한 시민이자 군인이었습니다. 어느 날 집정관과 함께 라벤나(Ravenna)에 간 성 비탈리스는 모진 고문을 받고 그리스도를 위해 죽음을 눈앞에 둔 의사이던 성 우르시치노(Ursicinus)가 다소 마음이 흔들렸을 때 그가 꿋꿋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으며 그의 시신을 정중히 매장해 주었는데 그의 이러한 행동으로 인해 집정관은 성 비탈리스 역시 그리스도인으로 간주하였으며 그에게 혹독한 고문을 가하고 산 채로 구덩이에 묻는 생매장 형에 처했습니다. 네로 황제(54~68년 재위) 또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재위 161~180년) 때로 순교 시기가 추정되고 있으며 라벤나의 성 비탈리스 성당은 그가 순교한 곳으로 알려진 곳에 건립된 것으로 547년에 그의 이름으로 봉헌되었으며 비잔틴 미술의 걸작품, 특히 모자이크로 유명한 곳입니다. 그는 라벤나 시의 수호성인으로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전승에 따르면, 성녀 발레리아(Valeria)는 성 비탈리스의 아내이자 성 제르바시오(Gervasius)와 성 프로타시오(Protasius, 이상 6월 19일)의 어머니로 어려서 세례를 받은 밀라노의 귀족 가문 출신이었는데 밀라노에서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초창기 인물입니다. 원형극장이나 다른 곳에서 처형당한 순교자들의 시신을 교황의 명을 받은 지역 사제와 함께 남녀 10명으로 구성되어 수습하고 안장하는 사명을 수행하였던 성녀 발레리아는 그러던 중 체포되어 우상에게 희생 제사 바치기를 강요당하였고 결국 끝까지 이를 거부하고 순교했다고 전해집니다. 또 다른 전승에 따르면, 라벤나에서 남편이 순교했다는 이야기를 전해 들은 그녀는 자신 역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치하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 이교도 신에게 희생 제사 바치기를 거부하였고 이에 모진 매를 맞고 밀라노에서 순교했다고 합니다.
옛 “로마 순교록”은 성 비탈리스가 성 우르시치노의 시신을 라벤나에서 장사 지낸 후 생매장으로 순교하였다고 4월 28일 목록에서 기록하였고 이어서 그의 아내이자 밀라노의 순교자였던 성녀 발레리아의 이름을 전해주었습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성 비탈리스를 라벤나에서 기념하고 있으며 그의 이름으로 그날 라벤나 대성당이 하느님께 봉헌되었다고 같은 날 목록에서 기록하였습니다. 그리고 거룩한 순교자인 성녀 발레리아, 성 우르시치노, 성 제르바시오, 성 프로타시오와 함께 끝까지 두려움 없이 끝까지 신앙을 지켜 오래전부터 공경을 받아왔다고 기록하였습니다. 성 비탈리스와 성녀 발레리아는 밀라노와 라벤나에서 큰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종교 이야기 > 세례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벨(Abel) 축일 - 1월 2일 (0) | 2024.09.28 |
---|---|
12명의 순교자 축일 - 9월 1일 (0) | 2024.09.26 |
테오도시오(Theodosius) 축일 - 1월 11일, 3월 26일, 7월 17일, 10월 25일 (0) | 2024.09.08 |
알렉산데르(Alexander) 축일 5.(28-35) - 9월 9일, 9월 21일, 9월 28일, 10월 17일, 10월 22일, 11월 9일, 11월 24일, 12월 12일 (0) | 2024.09.06 |
알렉산데르(Alexander) 축일 4.(24-27) - 8월 1일, 8월 11일, 8월 26일, 8월 28일 (0) | 2024.09.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