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이야기/세례명 이야기

요한(John) 축일 6.(33-40) - 6월 25일, 6월 26일, 6월 27일, 7월 9일, 7월 11일, 7월 12일

 

요한(John)

 

33. 6월 25일 복자 요한

6월25일이-축일인-복자요한
복자 요한(6월 25일)

 

신분 : 수도원장

활동연도 : 1123-1160년

같은이름 : 얀, 요안네스, 요한네스, 장, 쟝, 조반니, 조안네스, 조한네스, 존, 죤, 지오반니, 이반, 한스, 후안

 

요한은 에스파냐 북부 레온(Leon)의 알만자(Almanza) 출신으로 13세 때에 프랑스로 건너가서 살다가 혼자서 2년 반 동안 은수생활을 한 뒤에 몽트뢰유(Montreuil)의 카르투지오 회원이 되었습니다. 그는 6년 동안 성물 보관소 책임을 다하다가 원장으로 피선되었는데 이때부터 그의 능력이 빛을 발하기 시작하였으며 벨리의 성 안텔무스(Anthelmus, 6월 26일) 역시 그를 살아있는 성인으로 공경하였습니다. 교황 비오 9세(Pius IX)에 의해 1864년 그에 대한 공경이 승인되었습니다.

 

34. 6월 26일 성인 요한 1

신분 : 주교

활동연도 : +800년경

같은이름 : 얀, 요안네스, 요한네스, 장, 쟝, 조반니, 조안네스, 조한네스, 존, 죤, 지오반니, 이반, 한스, 후안

 

성 요한은 고트족(Goths) 사람으로 성상 파괴주의자의 강력한 반대자로서 동방교회 안에서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흑해 지역 출신인 그는 당시의 황제인 콘스탄티누스 코프니무스가 성상 파괴를 명하는 칙서를 내리자 공적으로 성상을 공경하는 이유를 들 반박하고 나섰는데 구약성서와 교부들의 가르침에 근거하였던 그의 논리는 지극히 타당성이 있었으며 호응도도 놓았습니다. 787년의 니케아(Nicaea) 제2차 회의에 참석한 그는 성상 공경에 대한 가톨릭 교리 확립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고향으로 돌아가던 길에 카자르인의 습격을 받은 그는 포로가 되었지만 탈출에 성공하여 소아시아의 아마스트리스에서 숨어 지내다가 운명하였습니다.

 

35. 6월 26일 성인 요한 2

 

36. 6월 27일 성인 요한

신분 : 은수자

활동지역 : 시농(Chinon)

활동연도 : +6세기

같은이름 : 얀, 요안네스, 요한네스, 장, 쟝, 조반니, 조안네스, 조한네스, 존, 죤, 지오반니, 이반, 한스, 후안

 

투르(Tours)의 성 그레고리우스(Gregorius, 11월 17일)에 의하면 프랑스 북서부 브르타뉴(Bretagne) 출신의 이방인인 성 요한은 로서 투렌(Touraine) 지방의 시농에서 은수자가 되었으며 그곳의 성 막시무스(Maximus) 성당과 가까운 곳에 작은 방과 기도실을 만들고 운둔생활을 하였습니다. 다른 사람들과의 불필요한 교제를 삼가하였던 그는 약간의 월계수를 심은 정원을 돌보며 그곳에 앉아서 독서와 기도하기를 좋아하였습니다. 성녀 라데군다(Radegundis, 8월 13일) 왕후의 영적 조언자였던 그는 사망한 후 자신의 작은 방에 묻혔고, 그의 전구를 통해 많은 순례자들이 건강을 회복하였습니다.

 

 

37. 7월 9일 성인 요한 1

신분 신부, 순교자

활동지역 고르쿰(Gorkum)

활동연도 +1572년

같은이름 : 얀, 요안네스, 요한네스,장, 쟝, 조반니, 조안네스, 조한네스, 존, 죤, 지오반니, 이반, 한스, 후안, 호르네르

 

성 요한은 독일 쾰른(Koln)의 대주교령에서 태어나 당시 유럽 최고의 교육 기관인 쾰른 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쾰른의 도미니코회에 들어갔고 사제품을 받은 후 네덜란드 고르쿰 교외의 작은 마을인 호르나르(Hoornaar)의 본당 신부로 20여 년을 사목했습니다. 당시 유럽에는 루터교와 칼뱅주의가 급속히 퍼지고 있었는데 칼뱅파 군인들이 1572년 봉기를 일으켜 고르쿰이 침략당하였고 그들에 의해 그곳에 있는 작은 형제회 수도원이 점거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그는 작은 형제회 회원들에게 성사를 주려고 용감하게 급히 달려갔다가 체포되고 말았습니다. 다른 수도자들과 함께 고르쿰의 감옥에 갇혀 있었던 그는 덴 브리엘(Den Briel)로 이송되어 18명의 동료 사제, 수도자, 교우들과 함께 교수형을 받고 순교하였습니다. 성 요한은 교황 클레멘스 10세(Clemens X)에 의해 1675년 시복되었고, 교황 비오 9세(Pius IX)에 의해 1867년 18명의 동료 순교자와 함께 ‘고르쿰의 순교자’로 성인품에 올랐습니다. 보통 쾰른의 성 요한 또는 호르나르의 성 요한으로 불리고 있으며 옛 “로마 순교록”과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 모두 브리엘에서 교수형을 받고 순교한 19명의 순교자에 대해 7월 9일 목록에서 기록하였습니다.

 

38. 7월 9일 성인 요한 2

신분 : 신부, 순교자

활동지역 : 고르쿰(Gorkum)

활동연도 : 1504-1572년

같은이름 : 얀, 요안네스, 요한네스, 장, 쟝, 조반니, 조안네스, 조한네스, 존, 죤, 지오반니, 이반, 한스, 후안

 

성 요한은 네덜란드 남부 오스터베이크(Oisterwijk)에서 태어나 아우구스티노회에 입회한 후 고르쿰에서 성 아우구스티노의 수도 규칙서를 따르며 준 수도 생활을 하는 베긴회 공동체에서 고해신부로 활동하였습니다. 1572년 칼뱅파 군인들의 봉기 때 체포되어 브리엘(Den Briel)로 작은 형제회 고르쿰 수도원의 동료들과 함께 덴 이송되어 그는 교수형을 받고 순교하였습니다. 성 요한은 교황 클레멘스 10세(Clemens X)에 의해 1675년 시복되었고, 교황 비오 9세(Pius IX)에 의해 1867년 18명의 동료 순교자와 함께 ‘고르쿰의 순교자’로 성인품에 올랐습니다. 보통 쾰른의 성 요한 또는 호르나르의 성 요한으로 불리고 있으며 옛 “로마 순교록”과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 모두 브리엘에서 교수형을 받고 순교한 19명의 순교자에 대해 7월 9일 목록에서 기록하였습니다.

 

 

39. 7월 11일 성인 요한

신분 :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 베르가모(Bergamo)

활동연도 : +690년경

같은이름 : 얀, 요안네스, 요한네스, 장, 쟝, 조반니, 조안네스, 조한네스, 존, 죤, 지오반니, 이반, 한스, 후안

 

성 요한은 성덕과 학덕이 뛰어나 이탈리아 베르가모의 주교로 축성되었으며 재임기간 동안 아리우스(Arius) 이단 퇴치를 위해 전력을 기울였습니다. 그는 679년에는 교황 성 아가토(Agatho)가 소집한 로마의 시노드(Synod)에 참석하였고, 이단자들의 모략으로 죽음을 맞이하였습니다. 그는 ‘가톨릭 신앙을 지키기 위하여 아리우스파에 의하여 살해된 순교자’로 공경을 받고 있습니다.

 

40. 7월 12일 성인 요한

신분 : 수도원장

활동지역 : 아토스산(Mount Athos)

활동연도 : +1002년경

같은이름 : 얀, 요안네스, 요한네스, 장, 쟝, 조반니, 조안네스, 조한네스, 존, 죤, 지오반니, 이반, 한스, 후안

 

성 요한은 이베리아(Iberia, 또는 그루지야 Georgia)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요한 제오르지아노(Joannes Georgiano)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중년의 나이 때까지 뛰어난 군사 지도자로서 명성을 날리던 그는 그러던 중에 자신의 직책을 사임하고 아내와 의논하여 집을 떠났고 비티니아(Bithynia, 고대 소아시아 북서부 지역)의 올림푸스 산(Mount Olympus)으로 가서 수도자가 되었습니다. 그의 성덕은 사방으로 곧 소문이 퍼지게 되었고 수많은 제자들이 몰려왔습니다. 성 요한은 자신의 아들과 함께 그리스 북부 아토스 산에 이베리아인들을 위한 수도원을 세웠는데, 이것이 유명한 이비론(Iviron) 수도원의 시작이었습니다. 이곳 수도자들 대부분이 지금은 그리스 정교회 소속 그리스인들입니다. 원장직에 연연하지 않았던 그는 에스파냐 사람들을 위한 수도원을 세우려고 하였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아토스 산으로 돌아와 평안히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를 계승하여 그의 아들인 성 에우티미우스 계몽주의자(Euthymius the Illuminator, 5월 13일)가 이비론 수도원의 원장이 되었습니다.

댓글